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나는 왜 사랑을 못하나 : 정신과 전문의 양창순 박사의 사랑 치유 에세이 (13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양창순
서명 / 저자사항
나는 왜 사랑을 못하나 : 정신과 전문의 양창순 박사의 사랑 치유 에세이 / 양창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위즈덤하우스 :   예담,   2008  
형태사항
224 p. ; 23 cm
ISBN
9788959133215
000 00613camcc2200205 c 4500
001 000045458209
005 20120206135243
007 ta
008 080717s2008 ulk 000c kor
020 ▼a 9788959133215 ▼g 03810
035 ▼a (KERIS)BIB000011353708
040 ▼a 211028 ▼c 211028 ▼d 244002 ▼d 211009
082 0 4 ▼a 152.41 ▼2 22
085 ▼a 152.41 ▼2 DDCK
090 ▼a 152.41 ▼b 2008z6
100 1 ▼a 양창순 ▼0 AUTH(211009)86961
245 1 0 ▼a 나는 왜 사랑을 못하나 : ▼b 정신과 전문의 양창순 박사의 사랑 치유 에세이 / ▼d 양창순 지음
260 ▼a 서울 : ▼b 위즈덤하우스 : ▼b 예담, ▼c 2008
300 ▼a 224 p. ; ▼c 23 c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11489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114895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410792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211757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211757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51260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11489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114895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410792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211757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211757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152.41 2008z6 등록번호 151260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정신과 전문의인 저자가 사랑 때문에 괴로워하는 사람들을 상담한 기록을 바탕으로 쓴 사랑 치유 에세이. 저자는 대인관계클리닉을 찾아오는 사람들은 물론, 수년간의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과 각종 매체에서의 심리상담 등을 통해 수많은 이들의 고민을 상담해주었다. 책은 저자가 이전에 미처 하지 못했던 조언들을 좀 더 명확하게 들려주고 있다.

저자는 우선 사랑이 품고 있는 근원적인 불안과 두려움을 언급한다. 그리고 죽을 만큼 사랑한 연인도 피해갈 수 없는 치명적인 유혹과 흔들림에 대해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사랑과 이별 후 찾아오는 것은 성장과 발전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불안과 두려움, 유혹과 흔들림을 지나 성장하고 발전하는 진짜 사랑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은 정신과 전문의인 저자가 사랑 때문에 괴로워하는 사람들을 상담한 기록을 바탕으로 쓴 사랑 치유 에세이다. 대인관계클리닉을 찾아오는 사람들은 물론 수년간의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과 각종 매체에서의 심리상담 등을 통해 수많은 이들의 고민을 상담해주었던 저자는 ‘정신과 의사와 상담자의 관계에서는 미처 하지 못했던 조언들을 좀 더 명확하게 들려주고 싶다는 생각’에서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
1장 ‘우린 왜 사랑에 빠지는 순간 불안해지는가’에서는 사랑이 품고 있는 근원적인 불안과 두려움에 대해, 2장 ‘왜 사랑에는 늘 유혹과 흔들림이 뒤따르는 걸까’에서는 죽을 만큼 사랑한 연인도 피해갈 수 없는 치명적인 유혹과 흔들림에 대해, 3장 ‘친구가 될 수 없는데 어떻게 연인이 될까’에서는 사랑과 이별로 인한 성장과 새로운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불안과 두려움, 유혹과 흔들림을 지나 성장하고 발전하는 ‘진짜 사랑’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미국의 정신의학자 밀턴 H. 밀러 박사는 “살아오면서 누구를 사랑하는지 그 사랑의 역사를 알면 내가 누구인지 알 수 있다”고 했다. 우리는 사랑이라는 매개를 통해서만 진짜 자기 자신이 드러나는 경험을 하게 되며, 비로소 자신과 정면으로 마주하게 된다. 겉보기에는 사랑 문제로 자신을 찾아오지만 조금 더 들여다보면 인격 전체의 문제일 때가 많다는 저자의 말처럼, 이 책을 통해 사랑이라는 거울에 투영된 진짜 자신을 만나게 될 것이다.

