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영화사 : 한 권으로 읽는 영화 100년 (Loan 9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종화, 1974-.
Title Statement
한국영화사 : 한 권으로 읽는 영화 100년 / 정종화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영상자료원,   2008  
Physical Medium
271 p. : 천연색삽화 ; 19 cm
Series Statement
Filmstory 총서 ;01
ISBN
9788993056006 9788995366493(세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62)과 색인수록
000 00801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448591
005 20101216204316
007 ta
008 080418s2008 ulka b 001c kor
020 ▼a 9788993056006 ▼g 04680
020 1 ▼a 9788995366493(세트)
035 ▼a (KERIS)BIB000011289817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82 0 4 ▼a 791.43 ▼a 791.4309519 ▼2 22
085 ▼a 791.43 ▼2 DDCK
090 ▼a 791.43 ▼b 2007a2 ▼c 1
100 1 ▼a 정종화, ▼d 1974-. ▼0 AUTH(211009)15854
245 1 0 ▼a 한국영화사 : ▼b 한 권으로 읽는 영화 100년 / ▼d 정종화 지음
260 ▼a 서울 : ▼b 한국영상자료원, ▼c 2008
300 ▼a 271 p. : ▼b 천연색삽화 ; ▼c 19 cm
440 0 0 ▼a Filmstory 총서 ; ▼v 01
504 ▼a 참고문헌(p. 262)과 색인수록
945 ▼a KINS
949 ▼a 필름스토리 총서 ; ▼v 01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 2007a2 1 Accession No. 11147735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Call Number 791.43 2007a2 1 Accession No. 192051945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91.43 2007a2 1 Accession No. 12117221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91.43 2007a2 1 Accession No. 12117221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 2007a2 1 Accession No. 11147735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Call Number 791.43 2007a2 1 Accession No. 192051945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91.43 2007a2 1 Accession No. 12117221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91.43 2007a2 1 Accession No. 12117221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영화사 100년을 정리한 책. 처음 한국 땅에 영화 매체가 들어온 1897년 즈음부터 2000년대인 지금까지 100년이 넘는 시간을 담았다. 발성영화의 성공 같은 기술적 변화는 물론 6.25전쟁과 같은 정치사회적 변화와 영화법 제정 같은 정책적 변화까지 반영한 시대적 변화를 담았다.

본문과 박스 지면을 유기적으로 활용해 작은 책에 가능한 많은 내용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문에서는 영화정책과 산업, 당대의 주요 장르 및 경향, 언급할 만한 감독과 미학 등을 각각 챕터로 구분해서 두루 살폈다.

책은 어떤 부분을 펼쳐도 이해되기 쉽게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었다. 좋아하는 여배우에 대한 호기심으로 넘기거나 본격적인 영화사 공부를 시작하기 전의 입문서로 읽어도 될 만큼 쉽게 만들어졌다. 풍부한 도록과 사진, 그리고 포스터 등이 함께 어우러져 한국 영화에 대한 자료로도 가치가 있다.

대중 독자들이 쉽고 간편하게 한국영화사와 만난다

원로영화인, 원로영화사가들의 저작에 이어 한국영화사 책이 한 권 더 더해진다. 바로 Film Story총서의 첫번째 권인 <한국영화사-한 권으로 읽는 영화 100년>이다. 이 책의 특징은 대중 독자들이 간편하게 한국영화사와 만날 수 있도록, 포켓북 한 권 분량 안에 한국영화사 전체를 개괄한 것이다. 작은 책 한 권에 영화사 100년이 담겼다 해서 결코 내용이 부족한 것은 아니다. 가능한 한 많은 내용을 책에 담을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박스 지면을 활용했고, 서술의 깊이와 밀도도 놓치지 않았다. 또 대학생이나 일반인들이 가벼운 마음으로 이 책을 접할 수 있도록 사진, 포스터 등 풍부한 이미지 자료도 감각적으로 배치했다. 저자는 소장 한국영화사 연구자인 정종화이다.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한국영화사 100년을 문자와 이미지로 세련되게 정리하는 것을 작업의 방향으로 삼았다."

