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27c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45451888 | |
005 | 20100807124210 | |
007 | ta | |
008 | 080604s2008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7265598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1308379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415 ▼2 22 |
090 | ▼a 415 ▼b 2008z3 | |
100 | 1 | ▼a Evans, V. |
245 | 1 0 | ▼a 인지언어학 기초 / ▼d V. Evans, ▼e M. Green 지음 ; ▼e 임지룡, ▼e 김동환 옮김. |
246 | 1 9 | ▼a Cognitive linguistics : an introduction.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8. | |
300 | ▼a xxxii, 885 p. : ▼b 삽도 ; ▼c 25 cm. | |
500 | ▼a 부록: 표와 그림 | |
504 | ▼a 참고문헌(p. 839-860) 및 색인수록 | |
650 | 0 | ▼a Cognitive grammar. |
650 | 0 | ▼a Grammaire cognitive. |
700 | 1 | ▼a Green, M. |
700 | 1 | ▼a 임지룡 , ▼d 1954- , ▼e 역 ▼0 AUTH(211009)80895 |
700 | 1 | ▼a 김동환 , ▼d 1969- , ▼e 역 ▼0 AUTH(211009)75352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5 2008z3 | Accession No. 111479634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2-06-15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임지룡(옮긴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명예교수, 맨체스터대학 언어학과 객원교수 역임, 담화인지언어학회·한국어 의미학회·한국어문학회·문학과 언어학회·국어교육학회·우리말 교육현장학회 회장 역임, (현)한글학회 부회장 저서 『국어 대립어의 의미 상관체계』(1989), 『국어 의미론』(1992), 『인지의미론』(1997/2017), 『국어지식탐구』(공저, 1999), 『학교문법과 문법교육』(공저, 2005), 『말하는 몸』(2006),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09),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공저, 2014), 『한국어 의미 특성의 인지언어학적 연구』(2017), 『한국어 의미론』(2018), 『한국어 의미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2019), 『인지언어학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2019),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공저, 2021) 외 다수 (공)역서 『어휘의미론』(1989), 『심리언어학』(1993), 『언어의 의미』(2002), 『언어학개론』(2003), 『인지언어학 기초』(2008), 『의미 관계와 어휘사전』(2008), 『인지문법론』(2009), 『의미론의 이해』(2010), 『인지언어학 개론』(2010), 『언어·마음·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1), 『어휘의미론의 연구 방법』(2013), 『의미론의 길잡이』(2013), 『비유 언어』(2015), 『의미론』(2017), 『인지언어학 핸드북』(2018), 『은유 백과사전』(2020) 외 다수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기는 말 = ⅴ 한국어판 서문 = ⅹ 서문 = xxv 감사의 글 = xxix 약어, 상징, 표기 = xxxi 제1부 인지언어학 기획 개관 = 1 서론 = 3 1. 