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거시경제학 들어가기
제1장 연구대상과 이해의 방법
1.1 거시경제학 = 4
1.2 거시경제학의 연구대상 = 4
1.2.1 주요거시경제변수의 결정 = 4
1.2.2 경제여건 변화가 가져오는 거시경제변수의 변화 = 5
1.2.3 인플레이션과 실업 = 6
1.2.4 경기변동 = 7
알아둡시다 : 명목변수와 실물변수의 구분 = 7
1.2.5 경제성장 = 8
1.2.6 국제경제에 대한 이해 = 8
1.2.7 경제정책에 대한 이해 = 9
1.3 이해의 방법: 거시경제학 체계 = 9
1.3.1 개별 경제주체의 선택 = 9
1.3.2 시장경쟁을 통한 이해관계의 조정 = 10
1.3.3 총수요-총공급 모형을 활용한 이해 = 10
1.3.4 인플레이션과 실업에 관한 이해 = 11
1.3.5 경기변동과 경제성장에 관한 이해 = 12
1.3.6 정책효과에 관한 이해 = 13
1.4 거시경제학의 이론체계들 = 14
1.4.1 고전경제학, 통화론 및 신고전거시경제학 = 14
1.4.2 케인즈모형, 케인즈학파경제학 및 신케인즈학파경제학 = 16
1.5 경제이론과 경제현실 = 18
1.5.1 실증적 명제와 규범적 명제 = 18
어려워요! :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 19
1.5.2 과학적 접근방법 = 20
1.5.3 이론과 사실 = 21
그게 아니에요 : 경제학자는 회색분자인가? = 21
1.5.4 경제이론 = 23
어려워요! :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 23
알아둡시다 : 그래프의 활용 = 25
요약 = 27
연습문제 = 27
제2장 거시경제현상
2.1 주요 거시경제변수 = 32
2.1.1 국내총생산, 국민소득 및 경제성장률 = 32
잠깐만! : 여가활동과 GDP = 36
2.1.2 물가와 인플레이션 = 37
2.1.3 이자율 = 39
2.1.4 취업, 실업 및 실업률 = 41
2.1.5 국제수지와 환율 = 42
2.2 거시경제변수 사이의 관계 = 45
2.2.1 명목변수와 실물변수 = 45
2.2.2 명목변수와 명목변수 = 46
2.2.3 실물변수와 실물변수 = 47
2.2.4 통화량과 명목변수 및 실물변수 = 47
2.3 우리나라 경제의 과거와 현재 = 48
2.3.1 경제성장 = 48
2.3.2 저축과 투자 = 49
2.3.3 대외교역 = 50
2.3.4 물가상승률, 이자율 및 실업률 = 51
2.4 세계 속의 우리나라 = 54
2.5 북한경제 = 55
그럴 것 같아요 : 행복은 소득 순이 아니잖아요? = 56
요약 = 58
연습문제 = 59
Part 2 경제활동의 순환균형을 통한 거시경제변수의 결정
제3장 경제활동의 순환과 균형
3.1 경제순환의 5대 부문 = 64
3.1.1 가계 = 64
3.1.2 기업 = 65
3.1.3 정부 = 67
3.1.4 대외부문 = 68
3.1.5 금융부문 = 69
3.1.6 화폐와 중앙은행 = 71
3.2 부문간 경제순환의 실제 = 73
3.2.1 생산과 생산물의 처분 = 73
3.2.2 소득의 획득과 처분: 근로, 소비 및 저축 = 76
3.2.3 저축과 투자의 연결: 금융순환 = 77
잠깐만! : 돈과 경제 = 79
3.2.4 화폐의 순환 = 79
3.3 경제의 순환균형 = 81
3.4 순환균형의 변화 = 84
3.4.1 경제교란요인의 유형 = 84
3.4.2 총수요 교란요인 = 85
3.4.3 총공급 교란요인 = 85
3.4.4 파이프 망을 타고 순환하는 물의 흐름과 같은 경제활동의 순환 = 86
3.4.5 경기변동, 경제성장 그리고 경제발전 = 87
3.4.6 거품의 생성과 붕괴 = 90
3.4.7 개방경제의 순환균형 = 92
잠깐만! : 외화 자산은 많이 가질수록 좋다? = 94
요약 = 95
연습문제 = 96
제4장 단순한 거시 모형
4.1 케인즈의 소득지출모형 = 100
4.1.1 등장배경 = 100
4.1.2 소득지출모형의 개요 = 100
4.1.3 소득의 결정 = 102
4.1.4 경제상황의 변화와 소득의 변화 = 103
4.1.5 승수효과 = 104
4.1.6 절약의 역설 = 106
4.2 고전학파의 자연율가설과 화폐수량설 = 107
