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理論
제1장 갈등 이론 = 1
제1절 갈등에 관한 이론적 기초 = 3
1. 갈등의 개념 = 3
2. 갈등의 이론모형 = 5
3. 갈등의 효과와 평가기준 = 14
4. 갈등관리와 행정가의 역할 = 19
제2절 비선호시설 입지와 정부 - 주민간 갈등 = 31
1. 정부-주민간 갈등의 개념 = 31
2. 비선호시설 입지에 대한 주민반대 = 32
3. 비선호시설 입지갈등에 관한 연구동향 = 39
4. 비선호시설 입지전략 = 51
5. 주민반대에 대한 정부의 대응 = 63
제2부 事例分析
제2장 분석모형의 설정 = 81
제1절 분석의 기본모형 = 81
1. 분석의 범위 = 81
2. 갈등과정 = 82
3. 분석모형 = 85
제2절 분석의 초점 = 88
1. 갈등상황 - 의사전달 = 88
2. 이슈 = 90
3. 갈등관리(대응) = 92
4. 제3자 개입 = 95
5. 갈등의 정도 = 96
6. 갈등의 효과 = 97
제3장 사례의 분석 = 101
제1절 소각정책의 추진과정과 서울시의 소각장 현황 = 101
1. 폐기물관리정책의 변화과정 = 101
2. 소각장의 설치 및 운영현황 = 103
3. 서울시의 폐기물관리 및 소각장 운영 현황 = 105
제2절 사례 1 - 노원 쓰레기소각장 설치분쟁 = 107
1. 사례의 개관 = 107
2. 갈등과정 = 111
3. 갈등의 영향요인 = 128
4. 갈등의 정도와 효과 = 149
5. 분석의 요약 = 153
제3절 사례 2 - 목동 쓰레기소각장 증설분쟁 = 157
1. 사례의 개관 = 157
2. 갈등과정 = 160
3. 갈등의 영향요인 = 170
4. 갈등의 정도와 효과 = 186
5. 분석의 요약 = 187
제4절 사례 3 - 강남 쓰레기소각장 설치분쟁 = 192
1. 사례의 개관 = 192
2. 갈등과정 = 195
3. 갈등의 영향요인 = 205
4. 갈등의 정도와 효과 = 220
5. 분석의 요약 = 222
제4장 사례의 비교분석 및 평가 = 227
제1절 사례의 비교분석 = 227
1. 갈등상황 - 의사전달 = 227
2. 이슈 = 228
3. 갈등관리(대응) = 231
4. 제3자 개입 = 233
5. 갈등의 정도와 효과 = 234
제2절 비선호시설 입지과정의 평가와 함의 = 240
1. 입지갈등의 변화 = 240
2. 입지과정의 평가 = 246
3. 정책적 함의 = 253
제3부 補論
제5장 광명시와 구로구 간의 환경기초시설 빅딜 사례 = 261
제1절 사례의 내용 = 261
1. 정책 목표 = 261
2. 추진경과 = 262
3. 정책의 참여자 = 273
제2절 빅딜의 성과 = 276
1. 환경기초시설 빅딜 현황 = 276
2. 빅딜의 성과와 문제점 = 276
3. 빅딜이후의 상황 = 280
참고문헌 =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