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ⅳ
01 서론 = 1
1.1 언어의 중요성 = 1
1.2 언어의 기능 = 2
1.3 담화와 의사소통 = 4
1.4 담화와 텍스트 = 6
1.5 텍스트성 = 8
1.5.1 응결성 = 10
1.5.2 응집성 = 11
1.5.3 의도성 = 13
1.5.4 용인성 = 14
1.5.5 정보성 = 17
1.5.6 상황성 = 18
1.5.7 상호텍스트성 = 19
1.6 담화의 상황 = 20
1.7 담화의 분류 = 21
1.8 요약 = 23
02 담화 자질 = 25
2.1 정보의 유형 = 26
2.2 한정성과 특정성 = 35
2.3 의사소통 역량 = 38
2.4 감정이입 = 40
2.5 요약 = 54
03 주제 = 57
3.1 주제의 개념 = 57
3.1.1 주제의 기능 = 58
3.1.2 주제의 선택 = 59
3.2 주제의 표현 = 61
3.2.1 표현의 특성 = 61
3.2.2 주제의 수 = 62
3.3 주제의 유형 = 64
3.3.1 무표적 주제 = 64
3.3.2 유표적 주제 = 65
3.4 주제화와 어순 변형 = 65
3.4.1 주제화 = 66
3.4.2 좌향 전위 = 71
3.4.3 우향 전위 = 74
3.4.4 수동화 = 76
3.5 요약 = 88
04 초점 = 91
4.1 초점의 개념 = 91
4.2 초점의 표현 = 92
4.2.1 음운적 방법 = 92
4.2.2 통사적 방법 = 93
4.2.3 초점의 수 = 94
4.3 초점의 유형 = 97
4.3.1 문미 초점 = 97
4.3.2 대조적 초점 = 99
4.4 초점화 부가어 = 100
4.4.1 부가어의 유형 = 100
4.4.2 부가어의 위치 = 102
4.5 초점화와 어순 변형 = 106
4.5.1 There 삽입 = 107
4.5.2 서술어 도치 = 113
4.5.3 문주어 외치 = 119
4.5.4 관계절 외치 = 121
4.5.5 여격 이동 = 124
4.5.6 분리 구문 = 127
4.6 요약 = 133
05 지시 = 137
5.1 지시의 개념 = 137
5.2 지시의 유형 = 138
5.2.1 상황적 지시 = 138
5.2.2 문맥적 지시 = 139
5.3 지시 표현 = 140
5.3.1 한정적 표현 = 140
5.3.1.1 고유명사 = 140
5.3.1.2 한정 명사구 = 141
5.3.1.3 인칭대명사 = 144
5.3.1.4 소유사 = 149
5.3.1.5 재귀대명사 = 150
5.3.1.6 지시사 = 151
5.3.2 비한정적 표현 = 161
5.4 요약 = 163
06 생략 = 165
6.1 생략의 개념 = 165
6.2 생략의 특성 = 166
6.2.1 맥락의존성 = 166
6.2.2 복원가능성 = 167
6.2.3 동일성 = 169
6.2.4 선택성 = 170
6.3 생략의 동기 = 171
6.3.1 경제성 = 171
6.3.2 정보성 = 172
6.3.3 응결성 = 175
6.4 생략의 유형 = 176
6.4.1 문맥적 생략 = 176
6.4.2 상황적 생략 = 178
6.4.3 구조적 생략 = 179
6.4.4 전보적 생략 = 180
6.5 요약 = 182
07 대용 = 183
7.1 대용의 개념 = 183
7.2 대용의 특성 = 184
7.2.1 맥락의존성 = 185
7.2.2 복원가능성 = 186
7.3 대용의 동기 = 188
7.3.1 경제성 = 188
7.3.2 정보성 = 189
7.3.3 응결성 = 189
7.4 대용의 유형 = 190
7.4.1 명사 대용 = 190
7.4.2 동사 대용 = 197
7.4.3 절 대용 = 203
7.5 요약 = 208
08 직시 = 209
8.1 직시의 개념 = 209
8.2 직시의 중심 = 210
8.2.1 무표적 중심 = 211
8.2.2 유표적 중심 = 212
8.3 직시적 표현 = 213
8.3.1 제스처 용법 = 213
8.3.2 상징적 용법 = 214
8.4 직시의 유형 = 215
8.4.1 인칭 직시 = 215
8.4.2 장소 직시 = 227
8.4.3 시간 직시 = 230
8.4.4 담화 직시 = 233
8.4.5 사회 직시 = 235
8.5 요약 = 239
09 시제 = 243
9.1 시간적 개념 = 243
9.1.1 시간과 시제 = 244
9.1.2 동사의 의미 자질 = 245
9.2 전통적 견해 = 246
9.2.1 직접 발화와 시제 = 247
9.2.2 간접 발화와 시제 = 252
9.3 시제의 의미 = 254
9.4 시제의 기능 = 257
9.4.1 직시 기능 = 257
9.4.2 서법 기능 = 258
9.4.2.1 공손성 = 259
9.4.2.2 초점화 = 262
9.4.2.3 관련성 = 267
9.4.2.4 실현성 = 275
9.5 요약 = 277
10 부정 = 279
10.1 부정의 개념 = 279
10.2 부정의 형태 = 280
10.2.1 접사 부정 = 280
10.2.2 비접사 부정 = 282
10.3 부정과 의미 = 283
10.3.1 접사 부정과 비접사 부정 = 283
10.3.2 Not-부정과 No-부정 = 290
10.4 작용역과 초점 = 297
10.5 부정의 분류 = 301
10.5.1 작용역에 따른 분류 = 301
10.5.1.1 절 부정 = 301
10.5.1.2 국지적 부정 = 302
10.5.1.3 서술 부정 = 304
10.5.2 진리치 적용에 따른 분류 = 305
10.5.2.1 기술적 부정 = 306
10.5.2.2 상위언어적 부정 = 307
10.5.3 전달 방법과 대상에 따른 분류 = 310
10.5.3.1 명시적 부정과 암시적 부정 = 310
10.5.3.2 명제 부정과 함축 부정 = 312
10.6 부정의 사용 = 314
10.6.1 구어 담화와 문어 담화 = 314
10.6.1.1 구어 담화 = 314
10.6.1.2 문어 담화 = 318
10.6.2 부정의 선택 조건 = 321
10.6.2.1 접사ㆍ비접사 부정의 선택 = 321
10.6.2.2 NotㆍNo 부정의 선택 = 326
10.7 요약 = 332
11 전제 = 335
11.1 전제의 개념 = 335
11.2 역사적 배경 = 337
11.3 언어학적 연구 = 341
11.3.1 의미론적 견해 = 342
11.3.1.1 취소불가능성 = 342
11.3.1.2 축적 가설 = 351
11.3.1.3 투사 문제 = 352
11.3.1.4 상속 표현 = 360
11.3.2 화용론적 견해 = 362
11.3.2.1 상호 지식 = 362
11.3.2.2 구정보 = 369
11.3.2.3 삭제 방법 = 372
11.3.3 의사소통적 전제 = 375
11.3.3.1 문장 전제 = 376
11.3.3.2 발화 전제 = 377
11.3.3.3 화자 전제 = 380
11.3.3.4 청자의 태도 = 382
11.4 요약 = 385
참고문헌 = 389
찾아보기 =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