4.2.1 등장배경 = 107
4.2.2 자연율가설 = 109
4.2.3 화폐수량설 = 110
4.3 총수요-총공급 모형으로서의 소득지출모형과 고전학파모형 = 112
4.3.1 총수요-총공급 모형의 개요 = 113
4.3.2 총수요-총공급 모형으로서의 소득지출모형 = 114
4.3.3 총수요-총공급 모형으로서의 고전학파모형 = 115
4.4 IS-LM모형 = 117
4.4.1 IS커브 = 117
4.4.2 LM커브 = 120
4.4.3 IS-LM균형 = 121
4.4.4 IS-LM모형에서의 정책효과 분석 = 122
잠깐만 : 유동성 함정 = 124
요약 = 125
연습문제 = 126
제5장 총공급과 총수요 모형
5.1 총공급 = 132
5.1.1 개별재화의 공급량 결정 = 132
5.1.2 총공급의 결정 = 133
5.1.3 총공급곡선 = 134
5.1.4 생산요소가격의 변화와 총공급곡선의 이동 = 136
5.1.5 생산성향상과 총공급곡선의 이동 = 137
5.1.6 생산요소시장을 고려한 총공급함수의 도출 = 139
5.2 총수요 = 143
5.2.1 총수요의 구성 = 143
5.2.2 소비와 투자 그리고 재정지출 = 144
5.2.3 화폐시장의 균형 = 145
5.2.4 이자율의 결정 = 147
알아둡시다 : IS-LM과 YD-LM의 차이 = 149
5.2.5 총수요곡선 = 149
5.2.6 총수요곡선의 이동 = 151
5.3 총공급과 총수요의 균형 = 153
5.3.1 물가와 국민소득의 결정 = 154
5.3.2 고용, 임금, 이자율, 소비 및 투자의 결정 = 154
5.3.3 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그 효과 = 155
5.4 경제여건의 변화와 그 결과 = 158
5.4.1 화폐공급량의 증가가 가져오는 경제적 결과 = 159
5.4.2 생산성향상의 경제적 결과 = 160
어려워요! : 커브상의 움직임과 커브자체의 움직임 = 163
요약 = 165
연습문제 = 166
Part 3 거시경제의 미시적 기초
제6장 가계의 경제활동
6.1 두 기간 모형에서의 소비 및 저축 = 172
6.2 소득의 창출 = 173
6.2.1 노동공급의 결정 = 173
6.2.2 노동소득의 결정 = 175
6.2.3 자산소득의 결정 = 176
6.2.4 가계소득 = 177
6.3 소득의 처분: 소비와 저축 = 178
6.3.1 생애예산제약조건 = 178
6.3.2 생애효용함수 = 179
그게 아니네요! : 조삼모사 = 180
6.3.3 소비와 저축의 결정 = 181
6.3.4 소득의 변화와 소비 및 저축의 변화 = 182
6.3.5 이자율의 변화와 소비 및 저축의 변화 = 183
6.3.6 소비함수와 저축함수 = 184
6.4 소비지출의 실제 = 185
6.4.1 횡단면자료 = 185
6.4.2 시계열자료 = 186
6.5 소비수요에 관한 몇 가지 가설 = 188
6.5.1 케인즈의 소비함수: 절대소득가설 = 188
그게 아니네요! : 과소비 = 191
6.5.2 생애주기가설 = 192
6.5.3 항상소득가설 = 195
6.5.4 소비함수 논쟁의 의의 = 199
요약 = 201
연습문제 = 201
제7장 기업의 경제활동
7.1 기업의 생산 활동 = 206
7.1.1 생산함수 = 206
어려워요! : Cobb-Douglas 생산함수 = 208
7.1.2 이윤극대화와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 209
7.1.3 노동수요곡선 = 210
7.1.4 자본재수요곡선 = 212
7.1.5 요소투입량의 결정과 생산량의 결정 = 214
7.2 기업과 투자 = 216
7.2.1 자본재 = 216
7.2.2 자본재와 생산 = 217
알아두면 좋아요 : 규모의 경제 = 218
7.2.3 투자와 자본축적 = 219
7.2.4 투자수요함수 = 220
7.2.5 투자수요곡선 = 222
7.2.6 투자와 관련된 몇 가지 추가적 이슈들 = 223
잠깐만! : 교육은 투자다 = 228
7.3 투자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 = 229
7.3.1 순현재가치법 = 229
7.3.2 내부수익률법 = 231
7.4 투자와 거시경제활동 = 231
