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헤겔 & 마르크스 : 역사를 움직이는 힘 (19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손철성
서명 / 저자사항
헤겔 & 마르크스 : 역사를 움직이는 힘 / 손철성 지음
발행사항
파주 :   김영사,   2008  
형태사항
222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지식인 마을 ;24
ISBN
9788934921257
일반주기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1770-1831  
Marx, Karl,   1818-1883  
000 00774namcc2200265 c 4500
001 000045452088
005 20111021160102
007 ta
008 080704s2008 ggka 001c kor
020 ▼a 9788934921257 ▼g 041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082 0 4 ▼a 089.957 ▼a 193 ▼2 22
085 ▼a 089.97 ▼2 DDCK
090 ▼a 089.97 ▼b 2006a ▼c 24
100 1 ▼a 손철성 ▼0 AUTH(211009)142088
245 1 0 ▼a 헤겔 & 마르크스 : ▼b 역사를 움직이는 힘 / ▼d 손철성 지음
246 3 ▼a 헤겔 and 마르크스
260 ▼a 파주 : ▼b 김영사, ▼c 2008
300 ▼a 222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지식인 마을 ; ▼v 24
500 ▼a 색인수록
600 1 0 ▼a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d 1770-1831
600 1 0 ▼a Marx, Karl, ▼d 1818-1883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2006a 24 등록번호 11147981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3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2006a 24 등록번호 1114798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89.97 2006a 24 등록번호 1512639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2006a 24 등록번호 11147981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3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2006a 24 등록번호 1114798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89.97 2006a 24 등록번호 1512639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는 어떤 시각으로 인류의 역사를 바라보고, 미래를 전망해야 하는 것일까? 처음으로 인류의 역사에 철학이라는 잣대를 들이댄 칸트, 헤겔, 마르크스의 사상을 토대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어떤 철학적 기준을 가지고 인류의 역사를, 우리의 미래를 조망해야 하는지, 살핀다.

철학은 인간의 역사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었고, 인류의 역사는 철학과의 만남으로 약동하기 시작했다! 이성의 힘을 역사에 접목한 철학자들, 그 중심에서 20세기 인류사를 뒤흔든 헤겔과 마르크스의 사상을 통해 역사철학의 쟁점을 되짚어본다.

근대 역사철학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비코는 인류의 역사를 ‘신의 시대’, ‘영웅의 시대’, ‘인간의 시대’로 나누어 역사관에 최초로 인간의 이성을 도입했다. 이후 이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계몽주의 역사관은 칸트와 헤겔, 마르크스를 거치며 인류사의 20세기를 송두리째 흔들어 놓았다. “역사는 이성의 자기전개 과정”이라 확신한 헤겔. 계몽주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계승, 여기에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회주의 사상을 결합하여 인류의 지성사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마르크스. 과연 인간의 역사는 헤겔과 마르크스의 주장처럼 필연적 법칙에 따라 조금씩 진보의 발걸음을 내딛고 있는가? 객관적인 역사인식이란 과연 가능한 것인가? 철학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역사를 바라보고 올바른 역사 법칙을 규명하려 했던 철학자들의 시각으로 인류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새롭게 조명해본다!

역사와 철학의 중심에서 팽팽하게 맞선 다섯 가지 쟁점
역사를 바라보는 올바른 시각은 과연 무엇일까?


