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유아교육사상사 : 이해를 돕기 위한 역사와 사상적 접근

유아교육사상사 : 이해를 돕기 위한 역사와 사상적 접근 (Loan 1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구경선
Title Statement
유아교육사상사 : 이해를 돕기 위한 역사와 사상적 접근 / 구경선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교육아카데미 ,   2008.  
Physical Medium
268 p. : 삽도 ; 26 cm.
ISBN
978898725277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000 00568namccc200205 k 4500
001 000045460381
005 20100807023609
007 ta
008 080806s2008 ulka b 001a kor
020 ▼a 9788987252773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2101 ▼2 22
090 ▼a 372.2101 ▼b 2008z1
100 1 ▼a 구경선 ▼0 AUTH(211009)31128
245 1 0 ▼a 유아교육사상사 : ▼b 이해를 돕기 위한 역사와 사상적 접근 / ▼d 구경선 지음.
260 ▼a 서울 : ▼b 교육아카데미 , ▼c 2008.
300 ▼a 268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01 2008z1 Accession No. 1114829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01 2008z1 Accession No. 1114829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구경선(지은이)

서울신학대학교에서 기독교교육을 전공하고 연세대학교대학원에서 교육철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본대학교(Rheinische Friedrich?Wilhelms Universit?t zu Bonn)에서 교육학을 전공하고 신학과 심리학을 부전공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신학대학교 보육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보육정책학회 회장과 열린유아교육학회 이사를 맡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chapter 01 고대의 교육
 1. 그리스의 유아교육사상 = 13
  1) 시대적 배경 = 13
  2) 교육적 배경 = 14
   (1)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교육 = 14
   (2) 소피스트의 교육 = 18
   (3) 헬레니즘 시대의 교육 = 20
  3) 교육사상가 = 21
   (1) 소크라테스 = 21
   (2) 플라톤 = 24
    가. 생애와 업적 = 24
    나. 교육사상 = 25
   (3) 아리스토텔레스 = 35
    가. 생애와 업적 = 35
    나. 교육사상 = 36
 2. 로마의 교육 = 43
  1) 시대적 배경 = 43
  2) 교육적 배경 = 44
  3) 교육사상가 = 47
   (1) 키케로 = 47
    가. 생애와 업적 = 47
    나. 교육사상 = 48
   (2) 퀸틸리아누스 = 48
    가. 생애와 업적 = 48
    나. 교육사상 = 49
chapter 02 중세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 55
 2. 교육적 배경 = 59
  1) 기독교 학교 제도 = 59
  2) 세속교육 = 61
  3) 대학 = 62
 3. 교육사상가 = 64
  1) 아우구스티누스 = 64
   (1) 생애와 업적 = 64
   (2) 교육사상 = 67
    가. 인간 이해 = 67
    나. 교육의 목적 = 68
    다. 교사론 = 69
    라. 교육내용 및 방법 = 70
  2) 아퀴나스 = 72
   (1) 생애와 업적 = 72
   (2) 학문의 이해 = 74
   (3) 교육사상 = 76
    가. 인간의 정신과 육체 = 76
    나. 교육목적과 내용 = 77
    다. 교육방법 = 78
chapter 03 르네상스와 종교개혁기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 81
 2. 교육적 배경 = 84
 3. 교육사상가 = 86
  1) 에라스무스 = 86
   (1) 생애와 업적 = 86
   (2) 교육사상 = 88
    가. 교육목적 = 88
    나. 아동교육론 = 90
  2) 루터 = 92
   (1) 생애와 업적 = 92
   (2) 교육사상 = 94
    가. 인간이해 = 94
    나. 교육의 필요성 = 95
    다. 교육목적과 내용 = 96
    라. 교육방법 = 97
chapter 04 실학주의 시대와 교육
 1. 시대적 배경 = 101
 2. 교육적 배경 = 102
 3. 교육사상가 = 105
  1) 코메니우스 = 105
   (1) 생애와 업적 = 105
   (2) 교육사상에 미친 역사적 배경 = 108
    가. 사상적 배경 = 108
    나. 종교적 배경 = 111
   (3) 교육사상 = 113
    가. 교육대상 = 113
    나. 교육내용 = 115
    다. 교육방법 = 118
   (4) 영유아기의 교육 = 121
chapter 05 계몽주의 시대와 교육
 1. 시대적 배경 = 133
 2. 교육적 배경 = 136
  1) 합리주의 = 136
  2) 시민교육과 직업교육 = 137
  3) 자연주의 교육 = 138
 3. 교육사상가 = 139
  1) 루소 = 139
   (1) 생애와 업적 = 139
   (2) 아동관 = 143
    가. 자연인 = 143
    나. 아동기 = 147
    다. 아동기의 특성 = 148
   (3)『에밀』에서의 교육론 = 152
chapter 06 신인문주의 시대와 교육
 1. 시대적 배경 = 163
 2. 교육적 배경 = 166
 3. 교육사상가 = 168
  1) 페스탈로치 = 168
   (1) 생애와 업적 = 168
   (2) 인간관 = 174
   (3) 인간과 교육과의 관계 = 179
   (4) 유아교육사상 = 181
    가. 유아교육의 중요성 = 181
    나. 교육목적 = 182
    다. 교육내용 = 183
    라. 교육방법 = 188
  2) 프뢰벨 = 189
   (1) 생애와 업적 = 189
   (2) 교육사상 = 192
   (3) 유아교육이론 = 196
chapter 07 현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 211
 2. 교육적 배경 = 213
  1) 신교육운동 = 213
   (1) 예술교육 운동 = 215
   (2) 전원기숙학교 운동 = 216
   (3) 청소년 운동 = 216
   (4) 노작교육 운동 = 217
 3. 교육사상가 = 218
  1) 몬테소리 = 218
   (1) 생애와 업적 = 218
   (2) 교육사상 = 218
    가. 인간 이해 = 221
    나. 교육목적 : 정상화 = 224
    다. 구조화된 교육적 환경 = 225
    라. 어린이의 정신적 능력 : 집중화 = 228
   (3) 유아교육과정 = 229
    가. 일상생활훈련 = 229
    나. 감각교육 = 230
    다. 언어교육 = 231
    라. 수학교육 = 232
    마. 우주교육 = 232
  2) 슈타이너 = 234
   (1) 생애와 업적 = 234
   (2) 인지학적 인간학 = 237
    가. 신체, 영혼, 정신의 통합체 = 238
    나. 네 가지 본질 구성체 = 240
   (3) 교육론 = 243
    가. 기질론 = 243
    나. 발달 단계론 = 246
   (4) 유아교육론 = 250
    가. 교육원리로서 모방과 본보기 = 251
    나. 교육내용 = 252
    다. 교육방법 = 253
참고문헌 = 257
찾아보기 = 26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