7.4.1 투자와 총수요-총공급 = 232
7.4.2 투자와 거시경제의 변화 = 233
잠깐만! : 남이 하면 투기 내가 하면 투자 = 236
요약 = 237
연습문제 = 238
제8장 금융과 화폐
8.1 금융과 화폐의 순환 = 242
8.1.1 금융의 순환 = 242
8.1.2 화폐의 순환 = 244
8.1.3 화폐의 순환과 교환방정식 = 245
8.1.4 통화와 유동성 = 246
8.2 금융과 화폐의 경제적 역할 = 247
8.2.1 화폐와 은행의 등장과정 = 247
8.2.2 거래비용과 신용경제의 발달 = 248
8.2.3 화폐의 역할 = 249
8.2.4 금융의 역할 = 250
8.2.5 화폐와 복지증진 = 251
8.2.6 금융과 복지증진 = 253
8.3 우리나라의 금융제도 = 255
8.3.1 금융시장 = 255
8.3.2 금융기관 = 256
8.3.3 금융인프라 = 257
8.4 화폐의 공급 = 260
8.4.1 화폐공급량의 결정 = 260
8.4.2 본원통화량의 조절 = 262
8.4.3 통화승수의 결정 = 264
8.5 화폐에 대한 수요 = 265
8.5.1 화폐수요에 관한 일반론 = 265
8.5.2 최적재고모형과 화폐수요함수 = 268
8.5.3 자산선택과 화폐수요 = 271
8.6 화폐수량설 = 273
8.6.1 고전적 화폐수량설 = 273
8.6.2 신화폐수량설 = 275
8.7 금융과 거시경제 = 277
8.7.1 금융발전과 경제발전 = 277
8.7.2 금융과 경제위기 = 277
요약 = 280
연습문제 = 281
제9장 거시경제의 일반균형
9.1 생산물 시장의 균형: 총수요와 총공급의 균형 = 286
9.1.1 총수요 = 286
9.1.2 총공급 = 294
9.2 생산요소시장의 균형 = 305
9.2.1 생산요소의 종류 = 306
9.2.2 생산요소의 거래 = 306
9.2.3 고용량의 결정 = 307
9.2.4 총공급량의 결정 = 309
9.3 금융시장의 균형 = 310
9.3.1 금융의 공급: 흑자부문의 선택 = 311
9.3.2 금융의 수요: 적자부문의 선택 = 312
9.3.3 금융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 = 314
9.3.4 이자율의 결정 = 315
9.4 화폐시장의 균형 = 315
9.4.1 화폐에 대한 수요 = 316
9.4.2 화폐의 공급 = 318
9.4.3 화폐시장의 균형 = 321
9.5 거시경제의 일반균형 = 322
요약 = 325
연습문제 = 326
Part 4 거시경제의 역동적 변화
제10장 인플레이션과 실업
10.1 인플레이션 = 332
10.1.1 인플레이션의 측정 = 332
10.1.2 인플레이션과 상대가격 = 332
10.2 인플레이션의 원인 = 335
10.2.1 수요인플레이션 = 336
10.2.2 공급인플레이션 = 338
잠깐만! : hyperinflation = 339
10.3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 340
10.3.1 실제인플레이션과 기대인플레이션 = 340
10.3.2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 341
10.3.3 실제 실질이자율과 기대 실질이자율 = 342
10.3.4 지수연동계약 = 343
10.3.5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계산 = 343
10.4 인플레이션과 거시경제 모형 = 344
10.4.1 YD-LM 모형의 재해석 = 345
10.4.2 화폐공급량 증가율의 변화와 이자율 = 345
10.4.3 초과반응현상 = 347
10.4.4 먼델-토빈효과 = 348
10.5 실업 = 349
10.5.1 우리나라의 고용 상황 = 349
10.5.2 실업의 정의와 실업률의 계산 = 350
10.5.3 노동시장의 짝짓기와 실업 = 350
10.5.4 실업률의 결정 = 351
10.6 실업의 구체적 형태 = 354
10.6.1 마찰적실업 = 354
10.6.2 구조적실업 = 355
10.6.3 탐색모형과 실업 = 356
10.7 고용관련 제도와 정책 = 358
10.7.1 고용보험제도 = 359
10.7.2 최저임금제도 = 359
