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Part 1 고교평준화 정책
제1절 고교평준화 정책의 산출과정과 쟁점 분석에 관한 연구 = 3
1. 머리말 = 3
2. 주요국의 학교 선택권 사례 = 4
3. 평준화 정책의 투입과 변환 과정 = 11
4. 평준화 정책 산출 현황 및 피드백 과정 = 18
5. 평준화 정책의 쟁점과 한계점 = 23
6. 결론 = 30
참고자료 = 32
제2절 교육체계 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평준화 정책의 엔트로피(entropy) 증가 요인 분석 = 35
1. 머리말 = 35
2. 이론적 배경 = 37
3. 교육체계 내외 환경의 변화 = 43
4. 평준화 정책의 엔트로피 증가 요인 분석 = 52
5. 결론 = 75
참고자료 = 77
제3절 자립형 사립고 시범운영 투입과정과 산출 효과에 대한 체계론적 분석 = 81
1. 서론 = 81
2. 이론적 배경 = 84
3. 연구 방법 및 절차 = 93
4. 자립형 사립고 시범운영 투입 및 변환과정과 산출결과분석 = 106
5. 요약 및 결론 = 153
참고자료 = 159
Part 2 학교의 전문공동체주의 형성
제1절 학교의 전문공동체화를 위한 교원 근무평정 방안 탐색 = 165
1. 서론 = 165
2. 근무평정의 의의와 주요국의 동향 = 167
3. 학교 조직의 구조적 특성 = 178
4. 근무평정 개정안의 내용과 문제점 = 188
5. 학교의 전문공동체 형성을 위한 근무평정 방안 = 196
6. 결론 = 201
참고자료 = 204
제2절 효율적인 학교 자체평가 방안 탐색 = 207
1. 서론 = 207
2. 학교 자체평가의 개념과 의의 = 210
3. 학교 자체평가의 추진 과정과 실태 = 223
4. 외국의 학교 자체평가 추진 현황과 시사점 = 231
5. 학교 자체평가 내용과 방안 탐색 = 239
6. 학교 자체평가의 과제와 전망 = 246
참고자료 = 251
제3절 일반고 직업반 운영의 효율성을 위한 평생 교육적 함의와 사회적 파트너십 구축방안 = 255
1. 서론 = 255
2. 일반고 직업반 교육의 평생교육적 함의와 파트너십의 개념 = 257
3. 주요국의 청소년 직업교육을 위한 사회적 파트너십 사례 = 262
4. 우리나라 일반고 직업반 운영 실태와 문제점 = 268
5. 일반고 직업교육 사회적 파트너십 구축 방안과 원리 = 280
6. 결론 및 전망 = 285
참고자료 = 288
Part 3 사립학교 학생ㆍ교원
제1절 사립고 평준화 정책 적용의 적합성 문제 = 293
1. 서론 = 293
2. 이론적 논거 = 294
3. 주요 외국의 사립고등학교 정책 = 302
4. 평준화 정책하의 사립고 현황 = 311
5. 사립고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문제 = 316
6. 결론 및 전망 = 325
참고자료 = 327
제2절 우리나라 중등 사학교원과 주요 외국 사학 교원의 인사관리 비교연구 = 329
1. 서론 = 329
2. 이론적 배경 = 331
3. 주요 외국의 사학 인사관리 = 337
4. 사립학교법에 나타난 사립학교 교원의 인사관리 현황 = 368
5. 사립학교법 인사관리의 문제점 = 376
6. 결론 및 전망 = 381
참고자료 = 384
제3절 사학교원의 쟁의행위 금지 적부성 재고 - 「교원의노동조합설립운영등에관한법률」 제8조를 중심으로 = 387
1. 서론 = 387
2. 관련 용어의 개념정의 = 388
3. 주요 외국 사례 = 400
4. 교원노조 쟁의행위 금지 적부성의 쟁점 = 404
5. 교원노조 쟁의행위 금지의 문제점과 대안 = 412
6. 제언 및 전망 = 416
참고자료 = 419
Part 4 고등학교 교육과정
제1절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과학 선택과목 결정요인 분석 = 423
1. 서론 = 423
2. 이론적 배경 = 426
3. 연구방법 = 439
4. 연구결과 및 해석 = 450
5. 결론 = 458
참고문헌 = 462
제2절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른 고등학교 「도덕ㆍ윤리과」 교육과정 변천과정과 전망 = 465
1. 서론 = 465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모형 = 467
3. 윤리과 교육과정의 특징 = 471
4. 「윤리과」 교육과정 변천과정 = 478
5. 민주적 발전기(제7차 교육과정기: 1998년 이후-2007년 현재) = 486
6. 「윤리」 교육과정의 전망 및 과제 = 491
7. 결론 = 496
참고자료 = 499
제3절 도덕ㆍ윤리과의 통일교육이 한국의 정치문화 발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503
1. 서론 = 503
2. 이론적 배경 = 505
3. 통일 교육내용의 변천과 실태 = 512
4. 도덕ㆍ윤리과 통일 교육이 정치 문화에 미친 영향 = 523
5. 도덕ㆍ윤리과 통일교육의 전망과 과제 = 535
6. 결론 = 539
참고문헌 = 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