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숀 세이어즈의 플라톤 『국가』해설 (Loan 19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Sayers, Sean 김요한, 역
Title Statement
숀 세이어즈의 플라톤 『국가』해설 / 숀 세이어즈 지음 ; 김요한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서광사,   2008  
Physical Medium
312 p. ; 23 cm
Varied Title
Plato's Republic : an introduction
ISBN
978893060625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93]-306)과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Plato.   Republic  
000 00830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460500
005 20121016132216
007 ta
008 080616s2008 ggk b 001c kor
020 ▼a 9788930606257 ▼g 93160
035 ▼a (KERIS)BIB000011332297
040 ▼a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21.07 ▼2 22
085 ▼a 321.07 ▼2 DDCK
090 ▼a 321.07 ▼b 2008
100 1 ▼a Sayers, Sean ▼0 AUTH(211009)25475
245 1 0 ▼a 숀 세이어즈의 플라톤 『국가』해설 / ▼d 숀 세이어즈 지음 ; ▼e 김요한 옮김
246 1 9 ▼a Plato's Republic : ▼b an introduction
260 ▼a 파주 : ▼b 서광사, ▼c 2008
300 ▼a 312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93]-306)과 색인수록
600 0 0 ▼a Plato. ▼t Republic
700 1 ▼a 김요한, ▼e▼0 AUTH(211009)120066
900 1 0 ▼a 세이어즈, 숀, ▼e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21.07 2008 Accession No. 1114830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07 2008 Accession No. 111529389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4-01-15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양의 고전들 중에서 단연 으뜸으로 꼽히는 플라톤의 『국가』를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했다. 현대의 논쟁점들을 배경으로 공동체의 의미를 되살리면서 동시에 현대 사회에서 발전된 자유와 개체성의 가치를 들어 플라톤의 사상을 설명하고 플라톤의 철학사상이 가진 현대적 의미를 강조한다.

서양의 고전들 중에서 단연 으뜸으로 꼽히는 플라톤의 『국가』를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한 《숀 세이어즈의 플라톤 『국가』 해설》이 철학서적 전문 출판사인 서광사에서 출간되었다.

플라톤의 『국가』는 서양철학의 초기 작품들 중 하나로, 많은 독자를 가지고 현재까지 전해지는 위대한 작품으로 영향력을 갖는다. 『국가』는 정치철학, 윤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논리학, 미학, 예술철학등의 철학분야에서 광범위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이에 대해 다양한 시사점을 담고 있다.

특히 “이상사회”를 기술하면서 사회 내의 안정과 조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통치자들에게 사유재산제도 등을 폐지하고 엄격한 계율의 삶과 공동체적 삶을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플라톤의 급진적인 대책들은 종종 공산주의의 전조로 간주되어 사회주의 대(對) 자유주의 (또는 개인주의)라는 논쟁에 휘말리기도 했다. 그러나 현대 정치사상은 소련 공산주의의 종식으로 자유시장을 옹호하는 체제에 지배되고 있으며, 플라톤은 자본주의보다 더 나은 삶의 방식을 요구하는 논의 속에서 다시 등장한다. 그는 개인 자유주의에 대한 중요한 대안으로 공동체주의 사회를 제시하며, 사회주의의 핵심 관념들과 연관지어 철학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저자 숀 세이어즈 교수는 이러한 현대의 논쟁점들을 배경으로 공동체의 의미를 되살리면서 동시에 현대 사회에서 발전된 자유와 개체성의 가치를 들어 플라톤의 사상을 설명하고 있다. 또 이러한 사상이 후대 철학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어떤 방식으로 우리사회에 기여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면서 플라톤의 철학사상이 가진 현대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국가』를 각 권마다 따라가면서 주요 관념들을 설명하며 현대적 관점에서 그 의미와 타당성을 살피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쾌하고 간결한 문체로 쓰여 일반 독자뿐만 아니라 철학과 정치사회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도 플라톤의 『국가』를 이해하는 데 이상적인 참고서가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숀 세이어즈(지은이)

캠브리지대학을 졸업하고 옥스퍼드대학과 캠브리지대학에서 석사과정을 공부했으며 켄트(Kent)대학에서 헤겔과 마르크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세계 여러 대학의 방문 교수로 재직하면서 수많은 강연들로 젊은 연구자들을 매료시켰으며 2008년 현재까지 헤겔과 마르크스 철학에 관한 방대한 논문들과 연구서들을 발간한다. 2008년 현재 영국 캔터베리의 켄트대학교 철학과에 봉직한다. 지은 책으로 Marxism and Human Nature(Routledge, 1998), Reality and Reason: Dialectic and the Theory of Knowledge(Blackwell, 1985), Hegel, Marx and Dialect: A debate(1980, reprinted Gregg, 1994)가 있으며, Socialism, Feminism and Philosophy: a Radical Philosophy Reader(Routledge, 1991), Socialism and Democracy(Macmillan, 1991), Socialism and Morality(Macmillan, 1990)를 공동 편집했다. 또한 Radical Philosophy(1972)와 The Marx and Philosophy Society(2003)의 창간이사다. 2008년 현재 마르크스와 헤겔의 소외이론과 자아실현이론에 관한 저술을 집필 중이다.

