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장
이 시대를 의미있게 살기 위하여 = 17
어떤 일에도 의미는 있다 = 17
역경은 배움의 기회 = 20
인생의 어두운 입장에 서다 = 22
모든 사건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 23
나를 넘어선 연결속에서 산다 = 27
비합리성을 인정하는 지혜 = 32
그노티 세아우톤(Gnoti Seauton)의 교훈 = 38
삶의 의미를 찾는다
어떤 경우라도 인생에는 의미가 있다 = 51
이 세상의 어딘가에 나를 필요로 하는 ‘무엇’이 있으며 ‘누군가’가 있다 = 51
답은 이미 주어져 있다 = 55
생명력에 눈을 뜬다 = 58
구하면 구할수록 채워지지 않는다 : 행복의 패러독스 = 60
일하는 데서 찾는 ‘사는 보람’ - 창조가치 = 65
체험을 통한 ‘삶의 보람’- 체험가치 = 68
‘운명’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의 삶의 보람 - 태도가치 = 71
인간 생사의 의미는 우주의 자기진화의 흐름 속에 있다 = 81
‘우주 속의 자기’라고 하는 감각 = 81
우주에 작용하는 자기 진화의 힘 = 84
우주에 인간이 태어난 의미 = 91
인간은 살아있다는 것만으로도 위대하다 = 94
만물의 근원적 평등성 = 98
장대한 진화의 구조도 = 103
자기의 취약점과 마주 대한다
약점을 토로하고 도움을 청하는 것도 살아가는 ‘능력’의 하나이다 = 115
로저스의 카운슬링은 왜 탄생하였는가? = 115
로저스의 중년기 위기체험의 교훈 = 119
죽음에 성급한 사람들 = 125
우울 상태를 체크해 보자 = 128
필요할 때 도움을 청하는 것도 소중한 ‘능력’의 하나다 = 133
내담자의 입장에서 이해한다 = 138
약한 나, 무능한 나, 어떤 나도 소중한 나 = 143
젠들린의 성장 배경 = 143
포커싱(초점부여)이란 무엇인가? = 146
진정한 ‘긍정적 생활방식’이란 = 148
마음 속에 있는 어떤 감정도 받아들인다 = 151
좋지 않은 감정을 인정해준다 = 155
난처한 감정이 ‘인생의 지혜’로 바뀔 때 = 159
젠들린이 말하는 ‘감정의 법칙’ = 162
마음에는 일생 동안 성장하지 않는 면도 있다 = 164
인생의 어두운 소리를 듣는다
번뇌와 문제는 인생의 중요한 메시지 = 173
‘번뇌의 씨앗’이나 문제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 173
‘문제’와 ‘번뇌의 씨앗’은 깨달음과 학습의 기회 = 177
‘문제’와 ‘번뇌’의 감정으로 돌아가 본다 = 180
과정지향적 심리학의 접근 = 184
인생의 흐름=과정을 자각한다 = 189
심리학과 양자역학 및 동양의 지혜 = 191
인간관계의 불화는 ‘또 한 사람인 자기’의 과제 = 197
인간관계의 불화만큼 고통스러운 것은 없다 = 197
상대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면 화는 사라진다 = 199
문제가 되는 사람도 우리 자신의 일부 = 202
‘싫은 사람’이 무언가를 가르쳐준다 = 206
부부와 연인 사이의 관계를 개선하는 지혜 = 209
무의식중에 하는 동작과 자세를 깨닫는다 = 213
서로간의 감촉을 통한 명상 = 216
‘질병의 심정’, ‘증상의 호소’에 귀를 기울인다 = 223
질병·증상의 호소에 귀를 기울인다 = 223
‘인후염’의 메시지 = 225
드림 보다-꿈과 신체증상의 공시성 = 226
어느 말기 위암 환자의 사례 = 229
증상을 만드는 쪽이 되어보는 실습 = 232
만족할 때까지 붙들고 늘어져라 = 235
끊을래야 끊을 수 없는 병의 메시지 = 239
죽음을 직시한다
혼수상태는 인생을 완수하는 최후의 기회 = 249
혼수/식물상태에 있는 사람에 대한 심리학적인 원조 = 249
바하마로 여행을 떠난 남자 = 252
혼수상태에 있어도 생사의 선택은 본인에게 맡기고 있다 = 257
살기를 바라는 샘의 경우 = 259
혼수/식물상태의 사소한 움직임에도 의미가 있다 = 261
죽어가는 사람은 마음의 지주를 찾고 있다 = 264
아버지의 죽음 = 266
이 세상에서 과업을 끝냈으면 몸을 벗어 던진다 = 271
나비가 된 어린이들 = 271
죽음이 선고된 후의 4단계 = 274
퀴블러 로스 자신의 체외이탈체험 = 280
사후의 세계=영혼실재설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283
영혼세계의 리얼리티 = 289
생명은 돌아가는 수레바퀴와 같다 = 291
엘리사베스 퀴블러 로스의 성장배경 = 295
종장
‘보이지 않는 차원’에 이르는 두 가지 접근 = 303
두 가지의 다른 접근 = 303
인과론적 접근 ① 재탄생의 심리학 = 305
인과론적 접근 ② 윤회전생의 심리학 = 308
‘보이지 않는 차원’에 이르는 목적론적 현상학적 접근 =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