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지역마케팅과 삶의 질 : 지역마케팅사례와 삶의 질 계량적 측정모델링

지역마케팅과 삶의 질 : 지역마케팅사례와 삶의 질 계량적 측정모델링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최천규
Title Statement
지역마케팅과 삶의 질 : 지역마케팅사례와 삶의 질 계량적 측정모델링 / 최천규.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탑21북스 ,   2008.  
Physical Medium
261 p. : 삽도 ; 26 cm.
ISBN
9788956612300
General Note
부록: "삶의 질" 조사 설문지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661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49544
005 20100807120402
007 ta
008 080429s2008 ulka b 000c kor
020 ▼a 9788956612300 ▼g 93320
035 ▼a (KERIS)BIB000011298209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352.140688 ▼2 22
090 ▼a 352.140688 ▼b 2008
100 1 ▼a 최천규
245 1 0 ▼a 지역마케팅과 삶의 질 : ▼b 지역마케팅사례와 삶의 질 계량적 측정모델링 / ▼d 최천규.
260 ▼a 서울 : ▼b 탑21북스 , ▼c 2008.
300 ▼a 261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 "삶의 질" 조사 설문지
504 ▼a 참고문헌 수록.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140688 2008 Accession No. 1114768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Call Number 352.140688 2008 Accession No. 1114768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2.140688 2008 Accession No. 15125972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140688 2008 Accession No. 1114768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Call Number 352.140688 2008 Accession No. 1114768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2.140688 2008 Accession No. 15125972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최천규(지은이)

1990년에 경영컨설팅을 시작한 후 경영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전략 등 많은 컨설팅을 수행해왔으며, 경영학 박사로 현장경험을 통해 빅데이터 경영통계, 마케팅리서치, 소비자행동 등을 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다. 또한 한국능률협회에서 빅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한 경영기획 및 전략, 신제품개발, 경쟁 포지셔닝 전략수립과정을 개설하여 현장에서의 실무적 접근법을 전파하고 있다. 대학교와 산업체교육훈련, 경영컨설팅, 빅데이터분석 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NCT 기반 경영 빅데이터 분석』, 『마케팅 조사 SPSS를 활용편』, 『진격의 빅데이터』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01부 지역마케팅과 농촌 어메니티
 01 지역마케팅 개념 및 전략수립 절차 = 17
  1.1 지역마케팅 도입 필요성 = 17
  1.2 지역마케팅 개념 및 전략수립절차 = 18
   1.2.1 지역여건분석 및 전략적 방향 설정 = 19
   1.2.2 시장세분화와 포지셔닝 = 20
   1.2.3 지역마케팅믹스전략 = 25
 02 농촌어메니티를 활용한 지역마케팅 성공사례 연구 = 41
  2.1 어메니티의 개념 = 41
  2.2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유형 및 특징 = 42
  2.3 농촌어메니티의 국내외 트렌드분석 = 44
   2.3.1 해외 트렌드 = 45
   2.3.2 국내트렌드 = 46
  2.4 농촌어메니티 성공사례 = 49
   2.4.1 일본 郡馬縣 新治村(にぃけるむら)성공사례 = 49
   2.4.2 나비와 꽃으로 가꾼 농촌어메니티 : 함평 = 52
   2.4.3 『어메니티 서천만들기』 : 서천 = 69
제02부 삶의 질에 관한 이론적 고찰
 01 문제의 인식 = 85
 02 삶의 질 개념의 대두 배경 = 87
  2.1 삶의 질에 관한 인식의 변화 = 87
