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중 유서문화 개관

한·중 유서문화 개관 (Loan 2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최환
Title Statement
한·중 유서문화 개관 / 최환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경산 :   영남대학교출판부 ,   2008.  
Physical Medium
425 p. : 삽도 ; 24 cm.
Series Statement
嶺南大中國硏究센터 中國硏究叢書 ; 9
ISBN
9788975813399
General Note
부록 및 색인수록  
000 00667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446097
005 20100806111753
007 ta
008 080422s2008 gbka SG 001c kor
020 ▼a 9788975813399 ▼g 93010
035 ▼a (KERIS)BIB000011270223
040 ▼a 247017 ▼d 211009
082 0 4 ▼a 089.957 ▼a 089.95 ▼2 22
085 ▼a 089.97 ▼a 089.95 ▼2 DDCK
090 ▼a 089.97 ▼b 2008
100 1 ▼a 최환 ▼0 AUTH(211009)85282
245 1 0 ▼a 한·중 유서문화 개관 / ▼d 최환 지음.
260 ▼a 경산 : ▼b 영남대학교출판부 , ▼c 2008.
300 ▼a 425 p. : ▼b 삽도 ; ▼c 24 cm.
440 0 0 ▼a 嶺南大中國硏究센터 中國硏究叢書 ; ▼v 9
500 ▼a 부록 및 색인수록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89.97 2008 Accession No. 1114751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89.97 2008 Accession No. 11147518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089.97 2008 Accession No. 1512604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89.97 2008 Accession No. 1114751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89.97 2008 Accession No. 11147518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089.97 2008 Accession No. 1512604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조선시대 중국 유서의 전입 및 유행 상황, 조선시대에 간행 혹은 필사되어 사용된 한국 유서의 상황, 편찬자·체제·유형 및 용도 방면에서의 한국 유서의 특색 등을 파악해 한국의 유서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저술했다. 유서는 현대의 백과사전과 비슷한 성격의 책이다.

유서는 바로 옛날 사람들이 공부의 수월성 내지 편리성을 위해 사용했던 공구서의 일종으로 실려 있는 내용의 광범위성에 비추어 보면 완전히 같다고는 할 수 없지만 현대의 백과사전과 비슷한 성격의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조선시대 중국 유서의 전입 및 유행 상황, 조선시대에 간행 혹은 필사되어 사용된 한국 유서의 상황, 편찬자·체제·유형 및 용도 방면에서의 한국 유서의 특색 등을 파악함으로써 한국의 유서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특히 한국에서의 중국 유서의 수용과 간행 상황 및 활용 등에 대해서는 매우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 중국의 유서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유서는 옛 사람들이 공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펴낸 현대의 백과사전과 비슷한 성격의 책
옛사람들도 지금의 우리처럼 책을 가지고 공부를 했을 것이고, 또한 그런 공부를 조금이나마 편리하게 하기 위해 공구서工具書를 사용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옛사람들은 어떤 공구서를 가지고 또 어떻게 그 공구서를 활용하였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유서는 바로 옛날 사람들이 공부의 수월성 내지 편리성을 위해 사용했던 공구서의 일종一種으로, 실려 있는 내용의 광범위성에 비추어 보면 완전히 같다고는 할 수 없지만 현대의 백과사전과 비슷한 성격의 책이다.

우리 조상들은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중국 유서를 이용하기도 하였지만, 직접 유서를 편찬하여 그것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유서類書는 내용을 사항별로 분류하여 편찬한 책으로, 일찍이 중국에서 기원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 전해 졌으며, 동양 고유의 독특한 서적 편찬형식을 지니고 있다. 이는 동양의 경經·사史·자子·집集의 전 영역 또는 일정 영역에 걸친 많은 서적으로부터 시문詩文·인물人物·전고典故·천문天文·지리地理·전장典章·제도制度·비금飛禽·조수走獸·초목草木·충어蟲魚 및 기타 많은 사물 등과 관련된 문장을 뽑아 유별類別·운별韻別·자별字別 등으로 분류하여 편찬함으로써 검색에 편리하도록 한 일종의 공구서이다. 중국에서는 일찍이 위魏 문제文帝 조비曹丕가 학자들을 소집하여 당시 서적으로는 완전히 새로운 형식인 《황람皇覽》을 편찬하게 하였는데, 이 책이 곧 중국의 첫 번째 유서라 할 수 있다. 그 후, 중국은 당唐·송宋·명明 그리고 청대淸代를 거치면서 수많은 유서를 편찬하게 된다. 한국 유서는 비록 중국 유서에 비해 역사도 짧고 그 수에 있어서도 비교가 되지 않지만, 중국 유서의 영향을 받으면서 그것을 모방하기도 하였으며, 아울러 그 나름대로 독특한 유서문화類書文化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우리 조상들은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중국 유서를 이용하기도 하였지만, 직접 유서를 편찬하여 그것을 이용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한국 유서의 특색 등을 파악함으로써 한국의 유서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한 첫 시도
이 책은 조선시대 중국 유서의 전입 및 유행 상황, 조선시대에 간행 혹은 필사되어 사용된 한국 유서의 상황, 편찬자·체제·유형 및 용도 방면에서의 한국 유서의 특색 등을 파악함으로써 한국의 유서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또한 한국 유서가 중국 유서의 영향을 받은 이상, 한국의 유서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 유서문화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꼼꼼하게 살펴보고 있다. 수많은 유서들 가운데, 비교적 대표성을 지니거나 특수한 성격을 지닌 중국 및 한국 유서 그리고 중국 유서로부터 비교적 많은 영향을 받은 한국 유서 등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에서의 중국 유서의 수용과 간행 상황 및 활용 등에 대해서는 매우 구체적으로 탐구
이 책은 한국에서의 중국 유서의 수용과 간행 상황 및 활용 등에 대해서는 매우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 중국의 유서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한국과 중국에서 한중유서문화에 관해 종합적으로 접근하여 연구를 진행한 책은 처음이라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또한 중국의 주요 유서 소개는 앞으로 중국 유서의 정확한 활용과 이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기에 한국에서의 동양학 연구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과 중국에 있는 각 도서관 내의 고서정리 작업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최환(지은이)

