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학행정학을 출간하며 = 5
제1장 대학행정학의 기초이론 = 21
1 대학행정의 본질 = 23
1. 대학의 의의 = 23
2. 대학교육과 대학행정 = 28
3. 정치ㆍ사회체제와 대학행정의 유기적 관계 = 48
2 대학행정학의 발달 = 56
1. 발달과정 = 56
2. 접근방법 = 57
3. 한국에서의 대학설립 = 59
3 관료제와 대학행정학 = 63
1. 관료적 대학행정조직과 민주적 대학행정조직 = 63
2. 한국 내 대학행정의 발전과 관료제의 관계 = 64
3. 대학행정학과 대학행정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변화 = 68
제2장 대학행정조직론 = 83
1 조직이론 = 85
1. 조직의 기본적인 개념들 = 85
2. 대학행정학과 경영학적 기법의 도입 = 87
3. 현대의 대학행정조직 = 94
2 조직유형 = 99
1. 대학조직과 대표기관 = 99
2. 조직의 분류 = 101
3. 국내대학의 조직유형 = 106
3 학내의 의사소통 = 120
1. 구성요소 = 120
2. 저해요인 = 121
3. 학내의사소통 현황과 원활화 방안 = 122
4. 개선방향 = 123
4 보직교수와 직원(고위관리자와 중간관리자) = 125
1. 서문 = 125
2. 고위관리자와 중간관리자의 역할 특성 = 126
3. 보직교수(고위관리자)와 직원(중간관리자)의 역할균형 = 126
4. 보직교수(고위관리자)와 직원(중간관리자)의 균형이루기 = 127
5 조직활성화 = 130
제3장 대학인사론 = 133
1 총장론 = 135
1. 대학총장의 역할 = 135
2. 총장자질론 = 136
3. 대학 총장의 권한 = 138
4. 총장 선출 방법 = 138
5. 외국대학의 총장선임제도 = 142
6. 국내 총장 현황 = 145
2 교원임용제도 = 148
1. 전임교수제도 = 148
2. 겸임교수제도 = 149
3. 외국인교수제도 = 149
4. 석좌 및 객원교수제도 = 150
5. 대우전임교수제도 = 150
6. 초빙교수제도 = 151
7. 연구교수제도 = 151
8. 강사제도 = 152
9. 교수POOL제 = 152
3 교원인사관리 = 154
1. 임용 = 154
2. 승진과 재임용 = 163
3. 외국의 교수임용 = 167
4. 교수임용비리와 개선방향 = 170
5. 연봉제 = 172
6. 교수업적평가제 = 175
7. 교원연구년제도 = 183
4 교수론 = 185
1. 대학교수들의 의식성향 = 185
2. 여교수론 = 189
3. 교수와 교수노조 = 193
4. 보직교수제의 문제점과 겸임교수제의 악용 = 196
5 시간강사론 = 197
1. 시간강사의 위상 변화 = 197
2. 시간강사료와 강사노조 = 198
3. 시간강사의 직업화 = 202
4. 강사제도의 문제점 = 203
6 직원인사관리론 = 211
1. 신규채용 = 211
2. 인사고과관리 = 213
3. 진급과 신분보장 = 215
4. 능력발전 = 219
5. 사무관리 = 220
6. 직원론 = 224
7 조교론 = 230
1. 조교위상의 변화 = 230
2. 조교협의회의 요구사항 = 231
제4장 대학학사관리론 = 233
1 입학관리 = 235
1. 대학입시론 = 235
2. 대학편입론 = 250
3. 학생보존(retention)전략 = 258
2 교육과정 = 260
1. 교육과정사 = 260
2. 교양교육과정 = 262
3. 전공교육과정 = 266
4. 기업이 바라는 대학교육과정 = 268
5. 대학교육과정의 개편방향 = 269
3 학사관리제도 = 274
1. 학사관리 필요성 = 274
2. 수업관리 = 275
3. 학적관리 = 280
4. 학사관리 확보방안 = 286
5. 외국대학의 학사관리 = 288
4 학부제 = 301
1. 학부제의 대두 배경 = 301
2. 한국에서의 학부제 = 302
3. 학부제하에서의 학사관리 강화방안과 공학교육인증시스템의 구축 = 309
4. 모집단위광역화와 학부제 = 316
5 대학교육의 질에 대한 소고 = 321
1. 대학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 = 321
2. 대학교육의 질 = 322
6 강의의 질 향상과 강의평가 = 323
1. 강의평가에 대해 = 324
2. 강의평가 실시 현황 = 328
3. 강의평가와 강의의 질 = 332
