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사회자본

사회자본 (9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Lin, Nan 김동윤 , 역 오소현 , 역
서명 / 저자사항
사회자본 / 난 린 지음 ; 김동윤, 오소현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8.  
형태사항
xiv, 375 p. : 삽도, 도표 ; 23 cm.
원표제
Social capital :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기타표제
사회자본 이론의 배경과 발전 과정, 연구 의제 총정리
ISBN
9788984999466
서지주기
참고문헌(p. 341-360),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Social capital (Sociology) Social networks. Social action.
000 00954camccc200313 k 4500
001 000045460501
005 20100807023816
007 ta
008 080623s2008 ulkad b 001c kor
020 ▼a 9788984999466 ▼g 93300
035 ▼a (KERIS)BIB000011320999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02.4 ▼2 22
090 ▼a 302.4 ▼b 2008
100 1 ▼a Lin, Nan ▼0 AUTH(211009)15888
245 1 0 ▼a 사회자본 / ▼d 난 린 지음 ; ▼e 김동윤, ▼e 오소현 옮김.
246 0 3 ▼a 사회자본 이론의 배경과 발전 과정, 연구 의제 총정리
246 1 9 ▼a Social capital :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2008.
300 ▼a xiv, 375 p. : ▼b 삽도,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41-360), 색인수록
650 0 ▼a Social capital (Sociology)
650 0 ▼a Social networks.
650 0 ▼a Social action.
700 1 ▼a 김동윤 , ▼e▼0 AUTH(211009)133476
700 1 ▼a 오소현 , ▼e▼0 AUTH(211009)84156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4 2008 등록번호 1114830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4 2008 등록번호 1114830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자본이론에서 출발하여 이론화 되는 사회자본 개념을 소개한다. 자본, 인적자본, 물적자본, 문화자본 등 여러 자본이론과 비교해 사회자본의 요소와 사회자본이 개인과 집단에 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한다. ‘사회자본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사이에 사회자본이 작용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자본은 개인의 지위와 명예를 바꾸었다.
다원화, 네트워크화 된 현대는 사회자본의 시대이다.
지금 알아야 할 사회자본 이론의 핵심을 짚었다.


자본이론에서 출발하여 이론화 되고 있는 사회자본 개념에 대해 소개한 책이다. 자본, 인적자본, 물적자본, 문화자본 등 여러 자본이론과 비교해 사회자본의 요소와 사회자본이 개인과 집단에 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한다. 사회자본 이론이 사회과학 연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회자본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또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사이에 사회자본이 작용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사회자본이란 개념이 생소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에 속하여 살아가는 이상 개인과 집단은 사회자본을 선택하고 소유하고 소비한다. 이 책은 사회자본의 개념을 소개하고 개인과 집단에 의해 사회자본이 어떻게 선택되는지 설명한다. 더불어 사회자본의 영향과 사이버스페이스 안에서의 사회자본의 영향까지 다루었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부에서는 자본이론의 역사를 설명하고 사회자본 개념을 자본이론에서 이끌어와 설명하였다. 자원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구조에 배태되는 방식을 설명하고, 행위자가 선택 행위를 하는 방식에 동기와 상호작용이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설명하였다. 이어 사회자본 이론의 구성 요소를 요약하고, 이 이론의 전제 조건을 체계적으로 소개한 후, 사회자본 이론 연구의 유용함을 증명하였다. 사회자본과 지위 획득의 관계와 사회자본의 불평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연구로 1부를 마무리하였다.
제2부에서는 사회자본 이론을 보다 다양한 연구 영역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선택 행위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제도적이고 구조적인 맥락으로 관심을 전환하였다. 먼저 선택 행위가 사회구조를 이끈다는 주장의 이론적 가능성을 조사하였고, 사회적 교환이 합리성을 수반하는 방법을 보여줌으로써 선택 행위가 사회구조를 이끌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또한 사회자본 이론이 현재의 제도와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그리고 대안 제도를 통해 획득되는 자본의 창출이라는 맥락에서 사회변동을 설명하는 데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사이버 공간 내 사회적 관계의 폭증과 사회자본이 감소하거나 죽어가고 있다는 때 이른 주장을 재평가하기 위하여 사이버 공간의 중요성을 되새겨보았다. 다시 말해 사회적 관계와 네트워크에서의 행위와 선택이 보유되고 세계화되는 방식을 다루었고, 나아가 이것이 기술적으로 보다 선진화된 사회에서 더 많은 권력과 생명력을 획득하게 되는 방식을 논의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난린(지은이)

2008년 현재 듀크대학교의 사회학과, 아시아태평양연구소의 교수이다. 인민대학교, 후아종대학교, 난카이대학교, 후단대학교, 중산대학교의 명예교수로도 활동한다. 미국사회학회의 부회장을 지냈고, 타이완의 선구적인 연구소인 아카데믹 시니카의 회원이다. 저서로는 The Study of Human Communication(1973), Foundation of Social Research(1976), Social Support, Life Events and Depression(1986 공저), The Struggle for Tiananmen(1992)이 있다. 피터 마스든(Peter Marsden)과 함께 쓴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1982)의 공동편집자이다. 그의 저작들은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Social Forces 등 저명한 저널에 실려 있다.