언어를 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5 1.1 언어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 6 1.1.1 언어의 상징적 기능 = 6 1.1.2 언어의 상호작용적 기능 = 10 1.2 언어의 체계적 구조 = 12 1.2.1 체계에 대한 증거 = 12 1.2.2 사고의 체계적 구조 = 15 1.3 언어학자들은 무엇을 하는가? = 16 1.3.1 무엇? = 16 1.3.2 왜? = 17 1.3.3 어떻게? = 17 1.3.4 화자 직관 = 17 1.3.5 수렴적 증거 = 18 1.4 언어를 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19 1.5 요약 = 22 더 읽을거리 = 23 연습문제 = 25 2. 인지언어학의 본질: 가정과 언명 = 29 2.1 중요한 두 가지 언명 = 29 2.1.1 '일반화 언명' = 30 2.1.2 '인지적 언명' = 43 2.2 신체적 마음 = 47 2.2.1 신체적 경험 = 48 2.2.2 신체적 인지 = 49 2.2.3 체험주의 실재론 = 51 2.3 인지의미론과 인지적 문법 접근법 = 52 2.4 요약 = 54 더 읽을거리 = 54 연습문제 = 55 3. 언어, 사고, 경험에서의 보편소와 변이 = 59 3.1 사고와 언어에서 보편소 = 60 3.1.1 유형적 보편소 = 62 3.1.2 형식주의 언어학에서 보편소 = 65 3.1.3 인지언어학에서 보편소 = 69 3.2 의미 체계에서 범언어적 패턴 = 74 3.2.1 공간 개념화의 패턴 = 74 3.2.2 시간 개념화의 패턴 = 82 3.3 의미 체계에서 범언어적 변이 = 94 3.3.1 공간 개념화에서 변이 = 95 3.3.2 시간 개념화에서 변이 = 99 3.4 언어 상대성과 인지언어학 = 103 3.4.1 Whorf와 언어 상대성 원리 = 104 3.4.2 사고 형성체로서의 언어 = 105 3.4.3 인지언어학의 입장 = 108 3.5 요약 = 109 더 읽을거리 = 110 연습문제 = 113 4. 사용 언어: 언어 지식, 언어 변화, 언어 습득 = 117 4.1 사용 중인 언어 = 118 4.1.1 용법 사건 = 118 4.1.2 용법과 언어 구조의 관계 = 120 4.1.3 이해와 생산 = 121 4.1.4 문맥 = 121 4.1.5 빈도 = 123 4.2 인지문법 = 123 4.2.1 추상, 도식화, 언어 사용 = 124 4.2.2 도식과 실례화 = 124 4.2.3 부분적 인가 = 125 4.2.4 도식의 비환원적 본질 = 126 4.2.5 도식 형성의 빈도 = 127 4.3 언어 변화에 대한 용법 토대적 접근법 = 130 4.3.1 역사언어학과 언어 변화 = 130 4.3.2 언어 변화의 발화 선택 이론 = 132 4.3.3 일반화된 선택 이론과 발화 선택 이론 = 134 4.3.4 언어 변화에 대한 인과적 메커니즘 = 137 4.4 언어 습득에 대한 용법 토대적 접근법 = 143 4.4.1 언어 습득에 대한 경험적 연구결과 = 143 4.4.2 인지적 견해: 언어 습득에서 사회인지적 메커니즘 = 146 4.4.3 언어 습득에 대한 생성주의 견해와 비교하기 = 151 4.5 요약 = 156 더 읽을거리 = 158 연습문제 = 159 제2부 인지의미론 = 161 서론 = 163 5. 