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 3
제1장 최면 정의 = 13
1. 최면이란 무엇인가? = 18
2. 최면의 정의 = 20
3. 최면은 어떻게 치료에 활용되는가? = 23
4. 최면이 정말 효과적인가? = 24
5. 최면과 긍정심리학 = 26
제2장 최면의 역사적 발전 = 29
1. 고대 최면 = 32
2. 현대 최면 = 33
제3장 최면 현상 = 45
1. 최면상태의 심리적 특징 = 49
2. 최면상태의 신체적 특징 = 57
3. 최면 경험의 현상학적 평가 = 62
제4장 최면의 이론 = 65
1. 신해리 모델 = 69
2. 수동적이거나 허용적인 상태로서의 최면 = 70
3. 변화된 의식상태로서의 최면 = 73
4. 최면의 현실검증 견해 = 75
5. 언어와 경험의 조건화된 특성 = 78
6. 특별한 상호작용의 결과로서의 최면 = 81
7. 사회인지이론적 관점 = 83
제5장 최면이론의 논쟁 = 91
1. 상태이론 = 95
2. 비상태이론 = 100
제6장 피암시성과 사회심리 = 105
1. 최면의 사회심리적 요인 = 108
2. 최면가의 환상 = 110
3. 치료, 영향 그리고 광고 = 111
4. 권위와 치료자 = 112
5. 수용에 대한 욕구 = 114
6. 확신감에 대한 욕구 = 115
7. 기대 = 116
8. 의사소통의 방식 = 119
제7장 최면의 신경심리생리적 현상 = 121
1. 최면상태의 두뇌 = 124
2. 과거 최면의 생리적 연구 = 126
3. 최면상태의 뇌를 연구하는 이유 = 127
4. 신경심리생리의 연구방법 = 129
5. 신경심리생리 연구의 의미 = 139
제8장 최면감수성 = 141
1. 최면감수성의 정의 = 145
2. 성격요인과 최면감수성 = 147
3. 다중요인과 최면감수성 = 159
4. 최면감수성의 증진 = 160
제9장 최면의 영역 = 165
1. 의학 최면 = 169
2. 범죄수사에서의 최면 = 179
3. 교육에서의 최면 = 182
4. 사업에서의 최면 = 184
5. 스포츠에서의 최면 = 185
제10장 최면유도 전략 = 187
1. 전통적이고 구조화된 최면유도 = 192
2. 최면 과정의 시작 = 194
3. 심화 기법 = 206
제11장 최면치료 기법 = 213
1. 증상 구조와 최면 현상 = 216
2. 최면개입의 유형 = 220
제12장 최면치료의 영역 = 237
1. 불안, 스트레스 = 240
2. 우울증 = 242
3. 통증과 질병 = 243
4. 대인관계의 문제 = 245
5. 자존감의 문제 = 246
6. 악물의 남용 = 248
7. 성기능 장애 = 249
제13장 자기최면 = 251
1. 자기최면과 정식최면 = 262
2. 자기최면 방법 = 263
3. 증상에 따른 자기최면 방법 = 268
제14장 최면에 대한 신화와 현실 = 275
1. 최면에 대한 질문 = 279
2. 무대 최면술 = 299
참고문헌 = 309
찾아보기 =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