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초등 문학교육 담론의 기반과 비판 모델
1장 좋은 문학 수업의 기준과 요건
1. 문제제기 : 문학 수업 탐구의 부재(不在) = 17
2. 초등학교 문학 수업의 저해 요인 = 21
3. 문화적 맥락에서의 현행 문학 수업 비판 = 27
4. 좋은 문학 수업의 기준과 실천 교실 = 33
5. 결론 및 향후 과제 = 40
2장 문학 비평 수업의 변화와 쇄신
1. 머리말 : 비평 교육의 현실과 고충 = 42
2. 비평 교수-학습의 문학 교육적 효용 = 45
3. 문화비평과 문학 수업의 유형학 = 50
4. 맺음말 : 비평적 글쓰기의 확산을 위하여 = 60
3장 문학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문학 교육과정 검토의 전제와 당위 = 63
2. 문학 교육과정의 변천과 문학 영역의 위상 = 65
3. 개정 문학 영역의 변화, 그 의의와 한계 = 68
4. 문학 교육의 미래를 위한 보완과 대안 = 83
4장 아동문학 비평과 아동문학 교육
1. 문제제기 및 관련 연구 검토 = 86
2. 아동문학 비평의 문학 교육적 접점 모색 = 91
3. 문학 교육적 관계 정립을 위한 전제 탐구 = 95
4. 요약, 결론 및 제언 = 108
5장 아동과 아동문학에 대한 역사적 질문
1. 머리말 : 어린이의 본성에 대한 질문 = 110
2. 최남선과 어린이 문학의 기원을 둘러싼 의문 = 114
3. 방정환과 동심 천사주의의 재인식 = 119
4. '일하는 아이들' 이후 어린이 문화의 과제 = 124
2부 초등 서사교육의 계몽 기획과 문화적 실천
1장 전래동화 감상을 위한 아동 중심의 소통 구조
1. 연구사 검토 및 연구의 필요성 = 131
2. 전래동화에서 아동 중심의 의미 = 134
3. 아동 중심의 내적 소통구조 탐색 = 139
4. 맺음말 = 147
2장 판타지 동화 교육의 원리와 방법
1. 연구사 검토 및 연구의 필요성 = 149
2. 판타지 동화와 아동문학 교육 = 152
3. 판타지 동화 읽기의 방법과 실제 = 158
4. 결론 및 남은 문제들 = 170
3장 현실주의 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천
1. 서론 = 172
2. 현실주의 동화와 가난 체험 = 173
3. 현실주의 동화 읽기의 방법과 실제 = 178
4. 맺음말 = 189
4장 문학 창작 교육의 확장과 심화
1. 머리말 = 191
2. 설화 제재의 구조와 문학 교육적 의미 = 193
3. '뒷이야기 이어쓰기' 방법론의 의의와 한계 = 198
4. '뒷이야기 이어쓰기'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종합적 검토 = 202
5. 맺음말 = 209
5장 분단 극복과 통일 지향의 동화 교육
1. 머리말 = 211
2. 동심의 눈으로 역사적 인식 전환하기 = 213
3. 분단 상처의 치유와 통일에의 열망 = 217
4. 아이들과 맞잡는 통일 정신 = 221
5. 맺음말 = 225
3부 초등 서정교육의 다성적 확장과 메타적 성찰
1장 국어 교과서 시 제재의 이상과 현실
1. 국어 교과서 속의 시 제재, 그 이상과 현실 = 229
2. 비판적 검토를 위한 전제와 당위 = 232
3. 교과서 시 제재의 비판적 검토 = 236
4. 요약, 제언 및 앞으로의 과제 = 260
2장 현실주의 동시 교육과 비판적 시각의 확보
1. 머리말 = 262
2. 현실주의 동시와 초등학교 문학교육 = 264
3. 문학 교수-학습 과정의 계획과 구안 = 270
4. 자유 반응 쓰기의 실천과 문학 수업의 실제 = 277
5. 맺음말 = 281
3장 신비평과 시 교육의 연관에 대한 재검토
1. 서론 = 283
2. 문학 교육에 미친 신비평의 공과 = 285
3. 신비평과 초등 시교육의 연관에 대한 비판 = 288
4. 결론 = 297
4장 소통 중심의 전래동요 교육과 현재적 전승
1. 문제제기 : 전래동요 교육의 현황과 실상 = 299
2. 전래동요의 문학 교육적 함의(含意) = 302
3. 창작과 소통을 통한 교육 방법의 구안 = 307
4. 전래동요 교육의 실천과 지향 = 313
5. 맺음말 : 전래동요, 그 전승과 창조 = 318
참고문헌 =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