인지의미론이란 무엇인가? = 167 5.1 지침 원리 = 168 5.1.1 개념적 구조는 신체적이다 = 168 5.1.2 의미적 구조는 개념적 구조이다 = 169 5.1.3 의미 표상은 백과사전적이다 = 171 5.1.4 의미구성은 개념화이다 = 173 5.2 인지의미론에서 연구되는 현상 = 175 5.2.1 의미의 신체적 기초 = 175 5.2.2 개념적 구조 = 176 5.2.3 백과사전적 의미론 = 176 5.2.4 사상 = 178 5.2.5 범주화 = 179 5.2.6 낱말 의미와 다의성 = 180 5.3 방법론 = 181 5.4 의미론에 대한 형식주의 접근법과 비교 = 182 5.5 요약 = 183 더 읽을거리 = 184 연습문제 = 185 6. 신체화와 개념적 구조 = 189 6.1 영상도식 = 190 6.1.1 영상도식이란 무엇인가? = 191 6.1.2 영상도식의 특성 = 193 6.1.3 영상도식과 언어 의미 = 203 6.1.4 영상도식의 예비 목록 = 204 6.1.5 영상도식과 추상적 사고 = 204 6.2 개념적 구조 = 205 6.2.1 의미적 구조 = 205 6.2.2 도식적 체계 = 208 6.3 요약 = 215 더 읽을거리 = 216 연습문제 = 217 7. 백과사전적 의미관 = 221 7.1 사전 대 백과사전 = 222 7.1.1 사전 견해 = 223 7.1.2 사전 견해의 문제 = 225 7.1.3 낱말 의미 대 문장 의미 = 228 7.1.4 백과사전적 견해 = 230 7.2 틀의미론 = 237 7.2.1 의미적 틀이란 무엇인가? = 237 7.2.2 인지심리학에서의 틀 = 237 7.2.3 상거래 사건 틀 = 240 7.2.4 발화 사건 틀 = 243 7.2.5 틀 토대적 모형의 채택으로 인한 결과 = 244 7.3 영역 이론 = 245 7.3.1 영역이란 무엇인가? = 245 7.3.2 기본 영역, 영상도식적 영역, 추상적 영역 = 247 7.3.3 영역의 다른 특징 = 251 7.3.4 윤곽/바탕 조직 = 252 7.3.5 활성지역 = 254 7.4 지식 표상의 지각적 기초 = 255 7.5 요약 = 259 더 읽을거리 = 259 연습문제 = 261 8. 범주화와 이상적 인지모헝 = 263 8.1 범주화와 인지의미론 = 264 8.1.1 고전 이론 = 266 8.1.2 정의적 문제 = 267 8.1.3 개념적 불분명성의 문제 = 268 8.1.4 원형성의 문제 = 269 8.1.5 또 다른 문제 = 270 8.2 원형 이론 = 270 8.2.1 범주화 원리 = 270 8.2.2 범주화 체계 = 271 8.2.3 수직 차원 = 272 8.2.4 수평 차원 = 280 8.2.5 원형 이론의 문제 = 284 8.3 이상적 인지모형 이론 = 286 8.3.1 전형성 효과의 출처 = 287 8.3.2 전형성 효과의 또 다른 출처로서 방사 범주 = 292 8.3.3 원형 이론의 문제 다루기 = 294 8.4 이상적 인지모형의 구조 = 296 8.5 요약 = 298 더 읽을거리 = 299 연습문제 = 300 9. 은유와 환유 = 303 9.1 자구적 언어 대 비유적 언어 = 304 9.1.1 복합적 개념으로서 자구적 언어와 비유적 언어 = 304 9.1.2 이 구분을 유지할 수 있는가? = 306 9.2 은유란 무엇인가? = 310 9.3 개념적 은유 이론 = 314 9.3.1 은유의 단일방향성 = 314 9.3.2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에 대한 동기 = 315 9.3.3 은유적 함의 = 316 9.3.4 은유 체계 = 317 9.3.5 은유와 영상도식 = 318 9.3.6 불변성 = 319 9.3.7 은유의 개념적 본질 = 321 9.3.8 은폐와 부각 = 322 9.4 일차적 은유 이론 = 322 9.4.1 일차적 은유와 복합적 은유 = 322 9.4.2 경험적 상관성 = 324 9.4.3 일차적 은유에 대한 동기부여 = 324 9.4.4 일차적 은유와 복합적 은유 구분하기 = 325 9.5 환유란 무엇인가? = 329 9.6 개념적 환유 = 334 9.6.1 접근 메커니즘으로서 환유 = 334 9.6.2 환유 생산 관계 = 335 9.6.3 환유에 대한 매체 = 337 9.7 은유-환유 상호작용 = 338 9.8 요약 = 340 더 읽을거리 = 341 연습문제 = 345 10. 