4. 강의의 질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의 강의평가가 갖는 문제들 = 335
5. 개선 방안 = 338
제5장 학생ㆍ장학론 = 343
1 학생활동 = 345
1. 한국의 학생운동사 = 345
2. 좌익운동권의 발전 = 350
3. 시국사건 제적자의 특례재입학 = 356
4. 총학생회 조직 = 356
5. 외국의 학생운동사 = 363
6. 각국의 학생활동과 대학축제 = 367
2 학생지도론 = 370
1. 대학 1학년생들에 대한 학업지도 = 370
2. 학생지도 방법 = 372
3. 국내 대학의 학생지도 = 373
4. 외국 대학의 학생지도 = 376
5. 미래의 학생지도방안 = 378
3 취업관리 = 379
1. 취업정보 = 379
2. 기업유치활동 = 381
3. 취업정보 알선 및 취업률 제고대책 우수대학 = 382
4 장학제도 = 383
1. 교내장학금 = 384
2. 교외장학금 = 384
3. 주요대학 대학원 장학제도 = 385
5 기숙사 = 387
1. 대학 기숙사의 변신 = 387
2. 기숙사 내의 독특한 교육 프로그램 = 388
3. 국내 대학 기숙사가 나가야 할 방향 = 389
4. 해외대학 기숙사 역사와 추세 = 389
5. 기숙사 관리자의 자질과 협의회 운영 = 391
6 학생복리후생제도 = 392
1. 대학식당 = 392
2.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과 학내보험 = 395
제6장 대학행정의 부속요소들 = 397
1 대외협력론 = 399
1. 국내교류활동 = 399
2. 국외교류활동 = 400
3. 홍보 = 403
2 학교보건론 = 409
3 연구지원론 = 412
1. 연구소와 연구비 = 412
2. 간접연구경비 운용 방안 = 415
3. 학ㆍ연ㆍ산협동과정 = 417
4. Brain Korea 21 사업 = 420
5. 창업론 = 422
6. 도서관 = 426
7. 출판지원 = 432
4 동문회 = 435
제7장 대학기획 및 개혁론 = 437
1 교육환경의 변화와 대학의 경쟁력 제고 = 439
1. 21세기 대학환경의 변화 = 439
2. 21세기 대학의 경쟁력 = 440
3. 지방대학 육성대책 = 447
4. 이공계 기피현상과 대책 = 453
2 교무기획론 = 464
1. 대학 교무기획의 필요성 대두 = 464
2. 국립대학 발전계획 수립 = 465
3. 사립대학 발전계획 수립 = 468
3 부패론 = 470
1. 학사관리부패 = 470
2. 예산관리부패 - 사학들의 이월적립금 증액 = 471
3. 사학기관(대학) 예ㆍ결산서 공개 확대 추진 계획 = 473
4 대학감사론 = 475
1. 감사참관인제 및 수감기관 감사평가제 실시 = 475
2. 감사 현안 및 유형별 분류 = 477
3. 사립대학의 투명한 운영을 위한 감사의 책무성 강화 = 481
5 대학평가론 = 483
1. 대학평가제 = 484
2. 대학교육협의회 주관 대학평가 = 486
3. 중앙일보사 주관 대학평가 = 492
4. 외국의 대학평가제 사례 = 495
5. 대학평가와 정부의 재정지원(국고지원) = 497
6. 21세기 대학평가의 방향 = 501
6 대학개혁론 = 503
1. 대학개혁의 주요사상 = 503
2. 대학개혁의 목적과 대상 = 506
3. 대학개혁의 주요내용 = 507
4. 역대정권의 대학개혁 = 514
5. 대학개혁 추진방향 = 520
6. 세계대학의 개혁 현황 = 525
제8장 대학재정론 = 527
1 대학재정론 = 529
1. 대학재정의 현안 = 529
2. 국립대학재정의 효율성 증대방안 = 533
3. 사립대학재정난 해결방안 = 534
4. 재정구조개선 = 540
2 대학재정관리전략 = 543
1. 대학의 재정충원 유형 = 543
2. 국고보조와 대학재정 분담원칙 = 543
3. 수입증대 전략 = 544
4. 지출감소 전략 = 545
3 대학재정분석기법 = 546
1. 대학경영분석 = 546
2. 대학재무자원 분석 = 550
4 예산형성 및 집행과정 = 554
1. 대학관련 예산법규 = 554
2. 예산편성기법 = 555
3. 수입예산(사립대학) = 563
4. 지출예산(사립대학) = 579
5. 편성 및 심의 = 582
6. 집행과정 = 583
7. 결산 = 583
8. 사후 평가 = 584
5 법인론 = 585
1. 법인과 대학기여 = 585
