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학교 교육과정 개발론 : 학교 교육과정, 어떻게 이해하고 개발할 것인가

학교 교육과정 개발론 : 학교 교육과정, 어떻게 이해하고 개발할 것인가 (Loan 2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권낙원 權樂遠 민용성 閔龍成 , 공저 최미정 崔湄晶 , 공저
Title Statement
학교 교육과정 개발론 : 학교 교육과정, 어떻게 이해하고 개발할 것인가 =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 권낙원 , 민용성 , 최미정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   2008.  
Physical Medium
437 p. : 삽도 ; 24 cm.
ISBN
9788958916284
General Note
권말에 찾아보기 수록  
부록: 1. "제7차 교육과정" 총론, 2.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 3.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주요 사항 비교  
비통제주제어
학교 , 교육과정 ,,
000 00935camccc200265 k 4500
001 000045450022
005 20100807121348
007 ta
008 080227s2008 ulka 001c kor
020 ▼a 9788958916284 ▼g 93370: ▼c \18,000
035 ▼a (KERIS)BIB000011246883
040 ▼d 222001 ▼d 244002
056 ▼a 374 ▼2 4
082 0 4 ▼a 375 ▼2 22
090 ▼a 375 ▼b 2008z3
100 1 ▼a 권낙원 ▼g 權樂遠 ▼0 AUTH(211009)122971
245 1 0 ▼a 학교 교육과정 개발론 : ▼b 학교 교육과정, 어떻게 이해하고 개발할 것인가 = ▼x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 ▼d 권낙원 , ▼e 민용성 , ▼e 최미정 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8.
300 ▼a 437 p. : ▼b 삽도 ; ▼c 24 cm.
500 ▼a 권말에 찾아보기 수록
500 ▼a 부록: 1. "제7차 교육과정" 총론, 2.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 3.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주요 사항 비교
653 ▼a 학교 ▼a 교육과정
700 1 ▼a 민용성 ▼g 閔龍成 , ▼e 공저 ▼0 AUTH(211009)66872
700 1 ▼a 최미정 ▼g 崔湄晶 , ▼e 공저 ▼0 AUTH(211009)77917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08z3 Accession No. 11148022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06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5 2008z3 Accession No. 15125775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08z3 Accession No. 11148022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06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5 2008z3 Accession No. 15125775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단위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이 가능한 것인지, 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의 실제적 가능성에 대해 저술한 책. 크게 2부로 나뉘어 있으며, 1부에서는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과 관련된 이론적인 측면을, 2부에서는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의 실제 사례를 주로 다루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 어떻게 이해하고 개발할 것인가

6차 교육과정 이후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편성·운영의 자율권이 보다 강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향후 국가 교육과정을 토대로 단위학교의 실정과 여건을 고려한 특색 있는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 따라, 저자들은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단위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이 가능한 것인지, 즉 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의 실제적 가능성에 대한 많은 고심과 노력으로 이 작은 결실을 내놓게 되었다.

이 책의 제1부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이해’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이론 측면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제2부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부분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적 논의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제1부에서는 학교 교육과정의 개념,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 및 필요성,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위상과 개발 준거, 학교 교육과정 개발 모형, 학교 교육과정의 실행과 평가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또한 단위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과 관련된 몇 가지 쟁점을 논의하고 있다. 제2부에서는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을 근거로 단위학교에서는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행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서 보다 명료화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절차와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개발 과정,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절차를 다룬 뒤,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의 편성·운영 및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실제를 다루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권낙원(지은이)

공주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문학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심리) 졸업(교육학석사)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대학원(교육과정 및 수업) 졸업(Ph. D.) 한국교육개발원 책임연구원 중학교 특별활동교과용도서 심의위원(교육부) 한국교원대학교 제1대학 학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회장 (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학계열 교수

민용성(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학과 졸업(교육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과정) 졸업(교육학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과정) 졸업(교육학박사) 광주문화, 광주남초등학교 교사 건국대, 상지대, 한국교원대, 광주교대, 단국대대학원, 서강대교육대학원 강사 (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 교과용도서 심의위원(교육인적자원부)