낱말 의미와 방사 범주 = 349 10.1 개념적 현상으로서 다의성 = 350 10.2 방사 범주로서 낱말 = 352 10.3 풍부한 상술 접근법 = 354 10.3.1 영상도식 변형 = 359 10.3.2 은유적 확장 = 360 10.4 풍부한 상술 접근법의 문제점 = 362 10.5 원칙적 다의성 접근법 = 364 10.5.1 의미 구분하기 = 364 10.5.2 원형 의미 확정하기 = 366 10.5.3 원칙적 다의성에 기초한 방사 범주 예증 = 369 10.5.4 전치사를 넘어서 = 371 10.6 다의성에서 문맥의 중요성 = 375 10.6.1 사용 문맥: 하위의미 = 375 10.6.2 문장 문맥: 국면 = 377 10.6.3 지식 문맥: 보는 방식 = 378 10.7 요약 = 379 더 읽을거리 = 379 연습문제 = 383 11. 의미구성과 정신공간 = 387 11.1 형식의미론에서 문장 의미 = 388 11.2 인지의미론에서 의미구성 = 389 11.3 의미구성의 인지적 이론을 향하여 = 392 11.4 정신공간 구성의 구조 = 395 11.4.1 공간 구축소 = 395 11.4.2 요소 = 395 11.4.3 특성과 관계 = 396 11.4.4 정신공간 격자 = 398 11.4.5 대응요소와 연결자 = 399 11.4.6 접근 원리 = 400 11.4.7 역할과 값 = 406 11.5 정신공간 구성의 예증 = 408 11.6 의미구성의 동적인 성질 = 412 11.6.1 영어의 시제와 상 = 413 11.6.2 정신공간 이론에서 시제-상 체계 = 415 11.6.3 인식적 거리 = 420 11.7 요약 = 422 더 읽을거리 = 423 연습문제 = 424 12. 개념적 혼성 = 427 12.1 개념적 혼성 이론의 기원 = 428 12.2 개념적 통합 이론을 향하여 = 430 12.3 혼성의 본질 = 435 12.3.1 개념적 혼성의 요소 = 436 12.3.2 또 다른 언어적 예 = 438 12.3.3 비언어적 예 = 444 12.4 중추적 관계와 압축 = 446 12.4.1 중추적 관계 = 447 12.4.2 중추적 관계의 분류법과 압축 = 449 12.4.3 탈통합과 탈압축 = 454 12.5 통합 연결망의 분류법 = 454 12.5.1 단순 연결망 = 455 12.5.2 거울 연결망 = 456 12.5.3 단일 범위 연결망 = 456 12.5.4 이중 범위 연결망 = 458 12.6 다중 혼성 = 460 12.7 혼성 이론 제약하기 = 462 12.8 개념적 혼성 이론과 개념적 은유 이론의 비교 = 464 12.8.1 차이 = 464 12.8.2 언제 은유가 혼성이 아닌가? = 466 12.8.3 개념적 혼성 이론이 개념적 은유 이론에 더해 주는 것 = 466 12.9 요약 = 468 더 읽을거리 = 469 연습문제 = 471 13. 문맥 속의 인지의미론 = 475 13.1 진리조건적 의미론 = 476 13.1.1 의미, 진리, 실재 = 476 13.1.2 대상언어 대 상위언어 = 476 13.1.3 자연 언어의 불일치 = 477 13.1.4 문장과 명제 = 479 13.1.5 진리조건적 의미론과 생성주의 기획 = 479 13.1.6 의미의 합성성 = 480 13.1.7 자연 언어를 상위언어로 번역하기 = 481 13.1.8 의미 해석과 일치 = 483 13.1.9 인지의미론과 비교 = 486 13.2 적절성 이론 = 489 13.2.1 명시적 의사소통 = 489 13.2.2 상호 인지적 환경 = 490 13.2.3 적절성 = 490 13.2.4 외축과 함축 = 492 13.2.5 은유 = 493 13.2.6 인지의미론과 비교 = 494 13.3. 