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현대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2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cNeil, John D. 권낙원 權樂遠, 1947-, 역
서명 / 저자사항
현대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 John D. McNeil 지음 ; 권낙원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아카데미프레스,   2008  
형태사항
xix. 449 p. ; 26 cm
원표제
Contemporary curriculum : in thought and action (6th ed.)
ISBN
8991517554 9788991517554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Education -- Curricula Curriculum planning
000 00916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456920
005 20110922115324
007 ta
008 080529s2008 ulk b 001c kor
020 ▼a 8991517554
020 ▼a 9788991517554 ▼g 93370
035 ▼a (KERIS)BIB000011297825
040 ▼a 247017 ▼d 211048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375/.001 ▼2 22
085 ▼a 375.001 ▼2 DDCK
090 ▼a 375.001 ▼b 2008z1
100 1 ▼a McNeil, John D. ▼0 AUTH(211009)6207
245 1 0 ▼a 현대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 ▼d John D. McNeil 지음 ; ▼e 권낙원 옮김
246 1 9 ▼a Contemporary curriculum : ▼b in thought and action ▼g (6th ed.)
260 ▼a 서울 : ▼b 아카데미프레스, ▼c 2008
300 ▼a xix. 449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Education ▼x Curricula
650 0 ▼a Curriculum planning
700 1 ▼a 권낙원 ▼g 權樂遠, ▼d 1947-, ▼e▼0 AUTH(211009)122971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1 2008z1 등록번호 1116422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5.001 2008z1 등록번호 1512591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1 2008z1 등록번호 1116422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5.001 2008z1 등록번호 1512591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저자소개 정보가 없습니다.

목차

목차
제1부 교육과정의 개념화
 제1장 인본주의 교육과정 = 3
  인본주의 교육과정의 특징 = 6
   목적 = 6
   교사의 역할 = 6
  인본주의 교육과정의 방향 = 7
   통합 교육과정 = 7
   의식과 초월 = 8
   비인간화에 대한 반응 = 10
  인본주의 교육과정의 심리적 기초 = 16
   제3심리학(Third Force Psychology) = 17
  인본주의 교육과정의 역사적 배경 = 21
   고대 그리스와 로마 = 22
   전통 인문학 = 23
   진보주의 교육 = 24
   영적인 이미지 = 24
  인본주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 25
  결론 = 27
 제2장 사회재건주의 교육과정 = 31
  사회재건주의 교육과정의 특징 = 31
   목적 = 31
   교사의 역할 = 32
  사회재건주의의 실제 = 33
   지역사회의 변화 = 33
   Freire의 사회재건주의 = 35
   네오막시스트 = 38
   미래학자 = 42
   사회적응과 사회재건 = 44
  사회재건의 심리학적 기초 = 45
   원천으로서의 문화심리학 = 46
  정신분석 심리학과 사회재건주의 = 48
   사회재건주의의 역사적 배경 = 48
  사회재건주의의 비판 = 52
  결론 = 53
 제3장 체제적 교육과정 = 57
  일관성 = 58
  책무성 = 59
  표준교육과정 = 59
   표준교육과정 정책 = 60
   학급에서의 표준교육과정 = 63
  체제적 교육과정의 심리적 기초 = 66
  체제적 교육과정의 역사적 배경 = 67
  체제적 교육과정의 결과 = 70
  결론 = 73
 제4장 학문중심 교육과정 = 77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접근 = 80