  2.2 삶의 질 개념의 태동 = 88
  2.3 삶의 질 개념의 정의 = 90
   2.3.1 사전적 의미 = 90
   2.3.2 개념적 정의 = 91
 03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접근방법 및 연구동향 = 91
  3.1 접근방법에 관한 논의 = 91
   3.1.1 거시적 접근법 = 92
   3.1.2 미시적 접근법 = 93
  3.2 측정지표에 관한 논의 = 96
   3.2.1 개념적 틀 = 96
   3.2.2 측정지표의 유형들 = 97
 04 최근 연구동향 및 국내외 사례 = 104
  4.1 최근 연구동향 = 104
  4.2 해외 사례 = 105
   4.2.1 지속 가능한 시애틀(Sustainable Seattle) = 105
   4.2.2 잭슨빌 지역평의회(Jacksonville Community Council Incorporated) = 107
   4.2.3 뉴멕시코의 알버커크市 = 108
   4.2.4 피어스 카운티의 삶의 질 벤치마크 프로젝트 = 109
   4.2.5 텍사스 오스틴지역 = 110
   4.2.6 여성의 도시 :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 시 = 111
   4.2.7 주민이 만든 도시 : 인본의 도쿄 세타가야구 = 112
   4.2.8 재생도시 : 독일의 보쿰시 = 114
   4.2.9 자전거의 도시 : 네덜란드 델프트시 = 115
   4.2.10 외국사례의 시사점 = 116
  4.3 국내사례 = 117
   4.3.1 송파구 지역사회지표 = 117
   4.3.2 관악구 구정 주요지표개발 = 118
   4.3.3 경상북도의 사회지표 = 118
   4.3.4 경기도 삶의 질 지표 = 119
제03부 계량적 측정모델 개발 및 실증연구
 01 계량적 측정모형 개발을 위한 개념 정의 = 125
 02 측정모형의 개발 = 126
  2.1 연구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 = 126
   2.1.1 대상지역의 선정 = 126
   2.1.2 측정대상개념의 성격 규정 = 126
   2.1.3 측정지표영역의 구성 = 127
   2.1.4 측정지표간 역할 정의 = 132
  2.2 실증분석 = 132
   2.2.1 조사대상자의 수 = 132
   2.2.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 133
 03 삶의 질 지수 산출을 위한 수리적 모형 = 149
 04 삶의 질 지수 = 152
  4.1 관심영역별 중요도 산출 = 152
   4.1.1 10개 관심영역의 상대적 중요도 = 152
   4.1.2 건강관련영역 세부 측정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 153
   4.1.3 교육 및 학습관련영역 세부 측정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 154
   4.1.4 거주환경 관련영역 세부지표 중요도 = 154
   4.1.5 공공안전 및 개인안전영역 세부 측정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 155
   4.1.6 고용과 근로생활영역 세부 측정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 156
   4.1.7 재정상태(소득과 소비)관련영역 세부 측정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 157
   4.1.8 문화ㆍ오락 및 여가생활영역 세부 측정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 157
   4.1.9 사회복지 관련영역 세부 측정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 158
   4.1.10 대중교통 및 환경관련영역 세부 측정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 159
   4.1.11 공공기관과의 관계영역 세부 측정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 159
  4.2 Y구민의 삶의 질 수준 = 160
   4.2.1 종합 삶의 질 지수와 체감지수 = 160
   4.2.2 관심영역별 삶의 질과 생활권역간 차이 = 171
  4.3 관심영역별 삶의 질 지수와 세부항목 체감도 = 179
   4.3.1 건강관련 영역 = 179
   4.3.2 교육/학습관련 영역 = 188
   4.3.3 거주영역 관련 = 195
   4.3.4 공공안전 및 개인안전 영역 = 200
   4.3.5 고용 및 근로생활 영역 = 205
   4.3.6 재정상태(소득 및 소비생활) = 209
   4.3.7 문화ㆍ오락 및 여가생활 = 211
   4.3.8 사회복지 영역 = 215
   4.3.9 대중교통 및 환경영역 = 221
   4.3.10 공공기관과의 관계영역 = 227
 05 결어 = 231
참고문헌 = 232
부록 : "삶의 질" 조사 설문지 = 23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