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9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450546 | |
005 | 20100807122252 | |
007 | ta | |
008 | 070916s2008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25401294 ▼g 93370: ▼c \19,000 | |
035 | ▼a (KERIS)BIB000011239486 | |
040 | ▼a 211032 ▼d 244002 | |
082 | 0 4 | ▼a 375 ▼a 371.3 ▼2 22 |
090 | ▼a 375 ▼b 2008z4 | |
100 | 1 | ▼a 양미경 , ▼d 1962- ▼0 AUTH(211009)115586 |
245 | 1 0 | ▼a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 ▼x Curriculum and instruction / ▼d 양미경 지음. |
250 | ▼a 증보판 | |
260 |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8. | |
300 | ▼a 461 p. ; ▼c 24 cm. | |
504 | ▼a 권말에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 수록 | |
653 | ▼a 교육과정 ▼a 교수방법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8z4 | 등록번호 1114802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5 2008z4 | 등록번호 1512573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08z4 | 등록번호 1114802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5 2008z4 | 등록번호 1512573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양미경(지은이)
[약력]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Visiting Scholar)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isiting Professor) ∙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 건국대학교 교육학 교수 ∙ 현재 서강대학교 교육학 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questioning in education: limitations of its positivistic basis ∙ 학교의 기능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 ∙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 탐색 ∙ 질문의 교육적 의의와 연구과제 ∙ 「교육문제연구론」(공저) ∙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공저) ∙ 「교과서 정책 및 내용구성방식 국제비교연구」(공저)

목차
목차 제Ⅰ부 교육과정의 구성 제1장 학교의 기능과 교육 = 3 1. 학교의 다중적 기능 = 3 2. 학교 정책 결정의 난점 : 가치관의 개입과 갈등 = 9 제2장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 17 1. 교육과정 개발의 패러다임 = 19 2. 교육과정 이해의 패러다임 = 25 3. 교육과정 연구의 관점 선택 = 36 제3장 교육 본위 교육과정 연구의 논리 = 41 1.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과 그 한계 = 41 2. 교육 본위 교육과정 연구의 이론적 전제 = 46 3. 학교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실천적 시사 = 55 제4장 지식과 교육과정 = 67 1. 진리관 및 언어관의 변화 = 67 2. 교육과정 구성 논리의 재조명 = 72 제5장 정보 사회와 학교 교육과정 = 83 1. 정보 사회의 지적ㆍ문화적 특성 = 84 2.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필요성과 방향 = 95 제6장 교과 통합지도의 의의와 방법 = 107 1. 의의 및 인식론적 배경 = 108 2. 유형과 준거 = 112 3. 사례에 대한 비판적 분석 = 120 제7장 교과서의 성격과 구성 = 129 1. 학교의 기능과 교과서 = 129 2. 자기주도적 학습의 강조 = 134 3. 정보화 시대의 맥락과 교과서 = 139 4. 교과서 구성의 방향 = 143 제8장 교과내용 적정화: 방법 및 제약 요인 = 157 1. 교과서 내용 분석의 방법론적 동향 = 158 2. 교과서 집필 기준과 내용 구성의 실제 = 168 3. 내용 구성 방식의 전환을 어렵게 하는 구조적 요인 = 171 제Ⅱ부 교육적 상호작용 제9장 배움과 질문 = 183 1. 학습자의 질문의 교육적 의의 = 185 2. 질문 생성의 요건 = 190 3. 질문의 생성을 촉진하는 교육 방법 = 193 제10장 가르침과 질문 = 209 1. 교사의 질문의 특성 = 210 2. 선행 연구의 동향과 한계 = 212 3. 교사의 질문 목적 = 218 4. 질문의 활용과 학생 반응의 처리 = 222 제11장 교육적 대화의 특성 = 229 1. 유사 개념과의 차별화 = 231 2. 교육적 대화의 특성과 조건 = 241 3. 대화적 학교 문화의 조성 = 251 제12장 교육과 언어적 상호작용 = 255 1. 대면관계의 의의 = 257 2. 언어와 체험 = 261 제13장 체험학습의 조건 = 271 1. 언어주의 교육의 한계 = 273 2. 경험의 이론 의존성 = 276 3. Dewey의 경험 이론의 시사점 = 279 4. 상황적 학습 이론의 시사점 = 281 5. 체험 학습의 조건과 원리 = 287 제Ⅲ부 교육학적 재해석 제14장 수행평가의 의의와 한계 = 295 1. 수행평가 정책의 개요 = 296 2. 수행평가의 의미와 방법 = 299 3. 수행평가 시행상의 딜레마 = 300 4. 수행평가 정책의 향후 과제 = 307 제15장 학습자 오류와 평가 = 313 1. 지식의 성장과 인식의 오류 = 315 2. 오류의 상대성 = 318 제16장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 325 1.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연구의 동향 = 327 2. 교육적 재해석과 향후 연구과제의 탐색 = 340 제17장 교육과 시간 = 353 1. 객관적 시간과 체험적 시간 = 355 2. 시간 체험의 다양성 = 359 3. 교육적 기다림 = 364 4. 변화 가능성 = 370 5. 유한성 = 373 제18장 교육과 사이버 공간 = 379 1. 사이버 공간의 매체적 특성 = 381 2. 교육적 관계의 특성 = 386 3.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적 관계 형성 = 388 4. 사이버 공간의 교육적 기획 = 394 제19장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 = 397 1. 하이퍼텍스트의 특성 = 398 2.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의 이해 = 402 참고문헌 = 415 찾아보기 = 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