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막 = 1
1. 고대의 심장관 = 3
2. 1,500년간 세계를 지배하였던 갈렌의 심장론 = 15
3. 다빈치와 베살리우스 그리고 르네상스 = 21
4. 화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세르베투스와 폐순환의 이론 = 29
5. 하비와 혈액순환의 이론 = 33
제2장 심장병 진단법의 개발 = 39
1. 아우엔부르게르와 코르비자르, 그리고 흉부 타진법 = 41
2. 라에넥과 청진기 = 47
3. 혈압 측정법의 개발 = 55
4. 흉부 X-선 촬영법의 개발 = 63
5. 심전도와 부정맥 = 67
1) 생체 조직내 전기의 존재를 처음 증명한 갈바니 = 67
2) 아인트호벤과 심전도 = 73
3) 심장내 전도조직의 발견 = 77
4) 심블록과 아담스-스톡스 증후군 = 80
5) 맥켄지와 부정맥 = 84
6. 포르스만과 심도자법 = 93
7. 손스와 관상동맥 조영술 = 98
제3장 심장병 치료약제의 발견 = 101
1. 위더링과 디지탈리스 = 103
2. 협심증과 유기질산염 = 109
3. 와파린의 발견 = 117
제4장 초창기의 심장수술 = 121
1. 독일의 외과의사 렌과 세계 최초의 심장수술 = 123
2. 협착성 심막염의 수술 = 126
3. 트렌델렌버그와 폐동맥색전증의 수술법 = 130
제5장 본격적인 심장수술의 시작을 가능하게 해준 발견들 = 141
1. 카렐과 혈관외과의 정립, 그리고 심장수술에의 공헌 = 143
1) 위대한 실험외과 의사이자 논란의 우생학자이였던 카렐 = 143
2) 비행사 린드버그와 의학자 카벨의 협동연구 = 146
2. 흉부마취법의 개발 = 151
1) 기관내 튜브와 기관내 삽관법 = 151
2) 흉막강을 안전하게 여는 방법의 개발 = 158
3. 수혈법의 정립 = 173
4. 심정지와 심폐소생술의 확립 = 185
1) 인공호흡법 = 186
2) 심장마사지법 = 190
3) 심실세동과 세동제거법 = 202
4) 에피네프린의 개발 = 211
제6장 선천성 심장질환의 발견 = 213
1. 개방성 동맥관과 개방성 난원공 = 215
2. 심방중격 결손증 = 218
3. 심실중격 결손증과 프랑스의 내과의사 로제 = 220
4. 아이젠멘거 증후군 = 223
5. 팔로 4징증 = 228
6. 대동맥 교약증(대동맥 축착증) = 230
제7장 선천성 심장질환에 대한 심장 주위 수술의 시작 = 231
1. 그로스와 개방성 동맥관의 수술 = 233
2. 크라푸드와 대동맥 축착증의 수술 = 238
3. 블락록-타우식 단락수술 = 243
1) 여자 소아과의사 타우식과 청색증 심장기형 어린이 = 243
2) 외과의사 블락록과 블락록-타우식 단락수술 = 246
3) 테크니션 토마스와 블락록의 만남 = 251
제8장 심장판막질환 및 판막수술법의 개발 = 257
1. 류마티스 심장염 = 259
2. 승모판막 협착증의 수술 = 267
1) 브룬톤과 승모판막 협착증의 수술 제안 = 267
2) 1920년대의 승모판막 협착증 수술 = 270
3) 베일리와 승모판막 수술의 새 시대 = 275
3.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의 수술 = 282
4.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수술 = 294
5.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의 수술 = 303
6. 인공 심장판막의 개발 = 312
제9장 관상동맥질환과 수술법의 발달 = 323
1. 관상동맥질환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 325
1) 협심증(angina pectoris) = 326
2) 심근경색증 = 333
2. 초기의 관상동맥질환 수술 (1) = 338
1) 심장의 신경 지배를 차단하는 방법 = 339
2) 심장의 대사 요구를 낮추는 방법 = 341
3. 초기의 관상동맥질환수술(2) = 345
1) 심외막 자극술과 조직 이식술 = 346
2) 관상정맥동을 이용한 수술법 = 352
3) 내유동맥을 이용한 수술법 = 356
4. 관상동맥 우회수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의 정립 = 364
제10장 현대적 심장수술로의 항해 = 373
1. 헤파린의 발견 = 375
1) 윌리암 호웰과 제이 맥린 두 사제의 만남 = 375
2) 캐나다 토론토 연구팀과 헤파린 = 385
2. 초기의 심방중격 결손증 수술법 = 391
3. 저체온법 = 399
4. 인공 심폐기 개발의 실험적 토대 = 414
5. 기본과 인공 심폐기 = 420
1) 1931년 보스턴의 밤 = 420
2) 실용적 인공 심폐기의 개발과 임상 적용 = 422
6. 인공 심폐기 개발에 공헌한 다른 학자들 = 431
7. 릴리아이와 교차순환법 = 440
8. 미네소타 대학팀의 또 다른 공헌들 = 453
제11장 심장 이식수술 및 인공심장 이식수술 = 459
1. 심장 이식수술 = 461
1) 실험적 배경 = 461
2) 임상에의 적용 = 478
2. 인공심장 이식수술 = 491
1) 세계 최초의 인공심장 이식수술(total artificial heart implantation) = 492
2) 인공심장의 이름 붙이기 = 496
주요참고문헌 = 501
찾아보기 =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