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교육과 교육행정 = 1
1. 교육행정의 개념과 의미 = 3
2. 교육행정의 성격과 원리 = 7
3.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 12
4. 한국 초등교육행정의 발전 과정과 과제 = 16
2장 교육조직 = 23
1. 교육조직의 개념과 특징 = 25
2. 교육조직의 구조 = 53
3. 교육조직의 문화와 풍토 = 71
3장 교육제도 = 91
1. 교육제도의 의미 = 93
2. 지방교육자치제도 = 105
3. 학교 자율 운영 제도 = 116
4. 교육제도의 현안과 과제 = 127
4장 교육정책 = 135
1. 교육정책의 개념과 본질 = 137
2. 교육정책의 과정 = 145
3. 한국 교육정책의 특질: 근래의 상황 = 157
4. 교육정책과 교사 = 164
5장 교육법 = 169
1. 교육법의 기본원리와 체계 = 171
2. 교육기본권의 헌법보장 = 180
3. 주요 교육법규의 실제 = 185
4. 교육법 현안과 과제 = 193
6장 교육재정 = 207
1. 교육재정의 개념 및 가치준거 = 210
2. 교육재정의 구조 = 217
3. 학교회계 제도 = 223
7장 교육행정평가 = 243
1. 교육행정평가의 기초 = 246
2. 교원평가 = 249
3. 학교평가 = 263
8장 장학 = 281
1. 장학의 개념과 성격 = 283
2. 장학이론의 발달 = 288
3. 장학의 유형 = 292
4. 최근에 등장한 장학이론 = 296
5. 장학과 수업의 질 개선 = 301
6. 장학조직 및 장학담당자의 전문화 = 308
참고자료 1. 초등학교 현장교사가 본 장학지도 = 312
참고자료 2. 초등전문직(장학사)의 입장에서 본 장학지도 = 313
9장 교육인사행정 = 319
1. 교육인사행정의 기초 = 322
2. 교원의 채용 = 328
3. 교사의 능력계발 = 340
4. 교사의 사기 앙양 = 346
참고자료 = 350
10장 의사결정 = 355
1. 의사결정의 개념 및 단계 = 357
2. 의사결정 모형 = 365
3. 의사결정과 구성원의 참여 = 371
4. 의사결정의 제약요인 및 집단적 의사결정의 장애요인 = 377
11장 의사소통 = 385
1. 의사소통의 개념 = 388
2. 의사소통의 기능과 원리 = 391
3. 의사소통의 과정 모형 및 구성 요소 = 394
4. 의사소통의 유형 = 400
5. 초등학교의 의사소통 실태 = 407
6. 의사소통 장애 요인 및 극복 방안 = 412
12장 지도성과 동기 = 423
1. 지도성 개관 = 425
2. 지도자 행위에 대한 연구 = 432
3. 행정지도성과 교육(수업)지도성 = 435
4. 지도성과 동기 = 439
5. 지도성 및 추종자의 동기 사례연구 = 444
13장 초등학교에서의 갈등 관리 = 451
1. 갈등의 의의 = 454
2. 갈등 이해를 위한 심리학적ㆍ사회학적 기초 = 457
3. 학교내 갈등 발생 원인 = 462
4. 갈등 관리 = 475
5. 우리나라 초등학교 갈등 관리 = 482
찾아보기 = 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