내 사랑…… 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서른 살의 전문직 여성 김은혜 씨는 사랑하는 남자가 머지않아 이별을 선언하고 돌아설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사로잡혀 고통스러워하다 결국 사랑을 놓쳐버리고 말았다. 뛰어난 미모와 재능을 지닌 이지현 씨는 여러 남자들을 유혹하고는 상대방이 자신에게 완전히 넘어왔다 싶으면 가차 없이 차버리곤 했다. 평소에는 성실하고 신사적인 박헌주 씨는 속상한 일로 과음을 하게 될 때면 여자친구 앞에서 폭력적으로 돌변하고는 했다. 이들이 저자를 찾아와 묻는 말은 한결같다. “제 사랑, 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요?”
“나는 왜 사랑을 못하나”라고 묻고 있는 이 책은 수많은 여성과 남성들이 영문도 모른 채 번번이 사랑에 실패하고 쓰라린 아픔을 겪고 새로운 사랑에 겁을 내는 이유에 대해 그 ‘근원’을 들여다보고 있다. 김은혜 씨는 타고난 바람둥이였던 첫사랑에게 너무 큰 상처를 입은 후로 남자를 믿지 못하게 되었다. 이지현 씨는 폭군이었던 아버지에 대한 분노로 남자들에 대한 적개심이 생겨났고, 박헌주 씨는 부모에 대한 원망과 적개심, 그리고 열등감이 잘못된 형태로 표출되는 경우였다.
사랑은 분명 ‘둘’이 하는 것이지만 ‘내 사랑’의 주체는 ‘나’이다. 따라서 ‘내’가 올바로 서 있지 않는 한 아무리 근사한 상대를 만나도 실패할 수밖에 없다. ‘네 이야기’이면서 ‘내 이야기’인 책 속 인물들의 실패담을 통해 내게도 ‘사랑불능코드’가 있는 건 아니었는지 되짚어보게 될 것이다.

왜 사랑에는 늘 불안과 유혹, 흔들림이 뒤따르는 걸까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가 탄생하자 모든 신들이 초대되어 화려한 향연이 열렸는데 유일하게 초대받지 못한 가난의 여신이 문 밖을 서성이며 구걸을 하고 있었다. 그 모습을 술에 취한 풍요의 신이 발견하고는 가난의 여신을 덥석 끌어안고 제우스의 정원으로 들어가 버렸다. 그 뒤 둘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가 바로 ‘사랑’이다.”
『플라톤의 대화』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풍요의 신과 가난의 신 사이에서 태어났기 때문인지 사랑이란 감정에는 행복과 고통, 불안과 안도, 결핍과 과잉이 공존한다. 또한 인간은 미완성으로 태어나서 미완성인 채로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열등감과 불안이라는 감정을 원초적으로 지니고 있다. 그리고 사랑도 인간의 감정인지라 흐르는 물처럼 쉼 없이 변화하고, 인간의 심장은 새로운 상대를 만났을 때에만 두근거린다.
이 책은 그러한 사랑의 양면성, 불안과 열등감이 어떻게 관계를 망치는지, 유혹 앞에서 흔들리는 감정이 얼마나 초라하고 또 얼마나 절실한지, 날것 그대로 ‘보여’준다. 섣불리 충고하고 서둘러 진단을 내리기보다 나와 당신의 이야기를 잔잔히 들려줌으로써 이해와 위로를 보내고 있다.