작지만 충실하다, 한 권으로 읽는 한국영화사 100년

이 책은 처음 한국 땅에 영화 매체가 들어온 1807년 즈음부터 2000년대인 지금까지 100년이 넘는 방대한 시간을 열 개의 장으로 구분했다. 1960년대까지는 그간 한국영화사 서술에서의 시기 구분을 반영해 6장으로 구성했는데, 발성영화의 성공 같은 기술적 변화, 6.25전쟁 같은 정치사회적 변화, 영화법 제정 같은 정책적 변화 등을 시기의 변곡점으로 삼았다. 1970년대부터는 10년 단위로 구분해 2000년대까지 4장으로 구성했다.
각 장은 본문과 박스 지면을 유기적으로 활용했다. 본문에서는 영화정책, 산업 같은 환경으 ㅣ변화, 당대의 주요 장르 및 특별한 장르 경향, 언급할 만한 감독군과 미학 그리고 영화 기술 영화문화의 변화 등을 각각 챕터로 구분해 두루 살펴보았다. 이처럼 한국영화사의 전체적인 지도를 그려보는 동시에, 꼭 알아야 할 정보들은 박스 지면을 통해 챙길 수 있도록 했다. 당대의 주요 작품, 영화인 등 강조할 만한 내용들은 다양한 박스로 구분해 독자들의 접근성을 높였다. 저자는 이 책으로 편하고 쉽게 한국영화사를 읽고 이해해, 부디 많은 사람들이 우리 영화사를 잘 알았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포켓북 한 권으로 떠나는 한국영화사 여행
이 책은, 한 젊은 영화사 연구자가 '한국영화사 100년'을 문자와 이미지로 정리한 작은 역사 책이다. 처음부터 시대별로 쭉 읽어보면 좋겠지만,슬쩍슬쩍 넘겨보며'한국 최초의 영화감독','1960년대 트로이카 여배우'같은 정보로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것도 좋을 것이고,눈에 들어오는 영화 장면이나 배우의 사진이 있으면 잠깐 멈추고 주변의 글을 읽어보는 방법도 괜찮을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부디 많은 사람들이 편하고 쉽게 우리 영화사를 잘 알았으면 좋겠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정종화(지은이)