2. 재단전입금과 인건비지출 = 586
3. 학교법인 수익사업 = 587
4. 수익용 기본재산 운영 건실화방안 = 591
6 구매 및 시설론 = 593
1. 내자구매 = 593
2. 외자구매업무 = 597
3. 구매제도 개선안 = 598
4. 검수 = 599
5. 비품관리업무 = 599
6. 시설관리론 = 601
제9장 비교대학관리론 = 611
1 고등인력 양성현황 = 613
1. 대만 = 613
2. 미국 = 614
3. 일본 = 614
4. 중국 = 616
2 대학관리방식 비교 = 619
1. 교육개혁 = 620
2. 교원임용 및 평가제도 = 621
3. 대학체제 = 622
4. 학기체제 = 623
5. 한미 대학교육체제 비교 = 624
3 21세기 해외대학들의 비전과 전망 = 626
1. 각국의 현황 = 626
2. 세계대학과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 629
제10장 대학원 학사관리론 = 631
1 대학원제도 = 633
1. 대학원의 역사 = 633
2. 대학원의 목적 = 634
3. 한국에서의 대학원 확장 = 634
2 대학원 교육과정 = 636
1. 일반대학원 전공과목 = 636
2. 전문ㆍ특수대학원 전공과목 = 636
3. 대학원 선수과목 = 637
3 학위수여제도 = 639
1. 한국의 학위제도 = 639
2. 외국의 학위제도 = 643
3. 복수학위제도와 공동학위제도 = 643
4. 산학협력학위제도 = 644
5. 명예박사 = 645
4 대학원의 부실 = 647
1. 대학원과 대학원생의 증가 = 647
2. 지원율 저하 및 등록률 감소 = 648
5 각국의 대학원제도 = 650
1. 외국의 대학원 제도 = 650
2. 미국의 대학원 제도 = 652
3. 일본의 대학원 제도 = 654
6 대학원제도의 발전방향 = 657
1. 대학원 중심대학으로의 전환 = 658
2. 우수 연구인력 확보 = 660
3. 우수학생 유치대책 = 661
4. 학과 및 전공분야 특성화 추진 = 662
5. 5년제 학ㆍ석사연계과정 = 662
6. 석ㆍ박사통합과정 = 665
제11장 대학정보화론 = 669
1 대학경영의 효율화와 정보시스템의 변화 = 671
1. 컴퓨터와 대학교육환경의 변화 = 671
2. 대학정보화 = 673
3. 대학행정의 전산화 = 676
2 제3의 대학교육, 21세기의 가상대학 = 677
1. 가상대학(Cyber University)이란? = 677
2. 가상대학의 역사 = 678
3. 해외 가상대학 운영사례 = 679
4. 가상대학의 한계와 가능성 = 682
5. 21세기 가상교육의 방향 = 683
3 한국의 가상대학 = 685
1. 한국 가상대학의 역사 = 685
2. 가상대학의 운영 = 687
3. 교내 가상수업 = 689
4. 국제사이버대학 구축사업 추진 = 690
5. 원격교육연수원 = 691
6. 가상대학(사이버대)의 부실 = 691
7. 향후 전망 = 692
제12장 대학행정의 미래 = 693
1 NCSI와 대학행정 = 695
1. NCSI와 한국대학의 위기 = 695
2. NCSI = 696
2. NCSI 조사 = 697
2 정규과정 외 학위제도 = 700
1. 독학사 학위제도 = 700
2. 시간제학생 등록제 = 701
3. 학점은행제 = 704
3 평생교육과정 = 710
1. 개요 = 710
2. 미국의 평생교육 = 711
3. 한국의 평생교육 = 712
4. 평생직업 학습체제 구축방안 = 713
4 한국 학부제의 발전방향 = 715
1. 연구중심대학과 교육중심대학 = 715
2. 학부제와 최소전공인정학점제 = 716
3. 초대형 학부제의 등장 = 717
4. 한국 학부제의 방향 = 718
5 미국 학부교육의 재조명과 연구대학 = 719
1. 미국 학부교육의 재조명 = 719
2. 연구대학(Research University)이란? = 720
3. 연구대학의 특성 = 722
4. 연구대학의 요건 = 723
5. 학부교육을 바꾸는 10가지 방법(Ten Ways to Change Undergraduate Education) = 724
6. 연구대학의 발전방향 = 732
6 대학행정의 발전 = 734
1. 21세기 한국의 대학교육정책 방향 정립 = 735
2. 북한의 고등교육체제 = 746
3. 통일 후 고등교육체제 = 750
색인목록 = 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