최미정(지은이)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학과 졸업(교육학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졸업(교육학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과정) 졸업(교육학박사) (현) 안양호계초등학교 교사경인교대, 건국대, 한국교원대, 광주교대 강사초등학교 특별활동 교사용지도서 집필위원(교육인적자원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이해
 제1장 학교 교육과정의 개념적 이해 = 13
  1. 학교 교육과정의 개념 = 14
  2.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 = 16
  3. 학교 교육과정의 필요성 = 17
  4. 학교 교육과정의 특징 = 20
 제2장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 = 25
  1.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 및 필요성 = 25
   1)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 26
   2) 교육?어 적용의 실효성 = 28
   3) 교육과정 내용의 다양성과 적합성 = 29
  2.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역사적 관점 = 31
  3.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구성주의적 관점 = 33
  4. 우리나라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범위 = 37
 제3장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위상 = 41
  1. 거시적 교육과정과 미시적 교육과정 = 42
  2. 국가 수준, 지역 수준, 학교 수준 교육과정 = 43
 제4장 학교 교육과정 개발 준거 = 51
  1. Tyler의 개발 준거 = 52
  2. Hlebowitsh의 개발 준거 = 55
  3. Wiles와 Bondi의 개발 준거 = 56
  4. Print의 개발 준거 = 60
 제5장 학교 교육과정 개발 모형 = 63
  1.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대한 학자들의 제 분류 = 64
  2. 합리적 모형 = 65
   1) Tyler의 모형 = 65
   2) Taba의 모형 = 67
  3. 순환적 모형 = 69
   1) Wheeler의 모형 = 69
   2) Nicholls의 모형 = 70
  4. 역동적 상호작용 모형 = 71
   1) Walker의 모형 = 72
   2) Skilbeck의 모형 = 74
  5. Print의 모형 = 75
 제6장 학교 교육과정의 실행 = 79
  1. 학교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와 관련 변인 = 80
  2. 학교 교육과정 실행의 절차 = 84
   1) 수업목표의 상세화 = 84
   2)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 84
   3) 수업의 설계와 실천 = 85
   4) 학습 성과의 평가 = 85
  3. 학교 교육과정 실행으로서 수업 = 86
   1) 수업목표 = 86
   2) 수업 모형 = 93
   3) 효과적인 수업 원리 = 98
 제7장 학교 교육과정의 평가 = 103
  1.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이해 = 103
   1)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 = 103
   2)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범위와 영역 = 105
  2. 학교 교육과정 평가 모형 = 107
   1) Tyler 모형 = 107
   2) Stufflebeam 모형 = 110
   3) Stake 모형 = 116
   4) Eisner 모형 = 120
 제8장 학교 교육과정 관련 쟁점 = 125
  1. 잠재적 교육과정 = 127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 127
   2) 잠재적 교유고가정의 원천 = 129
   3)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과의 관계 = 130
  2. 재개념주의적 교육과정 = 134
   1) 재개념주의적 교육과정의 의미 및 접근 방식 = 134
   2) 재개념주의적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및 시사 = 139
  3. 다문화 사회 교육과정 구성 및 실천 = 141
   1)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및 의의 = 141
   2) 다문화 사회의 교육과정 구성 및 실천을 위한 향후 과제 = 144
제2부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제9장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 149
  1. 국가 교육과정 개발 절차 = 150
  2.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의 편성ㆍ운영 역할 = 159
   1) 시·도 교육청 = 159
   2) 지역 교육청 = 161
  3. 학교의 편성ㆍ운영 역할 = 163
 제10장 지역 수준 교육과정 개발 = 165
  1.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의 교육과정적 위상 = 166
  2. 시ㆍ도 교육청의 편성ㆍ운영 지침 개발 절차 = 170
   1) 교육과정위원회 구성·운영 = 171
   2) 기초 조사·연구 = 171
   3) 편성·운영 지침시안 작성 = 173
   4) 편성·운영 지침시안 검토 및 확정 = 177
   5) 편성·운영 지침의 적용 = 178
   6) 자료의 개발·보급과 지침의 평가 = 180
   7) 시·도 교육청 편성·운영 지침(예시) = 181
  3. 지역 교육청의 편성ㆍ운영 지침 개발 절차 = 185
   1) 실천 중심의 장학자료 제시 = 185
   2) 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 187
 제11장 학교 교육과정 개발 = 189
  1. 학교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 190
  2.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절차 = 192
   1) 학교 교육과정위원회 조직가 편성계획 수립 = 193
   2) 교육과정 기준과 지침의 내용 분석 = 196
   3) 각종 실태 조사·분석 = 197
   4) 학교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설정 = 199
   5) 학교 교육과정 시안의 작성 = 200
   6) 학교 교육과정 시안의 심의 및 확정 = 212
   7)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 = 214
   8) 학교 교육과정의 평가와 개선 = 214
 제12장 교과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실제 = 223
  1. 수준별 교육 = 224
   1) 수준별 교육과정 = 225
   2) 수준별 교육과정의 한계와 가능성 = 236
  2. 선택 중심 교육과정 = 238
   1) 선택 중심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 239
   2) 단위학교에서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실제 = 242
   3)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문제 및 쟁점, 개선 방안 = 249
 제13장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실제= 255
  1. 재량활동의 교육적 의의 및 편제상의 특징 = 256
   1) 재량활동의 의의 = 256
   2) 재량활동의 편제상의 특징 = 258
  2. 재량활동의 편성과 운영의 실제 = 261
  3. 재량활동의 쟁점 및 문제, 개선 방안 = 282
 제14장 특별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실제 = 287
  1. 특별활동의 교육적 의의 및 편제상의 특징 = 288
   1) 특별활도으이 의의 = 288
   2) 특별화?ㅇ의 편제상의 특징 = 289
  2. 특별활동의 편성과 운영의 실제 = 292
  3. 특별활동의 쟁점 및 문제, 개선 방안 = 330
   1) 쟁점 및 문제 = 330
   2) 개선 방안 = 333
 제15장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실제 = 335
  1.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개요 = 337
  2.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사례 = 339
  3.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개선 방향 = 361
부록 1. = 365
부록 2. = 397
부록 3. = 429
찾아보기 = 43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