그게 아니네요! : 최저임금제도와 미숙련노동자 = 360
10.7.3 노동조합 = 361
10.8 인구변화와 실업 및 경기변동과 실업률 = 361
10.8.1 인구변화와 실업률 = 361
10.8.2 경기변동과 실업률 = 362
요약 = 363
연습문제 = 364
제11장 경기변동에 대한 이해
11.1 경기변동의 실상 = 368
11.1.1 경기변동이란? = 368
11.1.2 경기변동의 국면과 전환점 = 369
11.1.3 경기변동의 특징 = 370
11.2 경기변동을 야기하는 요인들 = 371
11.2.1 외생변수와 정책변수 = 372
11.2.2 실물요인과 화폐요인 = 372
11.2.3 수요교란과 공급교란 = 373
11.2.4 국내요인과 해외요인 = 374
11.3 총수요-총공급 모형을 이용한 경기변동 이해 = 374
11.3.1 투자수요의 증가와 경기변동: 총공급곡선이 수직적인 경우 = 374
11.3.2 통화공급량의 증가와 경기변동: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 378
11.3.3 일시적 생산성향상과 경기변동: 공급교란 = 382
11.4 경기변동이론으로서 총수요-총공급 모형에 대한 평가 = 386
11.4.1 무엇을 설명할 수 있었던가? = 386
11.4.2 경기변동이론으로서의 총수요-총공급 모형에 대한 비판 = 387
그렇군요! : 과수원의 경제학 = 388
11.5 필립스커브 = 389
11.5.1 필립스커브의 등장 = 390
11.5.2 필립스커브와 미세조정 = 391
11.5.3 필립스커브의 실상 = 392
11.5.4 기대를 반영한 필립스커브 = 393
11.6 명목변수, 실물변수 그리고 통화량 = 395
11.7 경기안정화 정책 = 396
요약 = 398
연습문제 = 398
제12장 경제성장에 대한 이해
12.1 경제성장의 실상 = 402
12.1.1 경제성장의 의미 = 402
12.1.2 세계경제의 성장 양상 = 403
12.1.3 한국경제의 성장 양상 = 404
12.1.4 성장회계 = 405
12.2 경제성장의 이론 = 407
12.2.1 총수요-총공급 모형과 경제성장 = 407
12.2.2 신고전학파성장모형: 쏠로우모형 = 411
그럴까요? : 대약진 운동 = 418
12.3 신성장모형: 내생적 성장모형 = 419
12.3.1 생산성향상과 경제성장 = 419
12.3.2 인적자본과 경제성장 = 423
12.3.3 무역과 경제성장 = 424
12.3.4 제도와 경제성장 = 427
어려워요! : East Asian Mircale or East Asian Debacle? = 428
12.4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에 대한 이해 = 429
12.5 후진국의 빈곤탈피는 불가능한가? = 433
요약 = 434
연습문제 = 435
Part 5 거시경제정책
제13장 재정정책
13.1 정부와 경제 = 440
13.1.1 정부의 경제적 역할과 한계 = 440
13.1.2 정부의 수입과 지출 = 441
13.2 재정지출과 경제 = 442
13.2.1 재정지출과 총수요 = 442
13.2.2 재정지출과 총공급 = 444
알아두면 좋아요 : 큰정부-작은정부 = 446
13.3 재정지출증가의 결과 = 446
13.3.1 일시적인 증가 = 446
13.3.2 지속적인 증가 = 449
13.3.3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 451
13.3.4 물가에 대한 영향 = 454
13.4 조세와 경제 = 455
13.4.1 조세구조
알아둡시다 : Negative Income Tax = 456
13.4.2 조세와 총수요 = 457
13.4.3 조세와 총공급 = 458
13.5 조세율 변화의 결과 = 459
13.5.1 일시적인 소득세율 인하 = 459
13.5.2 지속적인 소득세율 인하 = 462
13.5.3 조세부과와 장기자본축적량 = 464
13.5.4 세율과 조세수입 = 465
13.6 공공부채 = 466
13.6.1 공공부채가 발생하는 이유 = 466
13.6.2 재정적자와 적자재정 보전 = 467
13.6.3 공공부채의 증감과 경제 = 468
13.6.4 공공부채와 통화량 = 469