요약 = 496 더 읽을거리 = 496 연습문제 = 497 제3부 인지적 문법 접근법 = 499 서론 = 501 14. 인지적 문법 접근법이란 무엇인가? = 505 14.1 지침 가정 = 506 14.1.1 상징적 정립 = 506 14.1.2 용법 토대적 정립 = 508 14.1.3 모형의 구조 = 509 14.2 별개의 인지적 문법 접근법 = 510 14.2.1 '개념적 구조화 체계 모형' = 510 14.2.2 인지문법 = 510 14.2.3 구문적 문법 접근법 = 511 14.2.4 문법화에 대한 인지적 접근법 = 512 14.3 문법 용어 = 514 14.3.1 문법 = 514 14.3.2 문법의 단위 = 514 14.3.3 낱말 부류 = 517 14.3.4 통사론 = 523 14.3.5 문법적 기능 = 525 14.3.6 일치와 격 = 530 14.4 인지적 문법 접근법의 특징 = 532 14.4.1 문법적 지식: 상징 단위의 구조화된 목록 = 533 14.4.2 폐쇄 부류 하위체계의 자질 = 534 14.4.3 도식과 실례 = 535 14.4.4 인가와 문법성 = 537 14.5 요약 = 538 더 읽을거리 = 539 연습문제 = 541 15. 문법의 개념적 기초 = 545 15.1 문법적 하위체계: 의미적 구조 부호화하기 = 546 15.2 Talmy의 '개념적 구조화 체계 모형' = 547 15.2.1 공간과 시간의 형상 = 548 15.2.2 개념적 대안성 = 549 15.2.3 도식적 체계 = 551 15.2.4 형상적 구조 체계 = 552 15.2.5 '주의 체계' = 560 15.2.6 '원근화법 체계' = 562 15.2.7 '힘역학 체계' = 566 15.3 Langacker의 인지문법 이론 = 568 15.3.1 낱말 부류의 개념적 기초 = 568 15.3.2 주의 = 570 15.3.3 힘역학 = 580 15.4 문법에서 범주화와 다의성: 연결망 개념 = 580 15.5 요약 = 583 더 읽을거리 = 584 연습문제 = 586 16. 인지문법: 낱말 부류 = 589 16.1 낱말 부류: 언어적 범주화 = 590 16.2 명사류 서술: 명사 = 592 16.2.1 한정화 = 593 16.2.2 동질성 대 이질성 = 596 16.2.3 확장성과 수축성 대 반복성 = 596 16.2.4 추상개념 = 597 16.3 명사류 서술 대 관계적 서술 = 598 16.4 시간적 관계 대 비시간적 관계 = 600 16.4.1 시간적 관계: 동사 = 601 16.4.2 비시간적 관계 = 602 16.4.3 부류 도식 = 607 16.5 명사류 고정체 서술 = 609 16.5.1 한정사와 양화사 = 610 16.5.2 고정화 = 613 16.6 요약 = 614 더 읽을거리 = 615 연습문제 = 616 17. 인지문법: 구문 = 619 17.1 구 구조 = 620 17.1.1 결합가 = 621 17.1.2 대응 = 622 17.1.3 윤곽 결정 = 623 17.1.4 개념적 자립성 대 개념적 의존성 = 624 17.1.5 성분조합성 = 626 17.1.6 원형적 문법 구문 = 626 17.2 낱말 구조 = 627 17.2.1 음운적 자립성과 의존성 = 628 17.2.2 의미적 자립성과 의존성 = 628 17.2.3 원형적 어간과 접사 = 629 17.2.4 합성 구조 = 629 17.2.5 구문 도식 = 630 17.2.6 문법적 형태소와 일치 = 631 17.3 절 = 632 17.3.1 절 층위에서 결합가 = 633 17.3.2 문법적 기능과 타동성 = 639 17.3.3 격 = 645 17.3.4 유표적 부호화: 수동태 구문 = 648 17.4 요약 = 649 더 읽을거리 = 649 연습문제 = 651 18. 