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애매성의 철학: 알퐁스 드 와렌스 = 11
서론: 의식과 자연의 관계 문제 = 27
제1장 반사 행동
서론: 생리학에서 객관성의 정의와 반사에 대한 고전적 견해. 현실분석 및 인과적 해석의 방법 = 31
Ⅰ. 반사에 대한 고전적 견해와 그 보조적 가정들
1. '자극' = 36
2. 흥분의 장소 = 43
3. 반사 회로 = 45
반사의 화학적ㆍ분비적ㆍ자율신경적 조건 - 대뇌와 소뇌의 조건. 억제와
통제, 조정과 통합의 개념. 신경계의 위계적 견해 - 동시적 반응들에 대한
반사의 종속 - 선행 반응들에 대한 반사의 종속: 반사의 확산과 역전, 웨버
의 법칙 그리고 식역(識?)의 개념
4. 반응 = 63
요약: 질서의 문제. 해부학적 질서와 생리학적 질서
Ⅱ. 게슈탈트 이론에서 반사의 해석
1. 눈의 고정반사: 흥분들 사이의 관계와 흥분과 반응의 관계 = 70
2. 결과 = 72
3. 결과의 검증: 기능의 재조직화와 특히 반맹증에서 대행 = 77
4. 반사의 생물학적 의미 작용 = 85
Ⅲ. 결론
1. '형태'의 범주 = 90
2. 범주는 불필요한가? 그리고 신경의 기능은 충분히 발전된 생리학에서는 물리적 유형의 관계 교차로 귀결되는가? = 92
3. 형태와 궁극목적성. 묘사적 범주로서의 질서 = 95
제2장 상위 행동
Ⅰ. 파블로프의 반사 이론과 그 전제
이 이론은 행동의 묘사를 전제한다. 물리-화학적 분석과 생리학에서 행동의 분석 = 99
Ⅱ. 행동의 '중추 영역'과 국소화(局所化)의 문제
1. 국소화의 문제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된 결과들 = 112
질병의 분석, 구조상의 장애 - 전반적 기능 작용과 모자이크식 기능 작용 - 국소화에 대한 절충적 견해와 기능적 평행관계
2. 결과들에 대한 해석: 조정의 개념은 그것들을 설명하는 데 충분한가? = 139
공간적 지각에서 조정과 '이미지들의 괴리' - 색채 지각, '색채의 수준' - 언어의 생리학 - 조정 개념의 애매성
3. 결론 = 157
생리학에서 경험주의와 주지주의에 대한 반대. 신경중추 현상들에서 형태. 대체 형태란 무엇인가?
Ⅲ. 행동의 구조
1. 학습은 서로가 외재적인 신경 사건들의 연합으로 해석될 수 없다 = 164
2. 행동 구조들의 묘사 = 178
A) 총괄적 형태들과 본능 - B) '이동 가능한 형태들': 신호 - 공간적ㆍ시간적 관계, 기계적ㆍ통계적 관계 - C) 상징적 형태들
3. 결론 = 208
조건 반사의 의미 작용: 병리적 현상 혹은 상위 활동. 행동과 존재
제3장 물리적 질서, 생명적 질서, 인간적 질서
서론: 게슈탈트 이론은 실체론의 모순을 넘어서고자 한다. - 사실 그것은 '형태'에 대한 철학적 분석이 없기 때문에 이 모순으로 되돌아온다 = 215
Ⅰ. 물리학에서 구조
1. 물리적 세계는 구조들을 포함한다고 실증주의에 대항해 말하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맞는가 = 226
2. 구조들은 어떤 '자연' '속에' 있지 않다 = 231
3. 구조는 어떤 의식을 위한 것이다 = 236
Ⅱ. 생명적 구조들
1. 물리계들과 대조되는 생명적 형태들의 독특성. 새로운 변증법의 항들로서 유기체와 그 환경 = 239
2. '관념'으로서의 유기체 = 248
3. 유기체 안에서 기계론-생기론의 모순을 넘어선 의미 작용의 통일성 = 251
Ⅲ. 인간적 질서
1. 의식의 삶 = 261
A) 현대인들에게 의식과 행동(action)의 관계는 여전히 외재적이다. 지각 이론과 관련한 결과들
B) 처음 시작되는 지각의 특징들: 지각은 대상보다는 인간의 의도에 결부되어 있고 진실을 인식하기보다는 현실을 느낀다
C) 의식의 구조와 관련된 결과들: 여러 종류의 의도들, 현실에 대한 의식
2. 본질적으로 인간적인 의식 = 283
3. 심리에서 인과적 사유에 반대하여. 구조를 통한 프로이트 학설의 해석 = 285
4. '심적인 것'과 정신은 실체들이 아니라 변증법들 혹은 통일적 형태들이다 = 290
어떻게 '정신주의'와 '유물론'의 양자택일을 넘어설 것인가 - 행동의 구조로서 심적인 것
결론: 앞의 분석들이 지닌 이중의 의미. 이 분석들은 비판주의적 결론을 인정하는가? = 295
제4장 영혼과 육체의 관계, 그리고 지각적 의식의 문제
Ⅰ. 고전적 해법
1. 소박한 의식과 그것의 경험적 실재론 = 297
2. 감각적인 것의 철학적 실재론 = 303
3. 과학의 의사(擬似) 데카르트주의 = 307
4. 지각적 의식에 대한 데카르트의 분석 = 311
5. 비판적 이념. 지각의 주지주의적 이론을 통해 해결된 영혼과 신체의 관계 문제 = 315
Ⅱ. 자연주의의 어떤 진실이 있지 않은가?
1. 어떤 의미에서 앞의 장(章)들은 선험적 태도로 인도하는가. 의미 작용의 세 범주로 규정된 물질ㆍ생명ㆍ정신 = 321
2. 그러나 우리의 결론은 비판주의적이 아니다 = 327
3. 의미 작용의 장소로서 의식과 체험된 것의 흐름으로서 의식을 구분해야 한다 = 335
A) 외적 지각. 사물의 현상 - 고유한 육체의 현상 - 본래적 경험으로서 지각적 장으로의 회귀. 근거가 분명한 오류로서 실재론
B) 오류, 심적ㆍ사회적 구조들
4. 구조와 의미 작용. 지각적 의식의 문제 = 353
참고 문헌 = 355
역자 후기 =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