인류의 역사는 과연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며, 그 원동력은 무엇인가? 헤겔이나 마르크스의 주장처럼 미개 사회에서 문명사회로, 비이성적 사회에서 이성적 사회로 발전하고 있는 것일까? 그렇다면 인간의 역사를 필연적 법칙에 따라 움직이는 것일까, 아니면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열린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일까?
칸트와 헤겔, 마르크스에 의해 확립된 계몽주의 역사관은 역사에는 일정한 법칙이 존재하며, 역사는 인간의 이성을 통해 진보의 방향으로 발전한다고 주장한다. 이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이성주의는 근대 서양 사회를 지배하는 중심 이념인 모더니즘의 주축이 되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으로 들어서면서 이성주의에 입각한 모더니즘을 비판하면서 등장한 반이성주의, 즉 포스트모더니즘은 역사의 발전 법칙을 언급하는 모더니즘의 역사관을 비판하면서 그러한 거대 담론은 이성의 한계 때문에 성공할 수 없다고 말한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역사에 대한 해석과 재해석! 과연 우리는 어떤 시각으로 인류의 역사를 바라보고, 미래를 전망해야 하는 것일까? 처음으로 인류의 역사에 철학이라는 잣대를 들이댄 칸트, 헤겔, 마르크스의 사상을 토대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어떤 철학적 기준을 가지고 인류의 역사를, 우리의 미래를 조망해야 하는지, 그 치열한 쟁점 속으로 들어간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손철성(지은이)

현재 경북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회철학 및 사회윤리를 연구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응용윤리학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관심 주제는 비판적 사회 이론, 유토피아, 분배적 정의, 평등 원리, 세계시민주의, 해외 원조, 난민, 국제적 간섭,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 등이다. 저서로 『유토피아, 희망의 원리』 『고전과 논리적 글쓰기』 『허버트 마르쿠제: 마르크스와 프로이트를 결합시키다』 『자본론: 자본의 감추어진 진실 혹은 거짓』 『역사를 움직이는 힘: 헤겔 & 마르크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공저) 『글쓰기의 힘』(공저), 『멀티플 팬데믹』(공저)』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 『자유주의』 『테러 시대의 철학: 하버마스, 데리다와의 대화』(공역)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Prologue1 이책을 읽기 전에 = 4
Prologue2 지식여행을 떠나며 = 6
Chapter 1 초대
 역사 철학에 대한 다섯 가지 질문 = 12
Chapter 2 만남
 1. 칸트, 계몽주의적 역사관을 기획하다 = 26
  비코, 역사의 법칙을 찾아 나서다
  칸트, 계몽주의적 역사관을 기획하다
  계몽이란 무엇인가?
  너 자신의 이성을 사용할 용기를 가져라 = 35
   사회와 역사에 대한 10가지 질문과 칸트의 답변
 2. 변증법의 철학자, 헤겔 = 42
  변증법의 철학자, 헤겔
  변증법의 기본 원리
 3. 헤겔, 변증법을 체계화하다 = 57
  헤겔이 바라본 변증법
  변증법의 기본 법칙
  헤겔주의의 탄생
  역사는 절대정신의 자기전개 과정이다 = 75
   사회와 역사에 대한 10가지 질문과 헤겔의 답변
 4. 자본주의의 비판자, 마르크스 = 89
  마르크스의 생애
  20세기를 바꾼 마르크스의 저서들
  물질이 세상을 바꾼다
  자본주의 경제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
 5. 마르크스, 세상의 변혁을 꿈꾸다 = 125
  만국의 프롤레타리아여, 단결하라!
  20세기를 뒤흔든 마르크스주의
  물질적 토대가 상부구조를 결정한다 = 151
   사회와 역사에 대한 10가지 질문과 마르크스의 답변
Chapter 3 대화
 프랑스 혁명 220주년 기념 콜로키움 = 171
Chapter 4 이슈
 닫힌 미래 vs. 열린 미래 : 역사에 과연 필연적인 법칙이 존재하는가? = 192
 실증주의 vs. 해석학 : 역사 연구의 목적과 방법은 무엇인가? = 199
 객관주의 vs. 주관주의 : 사회와 역사에 대한 객관적 인식은 가능한가? = 205
 모더니즘 vs. 포스트모더니즘 : 거대 담론은 타당한가? = 212
 국가 vs. 문명 : 사회와 역사 탐구의 기본 단위는 무엇인가? = 215
Epilogue
 1 지식인 지도 = 224
 2 지식인 연보 = 226
 3 키워드 찾기 = 228
 4 깊이 읽기 = 232
 5 찾아보기 =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