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Loan 1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귀옥 조은 이임하 김동환 강우성 이태주 윤충로
Title Statement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 김귀옥 [외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선인 ,   2008.  
Physical Medium
320 p. ; 24 cm.
Series Statement
현대사 총서 ; 023
ISBN
9788959331253
General Note
공저자: 조은, 이임하, 김동환, 강우성, 이태주, 윤충로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000 00904camccc200325 k 4500
001 000045456295
005 20100807014454
007 ta
008 080623s2008 ulk b 001c kor
020 ▼a 9788959331253 ▼g 93900
035 ▼a (KERIS)BIB000011322121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55.02 ▼2 22
090 ▼a 355.02 ▼b 2008z1
245 0 0 ▼a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 ▼d 김귀옥 [외저].
260 ▼a 서울 : ▼b 선인 , ▼c 2008.
300 ▼a 320 p. ; ▼c 24 cm.
440 0 0 ▼a 현대사 총서 ; ▼v 023
500 ▼a 공저자: 조은, 이임하, 김동환, 강우성, 이태주, 윤충로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536 ▼a 이 책은 2005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기초학문육성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700 1 ▼a 김귀옥 ▼0 AUTH(211009)124739
700 1 ▼a 조은
700 1 ▼a 이임하 ▼0 AUTH(211009)115768
700 1 ▼a 김동환 ▼0 AUTH(211009)108101
700 1 ▼a 강우성
700 1 ▼a 이태주 ▼0 AUTH(211009)132874
700 1 ▼a 윤충로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2 2008z1 Accession No. 11148351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7-10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2 2008z1 Accession No. 11148351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5.02 2008z1 Accession No. 1512636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2 2008z1 Accession No. 11148351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7-10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2 2008z1 Accession No. 11148351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5.02 2008z1 Accession No. 1512636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동환(지은이)

경북대학교에서 영어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해군사관학교 영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개념적 혼성 이론』(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인지언어학과 의미』(문화관광부 우수도서), 『인지언어학과 개념적 혼성 이론』을 저술했으며, 『인지언어학 개론』(문화관광부 우수도서),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은유와 감정』, 『인지언어학 옥스퍼드 핸드북』, 『몸의 의미』, 『영어의 창조적 합성어』, 『이야기의 언어』, 『과학과 인문학』, 『비유 언어』, 『환유와 언어·사고·뇌』, 『비판적 담화분석과 인지과학』, 『담화, 문법, 이데올로기』, 『진짜 두꺼비가 나오는 상상 속의 정원』, 『인지언어학 블룸즈버리 핸드북』, 『환유의 인지언어학적 접근법』, 『인지언어학 핸드북』, 『애쓰지 않기 위해 노력하기』를 번역하였다.

이임하(지은이)

현재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 교수다. 한국 전쟁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으며 언제나 여성들의 이야기와 역사를 고민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전염병 전쟁』, 『조선의 페미니스트』, 『이임하의 여성사 특강』, 『10대와 통하는 선거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문화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한국 전쟁 이야기』, 『해방공간, 일상을 바꾼 여성들의 역사』, 『적을 삐라로 묻어라』,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계집은 어떻게 여성이 되었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한국 여성사 편지』가 있으며, 『동아시아와 근대, 여성의 발견』,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1970년대 민중운동 연구』,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 『20세기 여성, 전통과 근대의 교차로에 서다』, 『죽엄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동아시아의 전쟁과 사회』, 『전장과 사람들』,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 등의 집필에 참여했다.

이태주(지은이)

문화인류학자이자이자 서울대학교 인류학 박사이며, 하버드대학교 visiting fellow이다.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지도교수와 한국국제협력단 연구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한성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다. 지은 책으로 <함께 사는 세상 만들기>, <세계의 풍속과 문화>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인류학적 지역주의와 문화의 탈지역화」, 「멜라네시아의 토지공동체주의와 전통의 정치」등이 있다.

윤충로(지은이)

동국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역사사회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45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의 국가형성사를 주제로 한 박사논문을 다듬어 《베트남과 한국의 반공독재국가형성사》(2005)를 썼고, 이 책으로 2007년 제2회 김진균상을 수상했다. 박정희 시대의 사회사와 그 이후의 영향, 특히 한국의 베트남전쟁 문제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베트남전쟁의 한국 사회사》(2015)를 펴낸 바 있다. 한성대학교, 성공회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 일했고, 현재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강우성(지은이)

서울대학교 영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버펄로) 영문학과에서 19세기 미국문학과 데리다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성대학교에서 가르치다가 2008년부터 서울대학교 영문학과와 비교문학과에서 미국문학, 영화, 비평이론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불안은 우리를 삶으로 이끈다》,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공저),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잃어버린 시간의 연대기》, 《치료받을 권리》, 《천하대혼돈》, 《팬데믹 패닉》, 《어리석음》, 《미국, 변화인가 몰락인가》(공역) 등이 있다.

