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르네상스 음악의 명곡·명반

르네상스 음악의 명곡·명반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현철 金玄徹 , 1948-
Title Statement
르네상스 음악의 명곡·명반 / 김현철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音樂世界 ,   2007.  
Physical Medium
497 p. : 색채삽도 ; 22 cm.
ISBN
9788981056841
000 00560camccc200205 k 4500
001 000045457732
005 20100807020205
007 ta
008 070712s2007 ggka 000c kor
020 ▼a 9788981056841 ▼g 13670
035 ▼a (KERIS)BIB000010976850
040 ▼a 211032 ▼d 211009
082 0 4 ▼a 780.9031 ▼2 22
090 ▼a 780.9031 ▼b 2007z1
100 1 ▼a 김현철 ▼g 金玄徹 , ▼d 1948-
245 1 0 ▼a 르네상스 음악의 명곡·명반 / ▼d 김현철 지음.
260 ▼a 파주 : ▼b 音樂世界 , ▼c 2007.
300 ▼a 497 p. : ▼b 색채삽도 ; ▼c 22 cm.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80.9031 2007z1 Accession No. 1211738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르네상스 음악의 즐거움>, <르네상스 음악으로의 초대>의 저자 김현철이 쓴 또 한 권의 르네상스 음악 감상 길잡이. 르네상스 음악에 관심은 있으나 아직 깊은 지식이 없는 입문자를 대상으로 집필했다.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와 그를 대표하는 명곡, 명연주에 대한 상세한 소개가 담겨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현철(지은이)

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명예 교수, 대한민국 의학 한림원 정회원 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대한신장학회 회장, 대한이식학회 회장 역임 저서 『임상신장학』(제3판), 『신장 이식』, 통합강의를 위한 『신장학』 2011년 11월 EBS 명의(신장 분야) 선정 - 음악 관련 경력 현 대구 클래식 아카데미 회장, 한국 르네상스 음악 연구원 이사장, 대구 CBS 혼성 합창단 단장 저서 『르네상스 음악의 즐거움』, 『르네상스 음악의 초대』, 『르네상스 음악의 명곡·명반』, 『내가 사랑한 몬테베르디』, 『몬테베르디와 르네상스의 종말(번역서)』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르네상스 음악의 명곡 명반 = 15
 던스터블 : [모테트집] = 16
 던스터블 : [Veni sancte spiritus](성령이여 오소서) = 20
 던스터블 : 모테트 [Quam pulchra es](그 얼마나 아름답고) = 23
 뒤파이 : [Missa Se la face ay pale](만일 내 얼굴이 창백하게 보인다면) = 27
 뒤파이 : [Missa ecce ancilla domini](미사 보라, 주님의 여종을) = 31
 뒤파이 : [Missa ave regina coelorum](미사 환호하라 하늘의 여왕이여) = 35
 뒤파이 : 모테트[Napur rosarum flores](이제 장미꽃이 피었네) = 38
 뱅수아 : 론도 [De plus en plus](날이 갈수록 새로워지네) = 42
 뱅수아 : [Mon souverain desir](나의 이 세상의 욕망) = 46
 뷔누아 : [Missa O Crux lignum](미사 나무 십자가) = 50
 [The Art of Courtly Love](궁정식 사랑의 예술) = 54
 [Pleasure of the court](궁정의 즐거움) = 60
 1454년의 꿩의 향연/부르고뉴 궁정의 음악 = 64
 네델란드 악파의 음악 = 69
 오케겜 : [Missa pro defunctis](레퀴엠 미사) = 74
 오케겜 : [Missa Prolationum](미사 프롤라티오눔) = 78
 오브레히트 : [Missa maria zart](미사 아름다운 마리아) = 82
 조스캥 데 프레 : [La Deploration sur la morte de Johannes Ockeghem](오케겜의 죽음을 애도하는 애가) = 86
 조스캥 데 프레 : [Missa Pange lingua](미사 혓바닥이여 노래하라) = 90
 조스캥 데 프레 : [Missa L'homme arme](미사 무장한 사람) = 94
 조스캥 데 프레 : 모테트와 샹송 = 98
 킹스 싱어즈의 조스캥 데 프레의 명곡선 = 101
 조스캥 데 프레 : 모테트 [Ave Maria](아베 마리아) = 105