인지문법: 시제, 상, 서법, 태 = 655 18.1 영어 동사: 형태와 기능 = 656 18.2 절 머리어 = 657 18.2.1 수동태 구문 [be₂ [PERF₃ [V]]] = 660 18.2.2 진행 구문 [be₂[-ing [V]] = 661 18.2.3 완료 구문 [have [PERF₄ [V]]] = 662 18.3 고정화 서술: 법과 시제 = 664 18.3.1 서법 = 665 18.3.2 시제 = 667 18.3.3 인식적 모형 = 668 18.4 상황 상 = 672 18.4.1 상황 유형 = 672 18.4.2 완료와 미완료 과정 = 674 18.4.3 상과 가산/질량 구분 = 675 18.5 요약 = 679 더 읽을거리 = 679 연습문제 = 680 19. 구문문법에 대한 동기부여 = 683 19.1 구문 대 '낱말과 규칙' = 684 19.2 관용적 표현에 대한 탐구 = 685 19.2.1 관용적 표현의 유형학 = 685 19.2.2 사례 연구 Ⅰ : let alone 구문 = 690 19.2.3 사례 연구 Ⅱ : what's X doing Y 구문 = 694 19.3 구문문법 = 696 19.3.1 구문문법 모형 = 696 19.3.2 구문문법. '폭넓은 생성주의' 모형 = 702 19.3.3 구문문법과 인지문법의 비교 = 703 19.4 일반화 언명 = 704 19.5 요약 = 705 더 읽을거리 = 706 연습문제 = 707 20. 구문문법의 구조 = 709 20.1 Goldberg의 구문문법 = 710 20.1.1 가정 = 710 20.1.2 동사 논항 구조에 대한 구문적 접근법의 장점 = 712 20.1.3 동사와 구문 사이의 관계 = 715 20.1.4 구문들 사이의 관계 = 724 20.1.5 사례 연구 = 728 20.2 급진적 구문문법 = 737 20.2.1 구문의 분류법 = 737 20.2.2 다양성의 강조 = 738 20.2.3 급진적 구문문법의 다섯 가지 핵심 자질 = 738 20.3 신체적 구문문법 = 742 20.3.1 언어 처리에 대한 강조 = 742 20.3.2 분석과 시뮬레이션 = 742 20.4 구문적 문법 접근법들 간의 비교 = 744 20.5 요약 = 745 더 읽을거리 = 747 연습문제 = 748 21. 문법화 = 751 21.1 문법화의 본질 = 752 21.1.1 형태 변화 = 754 21.1.2 의미 변화 = 756 21.2 은유적 확장 접근법 = 758 21.2.1 사례 연구: 사물에서 공간으로 = 762 21.2.2 사례 연구: 공간에서 소유로 = 763 21.3 유도적 추리 이론 = 765 21.3.1 사례 연구: must의 진화 = 770 21.4 주관화 접근법 = 772 21.4.1 사례 연구: be going to = 774 21.4.2 사례 연구: 이동이나 자세 동사로부터 조동사의 진화 = 775 21.5 세 가지 접근법 비교: be going to = 776 21.6 요약 = 778 더 읽을거리 = 778 연습문제 = 781 22. 문맥 속의 인지적 문법 접근법 = 785 22.1 문법 이론: 가정, 목표, 방법론 = 785 22.1.1 인지적 문법 접근법 = 787 22.1.2 생성주의 문법 접근법 = 788 22.1.3 인지적 모형 대 생성주의 모형 = 797 22.1.4 기능적-유형학적 문법 접근법 = 803 22.2 문법의 핵심 논제: 인지적 설명과 생성주의 설명의 비교 = 805 22.2.1 낱말 부류 = 806 22.2.2 성분조합성: 머리어와 의존어 = 807 22.2.3 수형도의 위상 = 807 22.2.4 문법적 기능과 격 = 809 22.2.5 동사 연속체: 시제, 상, 서법 = 811 22.2.6 수동태 구문 = 813 22.3 요약 = 815 더 읽을거리 = 816 연습문제 = 818 제4부 결론 = 821 23. 인지언어학 기획 평가 = 823 23.1 업적 = 823 23.2 남아 있는 난제 = 825 23.3 요약 = 828 부록: 표와 그림 = 829 참고문헌 = 839 주제색인 = 861 인명색인 = 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