김동윤(옮긴이)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경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및 지역이사, 한국방송학회 미디어교육 및 산학협력위원, KBS 뉴스옴부즈맨 위원(2, 3기) 등을 역임했다. 교육자로서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성찰과 함께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기반 저널리즘 및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정치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탐구하는 문제에 주된 연구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사회자본」(공역, 2008), 「뉴스 수용자의 진화」(공저, 2010),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공역, 2012), 「한국의 인터넷뉴스」(공저, 2013),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공저, 2013) 등이 있다. 논문은 “정보테크놀로지, 전자감시, 그리고 프라이버시 위기”(2006), “가상공간에서의 정치토론과 시민적 태도” (2007), “가상공간 내 정치토론, 의견의 질, 그리고 시민참여”(2007), “정권시기별 ‘북핵 실험 및 미사일 발사’ 관련 보도양상과 프레임”(2015), “온라인 커뮤니티는 토론난제에서도 대안적인가?”(2015), “관여도에 따른 트위터 이용자의 읽기와 쓰기 행위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2015), “소셜 미디어에서 온라인 의견지도자와 의견표명”(2015) 등 다수가 있다.

오소현(옮긴이)

미국 보스턴 칼리지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에서 미디어에 사용된 은유적 표현과 정치적 여론 형성과의 관련성을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역서로 『사회자본』(공역)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PD저널리즘에 대한 제작진의 인식과 제작 관행”(공저), “수평적 결합이 개별 SO의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공저)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ⅴ
역자 서문 = ⅹ
제1부 이론과 연구
 1 자본이론: 역사적 기초 = 3
  고전적 이론: 자본에 관한 마르크시즘적 견해 = 4
  신자본 이론: 인적자본 = 10
  문화자본: 하나의 논쟁 = 18
  신자본 이론적 설명 방식: 구조적으로 강제된 행위 = 22
 2 사회자본: 사회적 관계를 통하여 포착된 자본 = 25
  사회자본은 왜 작동하는가? = 26
  관점을 달리하는 것과 개념화하기 = 28
  쟁점과 명료화 = 34
 3 자원, 위계, 네트워크, 그리고 동질성: 구조적 기초 = 40
  자원과 자원의 사회적 할당 = 41
  자원의 거시구조: 위계와 사회적 지위 = 46
  상호작용과 동질성: 네트워크 형성과 사회자본 = 53
  결어 = 56
 4 자원, 동기, 그리고 상호작용: 행위의 기초 = 57
  '무엇을 아는가가 아니라 누구를 아는가': 자원의 미시구조 = 57
  자원을 위한 동기: 목적 지향적 행위 = 63
  동질적 상호작용과 이질적 상호작용 = 65
  상호작용을 이끄는 행위: 기대의 형성 = 67
  자본화에서의 구조적 강제와 기회 = 72
  결어 = 73
 5 사회자본 이론과 그 이론적 명제 = 78
  사회자본 이론 = 78
  사회자본 이론의 가정 = 80
  이론적 명제: 구조적으로 배태된 자원과 목적 지향적 행위 = 84
  행위 효과의 구조적 우연성 = 104
  결어 = 107
 6 사회자본과 지위 획득: 연구전통 = 110
  공식적 연구와 이론적 기초 = 112
  사회적 자원과 사회자본: 이론적 수렴 = 115
  연구 모델과 증거 = 116
  쟁점과 연구 방향 = 131
  결어 = 138
 7 사회자본의 불평등: 연구 의제 = 140
  이론적 논의 = 141
  연구, 표집, 그리고 자료 = 145
  인적, 제도적 자본에서의 결손 = 148
  사회자본의 측정: 지위생성기 = 149
  여성을 위한 사회자본의 결손 = 151
  사회자본 결손에 대한 향후의 분석 = 155
  사회자본으로 돌아가서 = 160
  요약과 논의 = 171
제2부 개념의 확장
 8 사회자본과 사회구조의 등장: 합리적 선택이론 = 179
  사회학적 이론화 = 181
  행위의 원칙들: 손실의 최소화와 이득의 최대화 = 184
  인지와 이익: 상호작용 원칙들 = 185
  자원의 계승과 전환: 원시집단의 탁월성 = 187
  인적자본, 사회자본,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 = 189
  집단과 공적자본 = 194
  사회적 계약 = 196
  사회체계에서의 긴장의 근원 = 197
  결어 = 199
 9 명성과 사회자본: 사회적 교환을 위한 합리적 기초 = 202
  교환: 사회적 요소와 경제적 요소 = 203
  거래와 관계의 합리성 = 211
  정교화된 관계의 합리성 = 213
  요약 = 217
  향후의 분석 = 221
 10 위계구조에서의 사회자본 = 231
  구조적 변수와 그 효과 = 235
  자원의 차이 = 241
  구조와 개인을 위한 함의 = 243
  구조적 강제 대 사회자본 = 244
  개인적 행위 대 사회자본 = 250
  동원과 결속감: 몇 가지 정책적 함의 = 252
 11 제도, 네트워크, 그리고 자본의 형성: 사회변동 = 256
  제도 영역과 조직-사회 동일 구조 = 260
  자본의 흐름 = 263
  조직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직화: 대리인 신뢰하기와 강제하기 = 266
  제도적 전환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네트워크 = 269
  안으로부터의 전환: 미국에서의 여성연구 = 272
  대안 제도화 구성하기: 중국의 공산당 혁명 = 278
  요약 = 286
  결어 = 288
 12 사이버 네트워크와 지구촌: 사회자본의 융성 = 290
  인터넷과 사이버 네트워크: 새로이 등장하는 사회자본 = 293
  파룬궁: 사회자본과 사회운동 사례연구 = 299
  결어 = 326
제3부 글을 마치며
 13 사회자본 이론의 미래 = 331
  사회자본 모델링하기 = 332
  거시적 함의와 미시적 함의 = 337
참고문헌 = 341
찾아보기 = 361

관련분야 신착자료

Pegrum, Mark (2022)
Kylie Jarrett (2022)
Stirner, Max (2023)
김원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