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Ⅰ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 1
01 신경계(Nervous System)에 대한 일반적 지식 = 3
Ⅰ. 신경계(Nervous System)의 기능 = 3
Ⅱ. 신경계(Nervous System)의 분류 = 3
Ⅲ. 신경(Nerve)의 생리 = 4
Ⅳ. 신경(Nerve)의 구조 = 8
02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에 대한 기초적 지식 = 21
Ⅰ.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의 정의 = 21
Ⅱ.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의 유래 = 22
Ⅲ. 뇌파기기의 변환 = 24
Ⅳ. 뇌파검사의 임상적의의 및 대상질환 = 25
03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의 검사 = 28
Ⅰ. 전극(Electrode)의 종류 = 28
Ⅱ. 뇌파(EEG)검사시 필요한 비품 = 33
Ⅲ. 전극 배치법(10-20System) = 34
Ⅳ. 뇌파의 유도방법(Derivation of EEG) = 47
Ⅴ. 뇌파검사의 실제 = 59
04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의 기본요소 = 73
Ⅰ.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의 구성요소 = 73
Ⅱ. 정상뇌파(Normal EEG) = 76
Ⅲ. 뇌파의 출현양식 = 77
Ⅳ. 비정상적인 뇌파(EEG) 파형(wave form) = 78
Ⅴ. 뇌파(EEG)의 위상(phase)과 극성(polarity) = 79
05 연령에 따른 뇌파의 변화 = 84
Ⅰ. 신생아기(1개월 미만) = 84
Ⅱ. 영아기(1개월~1세) = 85
Ⅲ. 유아기(1세~5세) = 85
Ⅳ. 학동전기(6세~9세) = 86
Ⅴ. 학동후기~사춘기(10세~15세) = 86
Ⅵ. 성인 = 86
Ⅶ. 노년기 = 87
06 잡파(Artifact) = 88
Ⅰ. 인체 내에서 유래되는 잡파(artifact) = 89
Ⅱ. 전극(electrode)에서 유래한 잡파(artifact) = 93
Ⅲ. 뇌파계에서 유래한 잡파(artifact) = 96
Ⅳ. 외부요인에 의한 잡파(artifact) = 96
07 비정상뇌파(Abnormal EEG) = 100
Ⅰ. 간질(Epilepsy) = 100
Ⅱ. 간질의 유병률 및 발생빈도 = 102
Ⅲ. 간질(Epilepsy)의 이해 = 102
Ⅳ. 용어의 정의 = 103
Ⅴ. 간질의 원인(etiology of epilepsy) = 106
Ⅵ. 간질의 진단(etiology of epilepsy) = 108
Ⅶ. 간질 발작의 분류 = 110
Ⅷ. 간질(Epilepsy)을 가진 환자에서 간질(Epilepsy)을 유발시키는 인자 = 138
Ⅸ. 간질(Epilepsy) 발작 시 대처방안 = 139
Ⅹ. 간질(Epilepsy)의 치료(Treatment) = 140
08 혼수(coma)와 식물인간 그리고 뇌사(brain death) = 157
Ⅰ. 혼수(무의식 상태)의 정의 = 157
Ⅱ. 식물인간 상태 = 158
Ⅲ. 뇌사(brain death) = 158
Part Ⅱ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 = 163
01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 = 165
Ⅰ. 수면(sleep) = 165
Ⅱ.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의 일반적 개념 = 168
Ⅲ. 수면다원검사(PSG)의 방법 = 169
Ⅳ. 수면다원검사의 임상적의의 = 178
02 수면다원검사(PSG)의 판독 = 199
Ⅰ. 수면다원검사(PSG)의 판독 = 199
Ⅱ. 수면다원검사(PSG) 보고서 = 225
Ⅲ. 수면단계 분포양상에 영향을 주는 요소 = 227
Part Ⅲ 근전도 검사(Electromyography, EMG) = 229
총론 = 231
01 근전도검사 총론 = 233
Ⅰ. 근전도검사(Electromyography, EMG)의 기본적 지식 = 233
Ⅱ. 근전도검사(Electromyography, EMG)의 종류 = 234
Ⅲ. 근전도 검사(Electromyography, EMG)가 필요한 경우 = 236
Ⅳ. 근전도 검사(EMG) 시 사용되는 전극의 종류 및 액세서리 = 236
Ⅴ. 근전도(EMG) 장비 및 자극기(Stimulator) 종류 = 238
각론 = 239
02 근전도검사 각론 = 241
Ⅰ. 근전도 검사(Electromyography, EMG)의 해부, 생리학적 기초 = 241
Ⅱ. 신경전도검사(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 248
Ⅲ. 일반 신경전도 검사(Routine 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 258
Ⅳ. 후기반응검사(late responses NCV, 근위부 신경전도 검사) = 271
Ⅴ. 순목반사(Blink Reflex, 안륜근 반사) = 274
Ⅵ. 반복신경자극검사(repetitive nerve stimulation test, RNS, Jolly test) = 278
Ⅶ. 자율신경기능검사(Cardiovascular autonomic neuropathy test) = 285
Part Ⅳ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EP) = 289
총론 = 291
01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총론 = 293
Ⅰ.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EP)의 배경 = 293
Ⅱ. 유발전위(EP)의 이해 = 294
Ⅲ. 유발전위(EP) 검사의 일반적인 원칙 = 295
Ⅳ. 유발전위(EP) 검사의 종류 = 297
Ⅴ. 유발전위(EP) 검사의 임상적 의의 = 297
각론 = 299
02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각론 = 301
Ⅰ. 뇌간청각 유발전위(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s, BAEPs) = 301
Ⅱ. 시각유발전위(Visual Evoked Potentials, VEPs) = 308
Ⅲ. 체성감각유발전위(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SEPs) = 315
Part Ⅴ 뇌혈류(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 323
01 뇌혈류 = 325
Ⅰ. 해부학적 구조(structure of anatomy) = 325
Ⅱ. 뇌혈관 질환(Cerebrovascular Disorders) = 331
Ⅲ. 혈류역학(Hemodynamics) = 334
Ⅳ. 혈관검사의 종류 = 336
02 뇌혈류검사(Transcranial Doppler, TCD) = 338
Ⅰ. 뇌혈류검사(Transcranial Doppler, TCD) = 338
찾아보기 =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