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전시산업의 개요와 역사 = 13
제1절 전시산업의 개요 = 15
1. 전시산업의 정의 = 15
2. 전시산업의 유래 = 15
3. 전시산업의 종류 = 16
4. 전시산업의 시장성 = 17
5. 전시산업의 경제성과 파급효과 = 18
제2절 전시산업의 역사 = 22
1. 유럽 = 22
2. 일본 = 24
3. 한국 = 25
제3절 세계전시산업 = 27
1. 유럽의 전시산업 = 27
2. 미국의 전시산업 = 32
3. 아시아의 전시산업 = 35
4. 러시아의 전시산업 = 44
제2장 전시산업의 법률과 제도 = 47
제1절 추진배경 = 49
제2절 주요쟁점 = 51
1. 법률안 주요쟁점 = 51
2. 법률안을 둘러싼 주요쟁점 = 54
3. 법률 폐지에 따른 부작용 해소방안의 제시 = 56
제3절 관련법률 = 57
1. 법률의 정의 = 58
2. 법 시행령과 법 시행규칙 = 58
3. 전시산업 주요법률 = 60
제4절 전시회 인증제도 = 68
1. 전시회 인증의 개념 = 68
2. 전시회 인증제도의 개요 = 69
3. 인증제도 운영체계 및 인증절차 = 69
4. 전시회 인증요건 = 70
제5절 전시기획사 자격제도 = 71
1. CEM 프로그램 개요 = 71
2. 국내 CEM제도 = 72
제3장 전시산업의 인적 자원 = 75
제1절 전시산업 인력양성 = 77
1. 미국의 국제전시기획사제도 = 77
2. 국내의 전시기획사제도 = 78
3. 전시전문인력 인턴제 = 79
4. 특성화 실무교육 = 81
5. 전시ㆍ컨벤션 마케팅계획에 대한 계획전문가 양성 = 85
6. 포지셔닝에 대한 교육 = 86
7. 마케팅목표 설정교육 = 87
8. 실행계획서 작성 및 이행교육 = 87
9. 마케팅계획의 평가와 피드백 교육 = 87
10. 전시ㆍ컨벤션 마케팅관리자 교육 = 88
11. 전시ㆍ컨벤션 마케팅관리 교육 = 88
12. 전시ㆍ컨벤션 상품계획 교육 = 89
13. 국내 전시산업의 과제 = 90
제2절 전시기획자 = 94
1. 전시기획자의 개념 = 94
2. 전시기획자 실태 = 94
3. 전시기획자의 주요업무 = 95
4. 전시기획자의 진출영역 = 96
5. 전시기획자의 중요성 = 97
6. 전시기획자의 요건 = 101
7. 전시기획자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6가지 = 101
8. 전시기획자가 되는 방법 = 104
제4장 전시산업 마케팅 = 105
제1절 전시산업 마케팅의 전략 = 107
1. 전시회의 참가목적 = 108
2. 예산절감방법 = 110
3. 사전 마케팅전략 = 110
4. 바이어 유치활동전략 = 113
5. 바이어와의 상담전략 = 115
제2절 전시산업의 브랜드 = 117
1. 브랜드의 개념 = 117
2. 브랜드전략의 정의 = 118
3. 전시산업 브랜드전략의 정의 = 119
제3절 브랜드전략 도입사례 = 120
1. 전자산업전시회의 현황 = 120
2. 한국전자전의 브랜드전략 = 124
제5장 전시산업의 시설관리 = 129
제1절 시설관리의 개요 = 131
1. 부스의 설치 및 트렌드분석 = 131
2. 시설물 디자인 = 135
3. 이벤트행사 및 홍보물 = 137
제2절 전시장치업의 기초 = 140
제3절 전시장치업과 연계산업 = 141
1. 비품임대업 = 141
2. 바닥장식업 = 142
3. 인력공급업 = 142
4. 이벤트업 = 142
제6장 전시산업 클러스터 = 143
제1절 세계의 대표적 클러스터 = 145
1. 독일전시산업의 역사 및 현황 = 145
2. 하노버 = 152
3. 프랑크푸르트 = 153
4. 쾰른 = 154
5. 뒤셀도르프 = 155
6. 뮌헨 = 156
제2절 독일전시산업의 우수성 = 157
제3절 독일전시산업 클러스터 사례 = 157
제7장 전시산업의 디자인 = 161
제1절 전시산업 디자인의 개요 = 163
1. 전시 디자인의 요소 = 163
2. 전시 디자인의 기본요인 = 164