김요한(옮긴이)

전북대학교 철학과에서 서양 고·중세철학, 예술철학, 사회철학, 프랑스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전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그리스 아테네대학교에서 서양 고대철학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벨기에 루벵대학교K. U. Leuven 고·중세 연구소에서 헬레니즘과 그리스도교 철학을 주제로 박사 후 과정을 마쳤다. 지은 책으로는 《단숨에 이해하는 자유론》 《예술의 정의》 《서양 고대 그리스와 철학》 《고대 그리스 철학의 감정이해》(공저) 《명예란 무엇인가》(공저) 《인문고전읽기》(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숀 세이어즈의 플라톤 국가해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입문》 《롤스의 정의론 입문》 《밀의 자유론 입문》(공역)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긴이의 말 = 7
한국 독자께 = 10
감사의 글 = 14
서문 = 21
1. 플라톤과 국가 = 27
 『국가』 = 32
 논증 구조 = 34
 도서 안내 = 38
2. 소크라테스에게 던져진 도전(제1권 327a-제2권 367e) = 41
 케팔로스와 폴레마르코스 = 42
 트라쉬마코스와의 만남 = 46
 글라우콘과 아데이만토스 = 52
 도서 안내 = 56
3. 사회적 삶의 기본 원리들과 인간 본성(제2권 367e-376c) = 59
 사회와 개인 = 60
 유기체의 유비 = 62
 전문화와 노동의 구분 = 65
 사회 질서 = 69
 필요들과 욕구들 = 72
 도서 안내 = 76
4. 수호자들의 교육과 삶(제2권 376c-제4권 427e) = 77
 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도덕적 역할 = 79
 교육의 내용과 형식 = 82
 교육 검열 = 85
 주입과 교육 = 88
 선전선동과 진리 = 92
 도서 안내 = 95
5. 공동체주의와 개인(제3권 415d-제4권 427c) = 97
 고대 공동체주의와 현대 공동체주의 = 101
 사회와 개인 = 106
 도서 안내 = 113
6. 사회 내의 정의(제4권 427d-434d) = 115
 지혜(428d-429a) = 117
 용기(429a-430c) = 118
 자기 훈육(430d-432b) = 119
 정의(432b-434d) = 123
 조화로운 사회에 대한 관념 = 125
 비판적 개념으로서 이상 = 127
 개인들의 이익과 사회 이익 = 128
 전문화의 윤리 = 131
 도서 안내 = 133
7. 개인들 내의 정의(제4권 434d-제5권 449a) = 135
 자아의 구분 = 136
 이성과 기개와 욕구들 = 139
 개인들 속에 있는 덕들 = 142
 정의와 정신건강 = 144
 쾌락주의의 거부 = 146
 플라톤의 답은 오류인가? = 149
 도서 안내 = 156
8. 여성과 가족(제5권 449a-471c) = 159
 여성의 지위 = 161
 결혼과 가족 = 166
 사회적 통합의 필요 = 167
 계획된 사회라는 관념 = 171
 도서 안내 = 175
9. 철학과 사회(제5권 471c-제6권 502c) = 177
 유토피아적 접근방식 = 178
 철학적 지식의 본성 = 181
 사회 내의 철학자 = 183
 이성적인 사회에 관한 관념 = 188
 철학적 통치에 관한 관념 = 191
 플라톤은 '반정치적인' 철학자인가? = 193
 도서 안내 = 196
10. 형상 이론 = 199
 몇 가지의 예들 = 200
 두개의 '세계들' = 201
 신념의 대상과 지식의 대상 = 203
 이원론의 문제 = 207
 선험적(a priori) 지식 = 209
 본질으로서 형상 = 212
 이상으로서 형상 = 216
 선의 형상 = 218
 몇 가지 실천적 함의들 = 221
 도서 안내 = 223
11. 선분과 동굴과 고등교육(제6권 509d-제7권 541b) = 225
 분할된 선분(509d-511e) = 226
 동굴(514a-521b) = 230
 동굴로의 귀환 = 233
 변증술 = 238
 도서 안내 = 243
12. 소피스트들에게 회답(제8권 543a-제9권 592b) = 245
 사회의 타락과 자아의 타락(543a-576b) = 245
 정의와 부정의의 대조(576b-592b) = 250
 거짓 쾌락에 관한 개념 = 255
 부(富)에 관한 태도들 = 257
 결론적인 상념들 = 262
 도서 안내 = 264
13. 철학과 시(詩)의 반목(제10권 595a-608b) = 267
 예술의 모방 = 268
 시에 관한 공격 = 269
 해묵은 반목 = 272
 시와 철학 = 274
 철학과 시 = 276
 예술과 정서들 = 279
 도서 안내 = 280
14. 정의의 보상(제10권 608c-621d) = 283
 영혼의 불멸성(608c-612a) = 283
 현세에 이루어질 정의에 대한 보상(612a-614a) = 286
 에르(◆U0112◆r) 신화 = 289
 도서 안내 = 292
참고문헌 = 293
찾아보기 = 30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