13.6.5 공공부채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 470
13.6.6 사회보장제도와 저축 = 472
요약 = 473
연습문제 = 474
제14장 통화정책과 금융정책
14.1 통화정책 = 478
14.1.1 정책목표 = 478
14.1.2 정책의 내용 = 482
14.2 합리적 기대와 통화정책 = 484
14.2.1 통화량변화와 경제활동 = 484
14.2.2 합리적 기대와 총수요-총공급 모형 = 489
어려워요! : 합리적 기대와 균형의 결정 = 490
14.2.3 통화정책에 대한 함의 = 493
14.3 통화정책과 경기안정화 = 494
14.3.1 경기조절정책의 효과 = 494
14.3.2 통화량의 불규칙한 변화 = 494
14.4 바람직한 통화정책 = 495
14.4.1 준칙 대 재량 = 495
14.4.2 전략적통화정책 = 496
14.4.3 동태적 비일관성 = 498
14.5 중앙은행의 독립성 = 499
14.5.1 중앙은행제도와 자유은행제도 = 499
나도 은행가이고 싶어요! : 주조이익 = 500
14.5.2 중앙은행제도의 대안들 = 501
14.5.3 통화제도에 관한 논의와 중앙은행의 독립성 = 501
14.6 금융정책 = 502
14.6.1 금융규제의 논거 = 502
14.6.2 금융정책의 목표와 수단 = 503
14.6.3 금융규제와 금융자율화 = 504
14.6.4 금융규제의 부작용: 이자율규제의 경우 = 505
14.6.5 금융위기와 경제위기 = 506
그게 아니에요! : 금융개방은 만능인가 = 507
14.7 금융의 안정성확보와 금융제도 = 508
14.7.1 최후의 보루인 중앙은행 = 508
14.7.2 금융규제의 완화와 예금보험제도 = 509
14.7.3 금융감독체계 = 510
요약 = 511
연습문제 = 512
Part 6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현상
제15장 국제무역, 국제수지 및 환율
15.1 국제무역과 나라경제 = 520
15.1.1 국제무역의 혜택 = 520
15.1.2 국내총생산, 국민총생산 및 국민총소득 = 523
15.2 국제수지와 환율 = 524
15.2.1 국제수지 = 524
15.2.2 환율 = 525
흥미로워요 : 빅맥지수 = 526
15.3 개방경제의 거시모형 = 527
15.3.1 기본모형의 확장 = 527
15.4 고정환율제도하의 소규모개방경제 = 531
15.4.1 거시경제활동의 결정 = 531
15.4.2 경제환경의 변화와 거시경제 = 534
15.4.3 고정환율제도하의 통화정책 = 539
15.4.4 가격정화플로우 메커니즘 = 540
15.5 변동환율제도하의 소규모개방경제 = 541
15.5.1 거시경제활동의 결정 = 541
15.5.2 경제환경의 변화와 거시경제 = 543
알아둡시다 : 중국은 우리에게 기회인가 위협인가? = 553
요약 = 554
연습문제 = 555
제16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16.1 통상정책 = 558
16.1.1 자유무역과 보호무역 = 558
16.1.2 보호무역정책과 그 결과 = 560
16.1.3 수출촉진과 수입제한 = 563
16.1.4 교역조건 = 564
16.1.5 통상정책의 변화 추세 -보호무역에서 자유무역으로 = 565
16.2 국제수지정책 = 567
16.2.1 국제수지 관리 = 567
16.2.2 외채정책 = 569
16.2.3 금융 및 자본시장 개방 정책 = 570
잠깐만 : 제주도와 서울의 금융 = 571
16.3 환율정책 = 572
16.3.1 화폐주권과 통화통합 = 572
16.3.2 환율정책-자유방임인가 개입인가? = 574
16.3.3 고정환율제도 = 574
16.3.4 변동환율제도 = 577
16.3.5 환율변화와 경상수지 = 578
16.4 개방경제의 거시정책 = 579
16.4.1 개방경제의 재정정책: 균형재정팽창의 경우 = 579
16.4.2 개방경제의 통화정책 = 585
16.5 금융개방, 통화량 그리고 환율 = 590
요약 = 592
연습문제 = 593
참고문헌 = 595
국문색인 = 599
영문색인 =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