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뉴 미디어 시대의 예술 : 예술은 미디어를 어떻게 이해했는가?

뉴 미디어 시대의 예술 : 예술은 미디어를 어떻게 이해했는가? (6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오은경.
서명 / 저자사항
뉴 미디어 시대의 예술 : 예술은 미디어를 어떻게 이해했는가? / 오은경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출판부 ,   2008.  
형태사항
ix, 227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미디어&아트 = Media&Art ; 18.
ISBN
9788971418420
서지주기
참고문헌(p. 215-224), 색인수록
000 00690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61191
005 20100807024714
007 ta
008 080528s2008 ulka b AQ 001c kor
020 ▼a 9788971418420 ▼g 93600
035 ▼a (KERIS)BIB000011306365
040 ▼a 241018 ▼c 241018 ▼d 211009
082 0 4 ▼a 700.105 ▼2 22
090 ▼a 700.105 ▼b 2008
100 1 ▼a 오은경.
245 1 0 ▼a 뉴 미디어 시대의 예술 : ▼b 예술은 미디어를 어떻게 이해했는가? / ▼d 오은경 지음.
260 ▼a 서울 : ▼b 연세대학교 출판부 , ▼c 2008.
300 ▼a ix, 227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미디어&아트 = ▼x Media&Art ; ▼v 18.
504 ▼a 참고문헌(p. 215-224), 색인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05 2008 등록번호 1114849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05 2008 등록번호 1114849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00.105 2008 등록번호 1512630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05 2008 등록번호 1114849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05 2008 등록번호 1114849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00.105 2008 등록번호 1512630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오늘날 미디어 문화를 이끄는 사용자들의 능동적인 모습은 60년대 미디어아트 작품의 구상에서 발견된다. 미디어 더하기 예술은 ‘예술’이다. 하지만 새로운 ‘예술’은 미디어에 대한 성찰을 거친 결과물이다. 따라서 미디어아트는 예술이라는 거울을 통해 바라본 미디어의 또 다른 얼굴을 바라볼 관점을 제시한다.

흥미롭게도 오늘날 미디어 문화를 이끄는 사용자들의 능동적인 모습은 60년대 미디어아트 작품의 구상에서 발견된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예술에서도 능동적인 주체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새로운 형태의 예술을 제시하려는 예술가들 그리고 아방가르드 예술가 뒤상이 <샘>이라는 제목을 붙인 오브제 앞에서 해석의 주체가 되기를 요청받는 관객에게서 ‘능동적 주체’의 활동은 시작되고 있었다. 따라서 뉴 미디어의 사용 주체에 대한 계보학적 관찰은 미디어아트의 성립 과정을 살펴보는 작업과 맥을 같이 한다.
이 책에서 미디어 더하기 예술은 ‘예술’이다. 하지만 새로운 ‘예술’은 미디어에 대한 성찰을 거친 결과물이다. 따라서 미디어아트는 예술이라는 거울을 통해 바라본 미디어의 또 다른 얼굴을 바라볼 관점을 제시한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들어가는 말 = ⅲ
1. 백남준과 미디어아트 = 1
 미디어 & 예술의 재설정
 관객의 참여
 ZKM Karlsruhe -칼스루에 미디어아트 센터
 JEFFREY SHAW, 〈WEB OF LIFE〉
2. 아방가르드 예술 = 13
 다다
 뒤샹
 MARCEL DUCHAMP, 〈FOUNTAIN〉
 워홀
 ANDY WARHOL, 〈BRILLO BOX〉
 플럭서스 & 포스트모던
3. 〈미디어의 이해〉 = 35
 '미디어가 메시지다' 또는 '미디어는 미디어다'
 미디어, 인간의 확장
 STELARC, 〈THIRD HAND〉
 지구촌 : 인간의 확장 & 미디어의 가속화
 KEN GOLDBERG, 〈TELEGARDEN〉
 뜨거운 미디어 & 차가운 미디어
4. 하이퍼텍스트 & 웹아트 = 55
 Vannevar Bush & Theodor Nelson
 George Landow, 『Hypertext 2.0』
 하이퍼텍스트
 하이퍼픽션
 웹아트
 MARK NAPIER, 〈NET-FLAG〉
 장영혜 중공업
5. 뉴 미디어의 이해 = 73
 재매개. 미디어는 다른 미디어를 필요로 한다
 비매개 & 하이퍼매개
 다양한 미디어의 상호 재매개
 텍스트
 이미지의 새로운 결합. 재매개의 흔적
 JEFFREY SHAW, 〈THE LEGIBLE CITY〉
 뉴 미디어 시대의 예술
6. 상호작용성 = 97
 상호작용의 구상 및 기술적 구현
 "반응이 미디어이다"
 MYRON KRUEGER, 〈VIDEOPLACE〉
 디지털 기술 : 상호작용 미디어 & 상호작용 예술
 MICHAEL SAUTER, 〈DE-VIEWER〉
 가상현실과의 상호작용
 MASAKl FUJIHATA, 〈BEYOND PAGES〉
 PERRY HOBERMAN, 〈BAR CODE HOTEL〉
7. 가상/현실 또는 사이버 공간 = 115
 몰입 & 가상현실의 구현 및 체험
 JEFFREY SHAW, 〈THE GOLDEN CALF〉
 시뮬라크르 & 시뮬라시옹
 사이버 공간
 그림 속 가상현실 & 현실에 대한 성찰
 SOMMERER & MIGNONNEAU, 〈TRANS PLANT〉 & 〈INTERACTIVE PLANT GROWING〉
8. 인공생명 예술 = 139
 '포스트-휴먼 post-human' : 사이버네틱스와 사이보그
 뉴 미디어 & 주체-객체의 관계 변화
 ORLAN, 〈THE REINCARNATION OF SAINT ORLAN〉
 가상현실 + 인공 생명체 : 예술가와 창조자 그리고 관객
 WILLIAM LATHAM, 〈THE EVOLUTION OF FORM〉
 SOMMERER & MIGNONNEAU, 〈A-VOLVE〉
 EDUARDO KAC, 〈GFP-BUNNY : ALBA〉
9. 디지털 시네마 = 157
 동영상 편집의 역사와 디지털 이미지 합성
 FRAN◆U00C7◆OIS VOGEL, 〈READYMADE〉
 이미지의 해체 : 공간적 몽타주
 디지털 합성 & 관점의 형성
 TAMAS WALICZKY, 〈THE GARDEN〉
 은폐 또는 드러내기
 WALICZKY, 〈FOCUS〉 & 〈FOCUSING〉
 차이, 반복, 중첩
 DCTP 〈DEVELOPMENT COMPANY FOR TELEVISION PROGRAM〉
10. 비디오아트 = 179
 백남준의 비디오아트
 70년대 비디오아트의 경향 : 비디오 퍼포먼스
 BRUCE NAUMAN, 〈VIDEO CORRIDOR〉
 PETER CAMPUS, 〈INTERFACE〉
 DAN GRAHAM, 〈PRESENT CONTINUOUS PAST(S)〉
 비디오. 시간을 보여주다
 BILL VIOLA, 〈REMEMBRANCE〉 & 〈THE REFLECTING POOL〉
 MICHAEL SNOW, 〈WAVELENGTH〉 & 〈ANDY WARHOL, 〈EMPIRE〉
 비디오, 미디어와 예술
맺음말 = 199
주 = 203
참고 도서 = 215
개념 색인 = 22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