3. 전시 디자인을 위한 5W2H = 166
제2절 전시 디자인의 프로세스 = 168
1. 전시업무 수주 = 168
2. 일정표 작성 및 역할분담 = 169
3. 자료조사 = 169
4. 테마설정 = 169
5. 디자인 컨셉제시 = 170
6. 기본설계 = 171
7. 프리젠테이션 = 171
8. 클라이언트와 협의결정 = 172
9. 실시설계 = 172
10. 최종결정 = 172
11. 제작발주 = 172
12. 현장작업 = 173
13. 전시 = 174
14. 철거 및 완료보고 = 174
제3절 전시공간의 기능적 구성 = 175
1. 바닥 = 175
2. 벽 = 177
3. 천장 = 179
4. 연출공간 = 180
제8장 전시산업과 무역전시 = 183
제1절 해외시장 진입의 이론 = 185
1. 해외시장 진입의 이론 = 185
2. 해외시장 진입동기 = 188
3. 해외시장 진입계획 수립과 결정요인 = 191
제2절 무역전시의 개요 = 193
1. 무역전시의 정의와 특징 = 193
2. 무역전시의 계획수립과 참가결정요인 = 199
제9장 전시산업의 해외진출 = 207
제1절 서비스기업의 해외진출유형 = 209
1. 해외직접투자 = 209
2. 프랜차이즈 = 210
3. 경영 서비스계약 = 211
제2절 세계전시산업의 동향 = 213
제3절 외국기업의 국내 진출현황과 진출형태 = 215
1. 단독투자 = 215
2. 합작투자 = 216
3. 프랜차이즈 = 217
4. 경영 서비스계약 = 217
5. 업무제휴 = 218
제10장 전시산업의 사이버전시 = 221
제1절 사이버 전시산업의 개요 = 223
1. 사이버전시회의 개념 = 223
2. 사이버전시회와 관련한 유의사항 = 234
3. 사이버전시회 운영 및 관리 = 237
4. 사이버전시회 운영사례 = 239
제2절 온라인 전시산업 = 242
1. 정의 = 242
2. 요소 = 243
3. 특성 = 248
4. 과제 = 251
5. 사례분석 = 252
제11장 전시산업과 e-Business = 257
제1절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 259
1.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개요 = 259
2.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특징 = 262
3.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목적 = 265
제2절 전시회 e-CRM = 268
1. 참관객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270
2. 관련업체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276
3. e-Mail 마케팅, 모바일 마케팅, 홈페이지 광고 = 279
4. 사후관리 = 282
제12장 사례별 전시산업 실무 = 285
제1절 여수박람회 = 287
제2절 와인박람회 = 303
제3절 Seoul Living Design Fair = 308
1. 개요 = 308
2. Seoul Living Design Fair의 소개 = 309
3. Seoul Living Design Fair의 3가지 차별화전략 = 313
4. 전통과 디자인의 세계 브랜드화 = 318
제13장 장소별 전시산업 실무 = 319
제1절 COEX 사례 = 321
1. 코엑스의 가치 = 321
2. 코엑스 SWOT분석 = 324
3. 코엑스의 4P분석 = 325
4. 코엑스의 역할 = 326
제2절 킨텍스 사례 = 327
1. 개요 = 327
2. 킨텍스의 역사 = 329
3. 킨텍스의 규모 및 시설안내 = 330
4. 주요사업 = 332
5. 2008년 상반기 전시회 Collections = 334
6. 킨텍스의 미래 = 337
부록: 전시산업발전법 = 339
참고문헌 =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