변하고 잃고 또 새롭게 생겨나는 것, 사랑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 몇 번의 사랑을 경험한다. 그중에는 쿨한 사랑도 있고 애달픈 사랑도 있으며 남루한 사랑도 있고 어정쩡한 사랑도 있다. 그러나 이별하고 났을 때 후회만이 남는 것은 어느 사랑이나 똑같다. 돌아보면, 어찌 그리 후회할 것투성이인지 그것을 견디다 못해 누군가는 신경증에 걸리기도 한다.
그러나 사랑하고 이별한 모습이 어떠했든지 간에 사랑은 분명 우리를 한 단계 성장시킨다. 플라톤이 말했듯 사랑은 “일종의 미친 상태”이지만, 셰익스피어의 말처럼 “생명을 기르는 달콤한 이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숱한 불면의 밤을 지새우고 있는 이들에게 이 책이 건네는 이야기도 다르지 않다. 설령 목숨을 건 것 같은 사랑이라 할지라도 변하고 잃고 또 새로 생겨나게 마련이니, 새로운 사랑이 손을 내밀거든 그것을 힘차게 잡으라고. 지금은 가고 없을지라도 언젠가는 반드시 또다시 찾아오는 것, 그것이 사랑이기 때문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양창순(지은이)

정신건강의학과・신경과 전문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양의 정신의학만으로 인간을 이해하고 삶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는 데 한계를 느껴 명리학과 주역을 공부했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주역과 정신의학’을 접목한 논문으로 두 번째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세의료원 연구강사, 미국 HARBOR UCLA 정신의학과 방문교수, 서울백제병원 부원장 등을 거쳐,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기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마음상담소인 ㈜마인드앤컴퍼니, 양창순 정신건강의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외래교수이며, 미국 정신의학회 국제회원 및 펠로우, 미국 의사경영자학회 회원이기도 하다. CBS 시청자위원회, 동아일보 독자인권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SBS &lt양창순의 라디오 카페&gt, CBS &lt양창순의 아름다운 당신에게&gt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삼성경제연구소 SERICEO에서 100회 이상 진행한 &lt심리클리닉&gt을 통해 오피니언 리더들의 열렬한 호응을 받은 바 있다. 기업 강연, 대인관계 및 리더십 컨설팅, 집필과 칼럼 기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국내 최초로 동양의 운명학과 서양의 정신의학을 접목한 ≪명리 심리학≫을 비롯해 ≪나는 까칠하게 살기로 했다≫ ≪담백하게 산다는 것≫ ≪나는 외롭다고 아무나 만나지 않는다≫ ≪CEO, 마음을 읽다≫ ≪내가 누구인지 말하는 것이 왜 두려운가≫ ≪오늘 참 괜찮은 나를 만났다≫ 등 다수의 책을 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프롤로그 버릴 사랑은 없다 = 6
1장 우린 왜 사랑에 빠지는 순간 불안해지는가 
 지금, 내 사랑이 불안하다 = 19
 나를 사랑하지 않으면서 타인을 사랑할 수 있을까 = 35
 내가 이렇게 해도 내 곁에 있을 수 있니? = 49
 왜 하필 나인가, 이토록 불완전한 존재를 = 62
 상대방은 내 모든 기대치를 채워주는 마법 상자인가 = 75
2장 왜 사랑에는 늘 유혹과 흔들림이 뒤따르는 걸까 
 사랑을 두고 또 다른 사랑에 흔들리다 = 93
 사랑에 확신과 용기를 갖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 104
 미칠 듯한 욕망은 왜 사랑과 합치되지 않을까 = 116
 왜 계속해서 비극적인 연애에 뛰어드는가 = 128
 두 사람을 동시에 사랑할 순 없는 걸까 = 142
3장 친구가 될 수 없는데 어떻게 연인이 될까 
 친구 같은 연인과 친구는 왜 다른가 = 157
 나, 연애할 때도 가끔은 혼자이고 싶다 = 170
 과거는 각자의 것, 서로 상관하지 말지니 = 183
 사랑에도 능동적인 경영이 필요하다 = 192
 그래도 때때로 이별은 온다 = 211
에필로그 변하고 잃고 또 새롭게 생겨나는 것, 사랑 = 222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