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연구 개발 과제의 개요(Outlin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 9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Purposes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 9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Need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 9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Scop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 10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y Status) = 11
제3장 연구 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Details and Results of the Program) = 16
제1절 전기화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고감도 진단용 나노 단백질 칩 및 정보저장 기능의 바이오 전자소자 개발(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torable bio-memory devices and high performing nano-bio-diagnostic chip) = 16
제2절 평판디스플레이 제어 기술을 이용한 바이오 프로세서 칩 설계 및 구현(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bioprocess chip using controlling technology of flat display) = 40
제3절 단백질-탄소나노튜브 하이브리드 나노 전자소자 개발(The development of nano-hybrid electronic devices using protein and carbon nanotube conjugate) = 53
제4절 치환기법에 의한 단백질 생산 및 바이오 전자칩용 전자소자 후보단백질 탐색 및 발굴(Ascertain the protein responsible for nanoprotein chip and the production using muta-genesis technology) = 70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Figures of Merit and Contributions in this Field) = 81
제5장 연구 개발 결과의 활용계획(Application Plan of Research Results) = 84
제6장 연구 개발 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 기술 정보(Report about Foreign Science and Technology Acquired during the Program) = 85
제7장 참고문헌(References) = 90
단백질로 구성된 바이오전자소자 기반 및 구성기술 개발(Platform&Fabrication Technology of Bioelectronic Device Composed of Protein)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Outlin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 7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Purposes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 7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Need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 7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Scop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 7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y Status) = 9
제3장 연구 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Details and Results of the Program) = 11
제1절 산화환원특성 생체물질 생산 및 최적 고정화 조건 확립(The design&production of Recombinant redox protein and optimization of immobilizing condition) = 11
제2절 생체 물질의 자기 조립이 가능한 나노 패턴 제작(The development of nanopattern for self-assembled bio-molecule) = 20
제3절 전기적 측정 기반의 고감도 진단용 나노 단백질 칩의 구성(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ing nano-bio-diagnostic chips based on electrical detection) = 31
제4절 산화환원 생체 물질을 이용한 정보저장 기능의 전자소자 구현(Development of electronic device using redox biomolecule for information storage) = 39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Figures of Merit and Contributions in this Field) = 54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Application Plan of Research Results) = 58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Report about Foreign Science and Technology Acquired during the Program) = 59
제7장 참고문헌(References) = 62
단백질-탄소나노튜브 하이브리드 나노전자소자 개발(Development of protein-carbon nanotube hybrid nanoelectronic device)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Introduction) = 7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Background of Current Research Topics) = 9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Results and Discussion) = 10
1절 고성능 나노전자 기반소자 개발(Development of device platform for nanoelectronics) = 10
1. 균일 촉매 나노입자 제조(Synthesis of homogeneous catalyst nanoparticles) = 10
2. 고순도 탄소나노튜브 제조(Preparation of highly pure carbon nanotubes) = 11
3. Single, ensemble 탄소나노튜브 FET 소자 제작(Fabrication of single, ensemble carbon nanotube FET devices) = 12
2절 단백질-탄소나노튜브 cross junction 다이오드 개발(Development of protein-carbon nanotube cross junction diode devices) = 17
1.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에서 Schottky contact영역의 극대화(Increase of the Schottky contact area in carbon nanotube FET devices) = 17
2. 생체분자의 효율적 결합을 위한 소자 표면 처리 기술 개발(Surface passivation method for biocompatible surface) = 20
3. 단백질-탄소나노튜브 cross junction 다이오드 소자 개발(Protein-carbon nanotube cross junction diode devices) = 21
3절 단백질 구조변화 인지 나노 전자소자 개발(Nanolectronic devices for the detection of protein structural changes) = 24
1. 금속-나노튜브 junction 소자 개발(Metal-carbon nanotube junction devices) = 24
2. 고체 지지체 표면의 개질을 통한 단백질 박막형성 기술 개발(Formation of protein thin film via surface functionalization) = 24
3. 단백질 박막 FET 소자 제작(Portein thin film FET devices) = 26
4. bPBP의 단백질 구조변화 인지 나노 전자소자 구현(Electrical detection of structural change of bPBP) = 29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 34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 계획(Application Plan of Research Results) = 39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 정보(Related Technology Information) = 40
제7장 참고문헌(References) = 41
바이오전자소자용 단백질 설계 및 생산기술 개발(Development of protein production system and protein design for bio-electrical device)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Significance and Aims of Study) = 9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Background) = 10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Results and Discussion) = 14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Contributions) = 50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Possible Applications) = 54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Study) = 55
제7장 참고문헌(Reference) =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