 막시밀리안 1세 시대의 음악 = 108
 콩페르 : 모테트 [Omnimum bonorum plena](모든 좋은 것으로 가득 찬) = 113
 하인리히 이자크 : 샹송, 프로톨라, 리트집 = 116
 이자크 : [Missa Apostolis](사도들의 미사곡) = 119
 젠플 : [Im Maien](5월에) = 123
 라 뤼 : [Requiem](레퀴엠) = 127
 공베르 : 칼 5세의 궁정 음악 = 131
 페르난도와 이사벨라 궁정의 음악 = 135
 콜럼버스 시대의 음악(MUSIC FROM THE TIME OF COLUMBUS) = 139
 모랄레스 : 죽은 자를 위한 [성무일과]와 [레퀴엠] = 143
 모랄레스 : [세빌리아의 성 이시도르 축일 미사] = 147
 종교개혁의 음악 : [Ein feste Burg ist unser Gott](내 주는 강한 성) = 151
 프랑스 종교개혁의 시편가 = 156
 팔레스트리나 : [Stabat Mater](스타바트 마테르) = 160
 팔레스트리나 : [Missa Papae Marcelli](교황 마르첼리 미사) = 164
 팔레스트리나 : 연작 모테트 [솔로몬의 아가] = 169
 팔레스트리나 : [Missa Brevis](작은 미사) = 174
 팔레스트리나 : [Missa Assumpta est Maria](성모 승천 미사) = 177
 알레그리 : [Miserere](미제레레) = 181
 빅토리아 : [Tenebrae Responsories](성주간 성무일과 중 레스폰소리움) = 185
 빅토리아 : 6성 [Requiem](레퀴엠)(1605년) = 190
 빅토리아 : 모테트/미사 [O magnum mysterium](오 크나큰 신비여) = 194
 스페인 르네상스의 보물들(게레로, 로보, 비반코) = 197
 [Old Hall Manuscript](올드 홀 필사본) = 201
 탈리스 : [Lamentationes Jeremiae](예레미아 애가) = 205
 태버너 : [The Western Wind Mass](서풍 미사) = 209
 탈리스 : [Spem in alium](그대 외에 바램 없도다) = 213
 버드 : 3성, 4성, 5성의 [미사] = 216
 버드 : [Great Service](대 예배곡) = 221
 버드 : [Cantiones Sacrae](성가곡집) = 226
 몰리 : 마드리갈 [Sing we chant it](노래하라, 노래하라) = 231
 몰리 : 마드리갈 [Now is the month of Maying](지금은 5월) = 233
 다울랜드 : 류트 송 [Fine knaks for ladies](여인들을 위한 멋진 요령) = 235
 다울랜드 : [Lachrymae](눈물, 또는 일곱 가지 눈물) = 239
 기번스 : 앤섬 [O Lord, in thy wrath](오 주여, 분노 가운데서) = 242
 [The Triumph of Oriana](오리아나의 승리) = 245
 킹스 싱어즈의 영국 마드리갈 명곡선 = 249
 자느캥 : 표제 샹송 [La Guerre](전쟁) = 254
 자느캥 : 샹송 [Le chant des oyseaux](새의 노래) = 257
 아르카델트 : 마드리갈집 = 260
 마렌치오 : 4성부 「마드리갈집 제1권」(1585년) = 264
 제수알도 : 5성 마드리갈 [Moro lasso al mio duolo](나는 고통 속에 죽어야 하네) = 268
 이탈리아 마드리갈 선집 = 272
 킹스 싱어즈의 마드리갈의 역사 기행 = 277
 라수스 : 종교적 마드리갈 [Lagrime di San Pietro](성 베드로의 눈물) = 281
 라수스 : [Requiem](레퀴엠) = 286
 라수스 : 모테트 [Prophetiae Sibyllarum](무녀의 예언) = 290
 라수스 : 빌라넬라, 모레스카, 칸초나 = 294
 라수스 : [Penitential Psalms](참회 시편가) = 298
 스벨링크 : [Echo Fantasia](오르간 에코 환상곡) = 302
 스벨링크 : 성가곡집 = 306
 한스 레오 하슬러 : [Cantate Domino](주님께 노래하라) = 309
 프레토리우스 : 춤곡집 [Terpsichore](춤의 뮤즈), (1612년) = 312
 빌라르트 : [Missa Christus resurgens](미사 그리스도는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시다) = 316
 베네치아 산마르코의 음악 = 320
 조반니 가브리엘리 : 칸조나, 소나타, 모테트 = 324
 조반니 가브리엘리 : 산 로코의 축일 음악 = 328
 베네치아의 저녁기도 = 332
 중세 르네상스 시대의 크리스마스 음악 : 별들의 창조자 = 336
 르네상스 크리스마스 음악 : 로마의 크리스마스 미사 = 340
 몬테베르디 : [Vespro della Beata Vergine](성모 마리아의 저녁기도) = 344
 몬테베르디 : [Selva Morale e Spirituale](윤리적 종교적 숲) = 357
 몬테베르디 : [아리안나의 탄가] = 364