경북 영천에서 태어나,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國立臺灣大學) 중문연구소(中文硏究所)에서 석사 학위를,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중문연구소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중국영화의 이해와 감상』, 『한·중 유서문화(類書文化) 개관(槪觀)』, 『중국어 신조어와 현대 중국사회』 등이 있고, 공저로 『중국소설사의 이해』, 『신라수이전(新羅殊異傳) 집교(輯校)와 역주(譯註)』, 『신라수이전 고론(考論)』, 『현대중국의 이해』 등이 있다. 역서로 『현대중국어 표현어법(表現語法)』 등이 있으며, 『대만 주요 도서관 소장 유서 목록』을 편역했고, 공역서로 『중국고전소설총목제요(中國古典小說總目提要)』 제1·2·3·4·5권, 『중국 고대소설의 유파』, 『한어어법 분석의 이론과 실천』, 『현대 중국어학 기초』, 『한자의 구조와 그 문화적 함의』 등이 있다. 그 외에도 한·중 유서(類書), 중국 소설, 중국어 어휘, 중국 영화 등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현재는 주로 한·중 유서를 중심으로 문헌학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한국 유서(類書)의 종합적 연구(Ⅰ) - 중국 유서의 전입 및 유행 -
 서론 = 14
 유서의 속성 = 16
 중국 유서 개황 = 18
 한국의 중국 유서 수용 = 35
 결론 = 58
한국 유서의 종합적 연구(Ⅱ) - 한국 유서의 간행 및 특색 -
 서론 = 59
 한국 유서의 간행 = 59
 한국 유서의 특색 = 75
 결론 = 103
중ㆍ한 초학자 학습용 유서
 서론 = 112
 중국의 초학자 학습용 유서 = 114
 한국의 초학자 학습용 유서 = 128
 결론 = 138
중국 유서 《백미고사(白眉故事)》의 한국 유행 연구
 서론 = 141
 《백미고사》에 대하여 = 142
 한국에서의 《백미고사》 유행 및 활용 = 152
 결론 = 160
명대(明代) 유서와 소설
 서론 = 165
 명대 유서 개황 = 167
 명대 유서와 소설 = 173
 등지모(鄧志謨)와 명대 유서 = 190
 결론 = 194
주요 중국 유서 소개
 《황람(皇覽)》 = 199
 《수광서원(壽光書苑)》 = 201
 《유원(類苑)》 = 203
 《화림편략(華林遍略)》 = 204
 《수문전어람(修文殿御覽)》 = 207
 《조옥집(?玉集)》 = 213
 《장주옥경(長洲玉鏡)》 = 214
 《편주(編珠)》 = 215
 《북당서초(北堂書?)》 = 217
 《예문유취(藝文類聚)》 = 221
 《문사박요(文思博要)》 = 225
 《초학기(初學記)》 = 228
 《당송백공육첩(唐宋白孔六帖)》 = 232
 《태평어람(太平御覽)》 = 236
 《책부원귀(冊府元龜)》 = 240
 《사류부(事類賦)》 = 244
 《사물기원(事物紀原)》 = 247
 《해록쇄사(海錄碎事)》 = 250
 《황조유원(皇朝類苑)》 = 251
 《고금사문유취(古今事文類聚)》 = 253
 《산당고색(山堂考索)》 = 257
 《전방비조(全芳備祖)》 = 259
 《옥해(玉海)》 = 266
 《금수만화곡(錦繡萬花谷)》 = 268
 《고금성씨서변증(古今姓氏書辨證)》 = 270
 《군서유편고사(群書類編故事)》 = 272
 《군서통요(群書通要)》 = 274
 《영락대전(永樂大典)》 = 276
 《유림(喩林)》 = 279
 《천중기(天中記)》 = 281
 《당유함(唐類函)》 = 283
 《유준(類雋)》 = 285
 《연감유함(淵鑒類函)》 = 287
 《변자유편(騈字類編)》 = 291
 《패문운부(佩文韻府)》 = 294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 297
 《소지록(小知錄)》 = 302
 《격치경원(格致鏡原)》 = 306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귀중본 유서 해제
 《고금원류지론(古今源流至論)》 = 311
 《신편고금사문유취(新編古今事文類聚)》 = 314
 《운부군옥(韻府?玉)》 = 319
 《고사촬요(攷事撮要)》 = 324
 《거가필용사류전집(居家必用事類全集)》 = 328
 《사류부(事類賦)》 = 331
 《만물유취(萬物類聚)》 = 335
 《신각만용불구인편람전서(新刻萬用不求人便覽全書)》 = 339
[부록] 유서 자료의 검색과 이용
 서론 = 342
 종합성 유서와 전문성 유서 = 343
 유서의 검색 = 359
 결론 = 362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의 구조와 체제 = 364
찾아보기 =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