   지식의 형식 접근 = 81
   학문의 구조적 접근 = 83
   지식의 구조에 대한 반론 = 86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부활 = 88
   교양과목과 중핵교과 = 91
   문화적 소양 = 94
   지성의 성장을 강조하는 교과목 구성 = 96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심리적 기초 = 99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역사적 배경 = 102
  결론 = 107
제2부 교육과정의 개발
 제5장 교육과정의 목표 결정 = 113
  교육과정 목표의 결정 영역 = 114
   의사결정의 수준 = 114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 116
  교육과정 개발 맥락 = 117
   활동의 범위 = 117
   자료의 개발 = 118
   주, 지역 교육과정 계획 = 118
   기관의 교육과정 계획 = 119
   교육과정의 기능 = 120
  목표의 결정 = 122
  교육과정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합리적 모형과 기술적 모형 = 123
   요구 사정 모형 = 124
   미래 모형 = 128
   합리적 모형 = 130
   직업 또는 훈련 모형 = 135
  교육과정 목표 결정에의 대안적 접근 = 137
   비체계적인 점진정책 = 137
   교육과정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생성적 접근 = 139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접근에 대한 논평 = 142
  결론 = 144
 제6장 학습기회의 개발과 선정 = 147
  교실 교육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교직의 표준 = 148
  학습기회 개발 원리 = 150
  고차적 사고를 위한 학습기회 = 154
   전이와 문제 해결 = 155
   창의성 = 156
   새로운 지식의 창출 = 158
  학습 활동 개발 절차 = 161
   교육과정 이론별 학습 활동의 개발 = 161
  학습 활동 선정 기준 = 167
   철학적 기준 = 167
   심리적 기준 = 167
   정치적 기준 = 170
   실제적 기준 = 172
   과학적 방법에 기초한 연구 기준 = 172
  교과서와 학습기회에 대한 비판 = 174
  학습기회 선정을 위한 기준의 비판 = 175
  결론 = 175
 제6장 보충: 교육과정 이론에 따라 공학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 179
  인본주의 교실에서의 공학 = 179
  사회재건주의와 공학 = 181
  체제적 교육과정에서의 공학 = 183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의 공학 = 185
   웹 사이트 개발하기 = 188
 제7장 학습기회의 조직 = 189
  교육과정 조직에 있어서의 주요 개념 = 190
   중심 조직 = 190
   요소 조직 = 190
  중심 내용 및 요소와 관련된 활동의 계열 원리 = 194
  구조 조직하기 = 195
   기관 수준의 구조 = 195
   교실 수준의 구조 = 196
   교육과정의 조직 형태와 이론 = 202
   통합학문: 새로운 학문 형태 = 204
  교육과정 형태의 효과에 관한 경험적 연구 = 210
  교육과정 조직의 문제 = 213
  결론 = 216
제3부 교육과정의 운영
 제8장 교육과정의 운영 = 221
  학교와 제도화된 교육과정 = 222
   재구조화 맥락에서의 교육과정 변화 = 224
  교육과정 재구조화에 있어서의 역할 = 228
   학습 지도자로서의 교장 = 228
   리더십을 공유하는 교장 = 229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교과부장 = 231
  행정적 편성 = 231
   학생의 계층화 = 233
   교직원 편성 유형과 일정표 짜기 = 235
   지원 인력 = 236
   무학년제 = 237
   시설 = 237
   중학교 = 238
   대안 학교, 마그넷 학교, 헌장 학교, 전문 학교 = 239
  학교 조직의 개혁 방향 = 243
   학교에서의 선택권 = 243
  수업의 효과를 위한 행정 = 244
   교육과정 조정 = 244
  효과적인 연구와 교육과정 정책 = 248
  결론 = 250
 제9장 교육과정의 평가 = 253
  평가 모형 = 255
   합의 모형 (전통적, 기술적 평가) = 255
   다원적 모형 (인본주의적, 사회재건주의적 평가) = 259
  교육과정 평가에 있어 논쟁이 되고 있는 기술적 문제 = 261
   목표의 형태 (목적, 표준, 벤치마크, 지표) = 262
   의도된 결과의 측정과 탈목표 평가 = 264
   규준지향검사와 절대기준검사 = 265
   검사와 사생활 침해 = 266
   학생 수행에 대한 참 평가 = 267
   학습으로서의 평가 = 269
  자료 수집 기법 = 269