조은(지은이)

동국대 명예교수. 사회학자. 학문 간, 장르 간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을 해왔다. 주요 저서로는 문화기술지 『사당동 더하기 25』와 소설 『침묵으로 지은 집』, 현장 일지 같은 칼럼집 『일상은 얼마나 가볍고 또 무거운가』 등이 있다. 다큐멘터리《사당동 더하기 22》와《사당동 더하기 33》을 제작·감독했다.

김귀옥(지은이)

한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교수 김귀옥은 역사사회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한성대 교양학부 교수로 있다. 「한국전쟁 시기 월남인의 정착촌 형성 연구: 속초 ‘아바이마을’과 김제 ‘용지농원’을 중심으로」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사는 분단과 전쟁, 통일과 평화, 이산가족과 여성, 분단을 넘는 사람들, 디아스포라(diaspora) 공동체, 노동 등에 걸쳐있으며, 관련 연구를 위해 현지조사(fieldwork research)와 구술사 방법론을 통해 사람들의 기억 속에 묻혀있는 기록을 발굴, 정리하는 일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구술사연구』, 『월남민의 생활경험과 정체성: 밑으로부터의 월남민 연구』,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이산가족 문제를 보는 새로운 시각』, 『우리가 큰바위얼굴이다』, 『동아시아의 전쟁과 사회』(공저), 『구술사로 읽는 한국전쟁』(교신저자),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공저) 등 다수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9
1부 한국 구술사 연구 현황, 쟁점과 과제 / 김귀옥 = 19
 1. 들어가며 = 21
 2. 구술사의 정의와 몇 가지 쟁점 = 24
 3. 한국 구술사 연구 현황 = 32
 4. 맺음말 : 구술사 아카이브즈 구축을 제안하며 = 52
2부 한국전쟁가 이데올로기 = 61
 1. 전쟁과 분단의 일상화와 기억의 정치 - '월남'가족과 '월북'가족 자녀들의 구술을 중심으로 / 조은 = 63
  1. 들어가며 = 63
  2. 월남가족과 월북가족 : 말하기와 침묵하기 = 64
  3. 월남가족과 월북가족 자녀 : 비대칭적 기억의 정치 = 77
  4. 맺음말 = 99
 2. 지역 사회에서 반공이데올로기 정립을 둘러싼 미시적 고찰 - 해방 전후~1950년대 인천시 강화군 교동면의 사례 / 김귀옥 = 105
  1. 들어가며 : 교동에서 분단과 냉전의 한반도를 보다 = 105
  2. 한국전쟁과 지역연구, 구술사 방법론과의 만남 = 108
  3. 1950년대 전후 교동 지역 사회의 모습 = 114
  4. 구술 속에 재현된 교동 공간의 중심지 이동 = 122
  5. 맺음말 : 전후 냉전 시대 지역의 재편과 반공이데올로기의 내면화 = 138
 3. 상이군인들의 한국전쟁 기억 / 이임하 = 147
  1. 들어가며 = 147
  2. 연구대상 = 150
  3. 상이군인(참전군인)의 전쟁 기억 = 154
  4. 상이군인과 군사원호법 = 172
  5. 맺음말 = 182
3부 한국전쟁과 이데올로기 문화 재생산 = 187
 1. 한국전쟁, 국어교육, 국어교과서 / 김동환 = 189
  1. 전쟁의 그림자와 교과서의 그늘 = 189
  2. 국어 교과서 편찬의 지배적 관여요소로서의 통치 이데올로기 = 194
  3. 한국전쟁의 간접화와 국어 교과서 = 203
  4. 전쟁의 소설적 형상화 방식의 검토 = 209
  5. 기대 지평 = 217
 2. 억압된 인종 공포 : 미국문화와 이데올로기로서의 한국전쟁 / 강우성 = 221
  1. 미국인들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 221
  2. 무엇이 어떻게 기억되고 망각되는가? = 223
  3. 포로로 잡힌 한국전쟁 = 228
  4. 인종혐오 이데올로기로서의 한국전쟁 = 233
  5. 미국문화와 한국전쟁의 현재성 = 239
4부 베트남 전쟁과 이데올로기 = 245
 1. 전쟁경험과 집단기억의 동원 - 베트남 참전용사 단체를 중심으로 / 이태주 = 247
  1. 들어가며 = 247
  2. 베트남 참전용사 단체의 형성과 이합집단의 과정 = 251
  3. 전쟁 경험의 해석과 집단기억의 동원 = 260
  4. 결론 : 명예와 보상 사이에서 = 273
 2. 베트남 전쟁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지배이데올로기의 재생산 / 윤충로 = 283
  1. 들어가며 = 283
  2. 연구방법론과 자료 = 285
  3. 전쟁이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이데올로기 지형에 미친 영향 = 287
  4. 전쟁의 기억과 전후(戰後)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정 = 294
  5. 참전군인의 동원과 아래로부터의 지배이데올로기 재생산 = 299
  6. 맺음말 = 306
찾아보기 = 31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