한국영화사 연구자이자 한국영상자료원 학예연구팀장.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조선 무성영화 스타일의 역사적 연구》(2012)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원 겸임교수로 한국영화사를 강의한다. 주요 저서로 《韓&#22269;映&#30011;100年史&#8212;その誕生からグロ&#12540;バル展開まで》(2017), 《한국근대영화사: 1892년에서 1945년까지》(공저, 2019), 《조선영화라는 근대: 식민지와 제국의 영화교섭史》(2020)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11
1장 활동사진의 도래 그리고 한국영화의 탄생(1897~1923) = 14
 1. 활동사진의 시대 = 16
  버튼 홈스의 한국 방문
 2. 활동사진의 흥행 공간, 극장 = 21
  조선영화 흥행의 개척자, 박승필
 3. 연쇄극의 등장, 〈의리적 구토〉 = 24
  연쇄극 시대의 대표 스타, 김도산
  신파극의 역사
 4. 극영화의 탄생, 〈월하의 맹서〉 = 28
  한국 최초의 영화감독, 윤백남
  여배우의 탄생
2장 무성영화의 르네상스(1924~1934) = 32
 1. 〈춘향전〉대〈장화홍련전〉 = 34
  무성영화의 꽃, 변사
 2. 나운규의 〈아리랑〉 = 39
  무성영화 르네상스의 최고 스타, 나운규
  무성영화기 대표작 1 〈아리랑〉
 3. 무성영화 시대의 감독 = 46
  향토적 리얼리즘의 전통, 이규환
  1930년대 흥행감독, 안종화
  나운규의 뒤를 이은 활극배우, 이원용
  무성영화기 대표작 2 〈임자없는 나룻배〉
  무성영화기 대표작 3 〈청춘의 십자로〉
 4. 카프(KAPF) 영화운동 = 52
  카프 영화운동을 주도한, 김유영
  무성영화 스크린을 수놓은 여배우들
3장 발성영화의 시대 그리고 국책영화(1935~1941) = 58
 1. 발성영화의 등장 = 61
  한국 영화기술의 개척자, 이필우ㆍ이명우 형제
 2. '조영', '고영'의 스튜디오 시대 = 65
 조선영화 기업가를 꿈꾼, 이창용
  일제강점기 극영화 발굴작
 3. 2세대 영화인의 등장 = 74
  발성영화 시대의 대표적인 배우, 김일해
 4. 국책영화의 제작 = 79
  토키영화와 함께 부상한 여배우들
4장 해방 그리고 6ㆍ25전쟁(1945~1953) = 84
 1. 해방공간의 영화계 = 86
 2. 해방기의 한국영화 = 88
  친일영화와 광복영화를 오간, 최인규
  신파 문법을 벗어난 세련된 연출, 윤용규
  해방기의 대표작 1 〈자유만세〉
  해방기의 대표작 2 〈검사와 여선생〉
  해방기의 대표작 3 〈마음의 고향〉
  해방기의 대표작 4 〈청춘행로〉
  해방기의 대표 배우, 황남ㆍ황정순
 3. 6ㆍ25전쟁 시기 영화 활동 = 99
  피난 도시에서 움튼 영화문화
 4. 전쟁 중의 영화제작 = 102
  6ㆍ25전쟁 시기 대표작-〈정의의 진격〉, 〈태양의 거리〉
5장 한국영화의 성장과 중흥(1954~1961) = 106
 1. 한국영화 성장기, 그 다채로운 풍경 = 108
  표) 〈춘향전〉 작품연보
  상업영화의 귀재, 한형모
  1950년대 멜로드라마의 정점, 홍성기
  1950년대 대표 배우, 이민과 조미령
 2. 1950년대 후반 영화 스튜디오의 건립 = 115
  1950년대 대표작 - 〈피아골〉, 〈자유부인〉, 〈시집가는 날〉, 〈비 오는 날의 오후 세시〉
 3. 중흥기의 형성 과정 = 120
  한국 영화 '판'을 부르는 이름, "충무로"
 4. 중흥기의 장르 경향 = 124
  한국영화사의 가장 독창적인 감독, 김기영
  충무로 시스템 속의 작가, 유현목
  한국영화산업의 최전선, '신필름'의 제작자 겸 감독 신상옥
6장 한국영화의 르네상스(1962~1969) = 132
 1. 영화법 제정과 기업화 정책 = 134
  표) 영화법 및 영화진흥법 변천 과정
  문예영화라는 제도/미학
 2. 다양한 장르의 만개 = 140
  1960년대 한국영화 르네상스의 간판스타
  청춘영화, 청춘문화
 3. 시네마스코프의 시대 = 147
  시네마스코프 영화란?
  한ㆍ홍 합작영화 발굴기
 4. 감독계보 그리기-한국영화의 세대교체 = 152
  표) 최인규 감독 계보도
  1960년대 르네상스의 간판감독
   뛰어난 장르영화 그리고 미학적 실험, 이만희
   다작의 장인, 김수용
   베를린영화제 첫 수상, 강대진
   액션영화의 개척자, 정창화
  1960년대 트로이카 여배우
7장 통제와 불황의 악순환, 1970년대 한국영화(l970~1979) = 160
 1. 저질영화 양산체계 = 162
 2. 1970년대 대표 장르들 = 166
  1960년대 감독들의 길찾기
 3. 청년영화/문화 그리고 '영상시대' = 176
  대중소설의 영화화
  1970년대 대표작-〈별들의 고향〉, 〈바보들의 행진〉, 〈영자의 전성시대〉
  1970년대 대표 감독
   1970~1980년대를 관통한 작가감독 혹은 스타감독, 이장호
   1970년대 뉴웨이브의 기수, 하길종
   1970년대 한국영화의 활력, 김호선
 4. 테크니스코프 영화 = 182
  테크니스코프 영화란?
  1970년대 트로이카 여배우
8장 암흑 속의 모색, 1980년대 한국영화(1980~1989) = 188
 1. 제작 자유화 그리고 할리우드 직배 저지 투쟁 = 190
 2. 1980년대 대표 장르 = 193
  1980년대 대중영화의 최전선 그리고 미학적 모색, 배창호
  다양한 장르를 넘나든 장인의 성취, 이두용
  '공윤'과 검열 파문
 3. 영화 문화의 변화 = 197
  비스타비전 영화란?
 4. 영화운동과 독립영화 = 201
  시네필 문화의 생성
 5. 1980년대 한국영화의 세대교체-코리안 뉴웨이브 = 204
  1980년대 대표작-〈바람 불어 좋은 날〉,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깊고 푸른 밤〉, 〈개그맨〉, 〈칠수와 만수〉
9장 다시 르네상스, 1900년대 한국영화(1990~1999) = 210
 1. 대기업의 영화산업 진출 = 212
  "한국영화계 파워 1위", 강우석
  스크린쿼터 사수 연대기
 2. '기획영화'의 등장 = 217
  1990년대 대표작 1 〈결혼이야기〉
 3. 1990년대 장르 공식, 로맨틱코미디와 코믹 액션 = 220
 4. 1990년대 작가주의 = 224
  1990년대 대표작 2 〈서편제〉
  1990년대 대표작 3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한국영화의 거장, 임권택
 5. 영화청년의 시대 = 228
  '표현의 자유'를 찾기 위한 지난한 역사
  단편영화가 꾸는 꿈
 6. 한국형 블록버스터 = 232
  블록버스터 영화란?
  신인감독의 힘
10장 2000년대의 한국영화(2000~) = 236
 1. 체질 개선에 들어간 영화산업 = 238
  표) 1996년 이후 한국영화산업 주요 지표 변화
  한류 열풍과 해외수출
 2. '웰 메이드' 영화 = 244
  표) 2000년대 연도별 흥행 1위 작품
  시네마스코프가 대세
  표) 한국 극영화 화면비 통계(1960~2007)
 3. 장르영화의 가능성 = 252
  관객운동과 팬덤 문화
 4. 디지털 시네마 = 258
  한국 고전영화의 재탄생
참고문헌 = 262
색인 = 26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책마을해리 (2022)
Page, Elliot (2023)
Page, Elliot (2023)
James, Chiabella (2023)
노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