   정의적 영역 평가 = 271
   표집추출 = 272
   전통적인 평가 수행의 위험요소 = 273
   부가가치 평가 = 275
  결론 = 276
 제10장 교육과정 구성 정치학 = 279
  교육과정 정책 = 282
   교육과정 정치학 = 282
   교육 내용에 대한 정치적 결정 = 283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의 해석을 위한 개념들 = 284
   개혁의 전문화 = 284
   안정성이란 힘 = 285
   정책의 제약 = 285
  교육과정 정책 결정 참여자 = 287
   학교에 기반을 둔 정치 참여자 = 287
   지역사회 참여자 = 292
   주 기관 = 294
   시험출제 기관 = 295
   출판업자 = 296
   법원 = 296
   연방 정부 = 298
   재단 = 299
   특수 이익집단 = 300
  교육과정 통제의 갈등 = 301
  결론 = 302
제4부 이슈와 동향
 제11장 대응책이 요구되는 현재의 이슈들 = 307
  사고를 위한 교육과정 = 307
   사고에 초점을 둔 교육과정 = 309
  교육과정 경쟁: 국제 비교 = 312
   부적절한 비교 = 313
  직업 교육 = 320
  직업 교육에 상충되는 목적 = 321
   직업 교육에의 접근 = 324
   직업 교육의 내용 = 325
   직업 교육의 재조직 = 327
   직업 교육의 동향 = 328
  도덕 교육 = 329
   Phenix의 도덕 교육의 기본 문제 = 329
   Kohlberg의 도덕 발달 이론 = 331
  인성 교육 = 332
  학교 안전 = 334
  결론 = 335
 제12장 교과의 동향 = 339
  수학 = 340
   학교에서의 수학 = 340
   수학 교과의 동향 = 341
  과학 = 345
   과학 교수의 발전 과정 = 345
   과학 교육의 새로운 접근 = 346
   미래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제안 = 348
  체육과 보건 교육 = 350
   교육과정에서의 위치 = 350
   미래의 체육 프로그램 지침 = 351
  영어 = 354
   교과로서의 영어 = 354
   영어 교수의 최근 동향 = 356
  독서 = 358
   독서 교육과정 = 358
   동향과 방향 = 358
  역사와 사회 = 361
   교과로서 역사 = 361
   역사 교육과정의 평가 = 362
   1990년대의 역사와 지리 = 362
   표준 역사와 사회 교과 운동 = 364
   사회 교과 = 365
   사회 교과의 미래 = 367
  외국어 = 369
   외국어의 부흥과 쇠퇴 = 369
   외국어 수업 부흥을 위한 노력 = 369
  예술 = 373
  결론 = 375
제5부 교육과정의 탐구: 회고와 전망
 제13장 교육과정 구성의 역사적 관점 = 383
  교육과정 역사가 = 384
   교육과정 분야의 형성배경 = 386
  교육과정 분야의 개척자 = 387
  헤르바르트주의와 McMurry 형제 = 388
   헤르바르트주의의 기본주장 = 388
   McMurry 형제의 사상 = 389
  Dewey의 헤르바르트주의에 대한 반대 견해 = 392
   Dewey의 학교 = 392
   Dewey의 교육과정 = 394
  과학적인 교육과정 구성 = 394
   Franklin Bobbitt과 Werrett W. Charters = 394
   과학적 운동에 대한 사회적 영향 = 395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Bobbitt의 공헌 = 396
   교육과정에 대한 Charters의 공헌 = 399
  수업의 개선 = 400
   지역의 교육과정 개발 = 400
   교수요목운동 = 401
   Caswell이 교육과정 분야에 미친 영향 = 401
  합리적 교육과정의 개발 = 403
   Tyler의 교육과정 탐구 = 404
  여성의 교육과정 개발 = 405
   Hilda Taba = 407
   Mary Sheldon Barnes = 407
   Lucy Maynard Salmon = 408
   Lucy Sprague Mitchell = 408
  결론 = 409
 제14장 교육과정의 이론과 탐구에 대한 전망 = 413
  교육과정 분야의 위상 = 415
   교육과정 이론의 필요성 = 415
   교육과정 개념화의 필요성 = 416
   상관과 통합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 = 419
   계열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 420
   교육 목표 분석의 필요성(표준) = 421
   과정-산출 연구의 필요성 = 422
  교육과정 탐구의 방향 = 424
   탐구의 방향 = 424
   교육과정 탐구로서의 활동 개요 = 425
  학교와 교실에서의 탐구 = 427
   내러티브 = 427
   학교 상황에서의 질적 탐구 = 427
   교육과정 탐구로서의 현장 연구 = 428
  결론 = 431
찾아보기 = 43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