 몬테베르디 : 마드리갈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전투] = 369
 몬테베르디 : 마드리갈집 8권 [전쟁과 사랑의 마드리갈] = 374
 몬테베르디 : [Ballo delle ingrate](배덕한 여인의 춤) = 380
르네상스 음악의 명연주가 = 385
 리날도 알렉산드리니(Rinaldo Alessandrini, 1960- ) = 386
 제임스 바우만(James Bowmen, 1941- ) = 388
 줄리언 브림(Julian Bream, 1933- ) = 389
 새포드 케이프(Safford Cape, 1906-1973) = 392
 해리 크리스토퍼즈(Harry Christophers, 1953- ) = 393
 스테판 클레오베리(Stephen Cleobury, 1948- ) = 395
 르네 클레망식(Rene Clemencic, 1928- ) = 397
 서스톤 다트(Thurston Dart, 1921-1971) = 398
 알프레드 델러(Alfred Deller, 1912-1979) = 400
 아놀드 돌메취(Arnold Dolmetsch, 1858-1940) = 403
 존 엘리어트 가디너(John Eliot Gardiner, 1943- ) = 405
 조지 게스트(George Guest, 1924- ) = 407
 에드워드 히긴보텀(Edward Higginbottom, 1946-) = 409
 데이빗 힐(David Holl, 1957- ) = 411
 크리스토퍼 호그우드(Christopher Hogwood, 1941- ) = 412
 르네 야콥스(Rene Jacobs, 1946- ) = 413
 위르겐 위르겐스(J$$\ddot u$$rgen J$$\ddot u$$rgens, 1925-1994) = 416
 콘라드 융헤넬(Konrad Jungh$$\ddot a$$nel) = 417
 엠마 커크비(Emma Kirkby, 1949- ) = 418
 한스-마르틴 린데(Hans-Martin Linde, 1930- ) = 420
 폴 맥크리쉬(Paul McCreesh, 1960- ) = 421
 데이빗 먼로우(David Munrow, 1942-1976) = 424
 파울 반 네벨(Paul van Nevel, 1946- ) = 427
 앤드류 패롯(Andrew Parrott, 1947- ) = 429
 피터 피어스(Peter Pears, 1910-1986) = 432
 피터 필립스(Peter Phillips, 1953- ) = 433
 필립 피켓(Philip Pickett, 1952- ) = 436
 앤토니 루-리(Anthony Rooley, 1944- ) = 438
 콘라트 루란트(Konrad Ruhland) = 439
 조르디 사발(Jordi Savall, 1941- ) = 441
 도미니크 비세(Dominique Visse, 1955- ) = 444
르네상스 음악의 명연주단체 = 447
 아 세이 보치(A Sei Voci) = 448
 칸투스 쾰른(Cantus C$$\ddot o$$ln) = 450
 앙상블 클레망 자느캥(Ensemble Clement Janequin) = 452
 클럭스 그룹(Clerks Group) = 453
 콘소트 오브 무지케(Consort of Musicke) = 455
 델러 콘소트(Deller Consort) = 457
 잉글리쉬 바로크 솔로이스츠(English Baroque Soloists) = 457
 앙상블 오르가눔 (Ensemble Organum) = 459
 가브리엘리 콘소트와 연주자들(Gabrieli Consort & Players) = 460
 질 뱅수아 앙상블(Ensemble Gilles Binchois) = 462
 에스페리옹 XX(Hesperion XX) = 464
 힐리아드 앙상블(The Hilliard Ensemble) = 465
 후엘가스 앙상블(Huelgas Ensemble) = 468
 킹스 컬리지 합창단(King's College Choir) = 470
 킹스 싱어즈(King's Singers) = 472
 몬테베르디 합창단(Monteverdi Choir) = 474
 뉴 런던 콘소트(New London Consort) = 477
 뉴욕 프로 뮤지카 안티콰(New York Pro Musica Antiqua) = 478
 오를란도 콘소트(Orlando Consort) = 480
 옥스퍼드 뉴 칼리지 합창단(The Choir of New College, Oxford) = 482
 포메리움(Pomerium) = 484
 프로 칸티오네 안티콰(Pro Cantione Antiqua, London) = 486
 탈리스 스콜라스(Tallis Scholars) = 487
 태버너 콘소트와 연주자들(Tavener's Consort and Players) = 490
 런던 고음악 콘소트(The Early Music Consort of London) = 492
 더 식스틴(The Sixteen) = 493
 웨스트민스터 대성당 합창단(Westerminster Cathedral Choir) = 49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