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중국의 광고산업 (1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호영 이제영
서명 / 저자사항
중국의 광고산업 / 이호영, 이제영.
발행사항
서울 :   시간의물레 ,   2008.  
형태사항
296 p. : 삽도, 도표 ; 24 cm.
ISBN
9788991425538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31-234
000 00654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444018
005 20100806104301
007 ta
008 080328s2008 ulkad b 000c kor
020 ▼a 9788991425538 ▼g 93320
035 ▼a (KERIS)BIB000011245446
040 ▼a 241050 ▼c 241050 ▼d 211009
082 0 4 ▼a 659.10951 ▼a 338.4765910951 ▼2 22
090 ▼a 659.10951 ▼b 2008
100 1 ▼a 이호영
245 1 0 ▼a 중국의 광고산업 / ▼d 이호영, ▼e 이제영.
260 ▼a 서울 : ▼b 시간의물레 , ▼c 2008.
300 ▼a 296 p. : ▼b 삽도, 도표 ; ▼c 24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p. 231-234
700 1 ▼a 이제영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0951 2008 등록번호 1114732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0951 2008 등록번호 1114732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9.10951 2008 등록번호 1512569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0951 2008 등록번호 1114732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0951 2008 등록번호 1114732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9.10951 2008 등록번호 1512569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중국의 광고산업에 대한 실태를 그리고 이전 연구의 문헌연구를 통해 중국의 광고산업을 정의하고, 중국 광고산업의 규모 및 현황과 역할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중국 광고산업의 현재 경쟁력 및 문제점 그리고 중국의 광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요인 및 제도적 문제점 분석 등을 짚었다.

중국 광고산업 진출에 관한 국내외 전문가가 심층분석을 통해 중국 광고산업의 가치 규명을 실시해 중국 광고산업 진출을 위한 방향 제시에 기여한다. 중국의 광고산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활성화를 위한 대안과 제도적 개선 방향 등을 제시하고, 중국 광고의 판매 방법과 요금제도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여 종합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최근 21세기로 들어서면서 국경 없는 지구촌의 형성이 가속화되고 미국과 일본, 유럽을 축으로 하는 글로벌 마켓이 등장하게 되었고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글로벌 마켓의 유통구조는 더욱 급속히 범세계적으로 확대되었다. 글로벌 마켓은 중국의 광고산업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다국적 광고회사와 다국적 기업의 광고를 일반화시켰고, 외국계 광고회사의 광고시장의 점유율은 최근 높은 신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미 중국은 광고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걸쳐 세계의 유명 다국적 기업의 대부분이 진출하여 각축을 벌이는 격전장이 된 지 오래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의 상당수 국가의 기업들은 다양한 업종에서 영업활동의 안테나를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광고산업에 대한 실태와 이전 연구에 대해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중국의 광고산업을 정의하고, 중국 광고산업의 규모 및 현황과 역할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중국 광고산업의 현재 경쟁력 및 문제점 그리고 중국의 광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요인 및 제도적 문제점 분석 등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내용은 국내에서 아직까지 실시된 적이 없는 중국 광고산업 진출에 관한 실증적인 국내외 전문가 심층분석을 통해 중국 광고산업의 가치 규명을 실시함으로써 실질적인 중국 광고산업 진출을 위한 방향 제시에 기여하는데 의의를 기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의 광고산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활성화를 위한 대안과 제도적 개선 방향 등을 제시하고, 중국 광고의 판매 방법과 요금제도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여 종합적인 활성화 방안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광고산업의 실태를 중국 현지조사와 국내 전문가 의견분석, 그리고 관련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그 방향을 조명함으로써 현재까지의 중국의 광고시장 진출의 활성화 방안과 중국내 외국 기업들의 진출방향을 살펴보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향후 중국의 광고산업을 이해하고 국내 기업들의 중국 광고시장 진출의 밑거름을 제시하는 데 적잖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중국의 광고산업에 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하여 다각적인 전략과 관련 활성화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중국 광고산업의 진출을 위한 국내 관련업계의 효과적인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중국 광고산업과 한국 광고시장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력을 조명함으로써 한국 광고산업을 조망하고 또한 국내광고회사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제반 정책을 마련하는데 일조되었으면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호영(지은이)

현재 경기대학교 다중매체영상학부 교수로, 동 대학의 경영전문대학원 엔터테인먼트경영전공 주임교수를 맡고 있으며,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 학회부회장으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했다. 일본 조치(上智)대학에서 언론학 석.박사를 받았다. 저서 및 논문으로 <현대정치커뮤니케이션>(2007, 공역), <스포츠매니지먼트>(2007, 공역), <일본의 미디어문화>(2008), <올림픽 중계방송 분석연구>(2008), <콘텐츠마케팅>(2009), '디지털시대 지상파방송 비즈니스 전략'(2007), '정치마케팅에 관한 주관성 유형화 연구'(2008), '베이징올림픽 중계방송 편성에 관한 분석'(2009) 등이 있다.

이제영(지은이)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및 광고홍보학과 교수 서울 배재고등학교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석·박사 2022년 現) 한국광고학회 이사 한국광고홍보학회 이사 한국광고PR실학회 감사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편집위원 한국콘텐츠학회 편집위원 및 이사 前) 강원언론학회 회장 한국광고PR실학회 부회장 ▣ 저서 및 논문 『방송규제정책론』, 『중국의 광고산업』, 『매스미디어와 미신』, 『신문산업진흥론』, 『미디어와 주관성』,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유형화와 광고홍보학』, 『커뮤니케이션의 비언어화 패러다임 변화』 등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서 = 8
 1. 중국 광고산업의 변화 = 9
 2. 본서의 목적 및 의의 = 17
제2장 중국의 광고산업과 시장흐름 = 25
 1. 중국 광고산업 시장 현황 = 28
 2. 중국 광고회사 현황 = 31
 3. 중국 광고시장 규모 및 현황 = 33
제3장 중국의 광고제작과 유통산업 = 47
 1. 중국 광고 제작사의 현황 = 48
 2. 중국 광고 제작의 특성 = 54
 3. 중국 광고의 유통 및 판매 = 57
제4장 중국의 광고 법규제와 심의 = 65
 1. 광고 규제 체제 = 66
 2. 광고 관련 법 규정 = 73
 3. 광고심의 과정 = 82
 4. 최근 중국 광고규제의 변화 = 89
제5장 중국의 광고시장과 수용자 = 93
 1. 광고시장의 증대와 광고회사의 발전 = 94
 2. 광고시장 및 수용자 연구 = 99
 3. 전반 광고시장 영업실적 및 광고비 = 107
 4. 중국광고 수용자의 의식변화 = 114
제6장 디지털환경에 따른 중국 광고시장의 변화 = 119
 1. 중국 인터넷광고의 발전 = 122
 2. 중국 인터넷 광고의 특성 = 131
 3. 중국 모바일 광고의 출현 = 139
제7장 중국의 광고시장 변화와 국내외 기업의 진출 = 151
 1. 국내외 기업의 진출 현황 = 155
 2. 국내외 기업의 진출 전략 = 160
제8장 중국의 광고산업 관련 전문가 평가 = 165
 1. 한국 국내 전문가 = 166
 2. 중국 현지 전문가 = 193
제9장 결 = 217
참고문헌 = 231
부록 = 23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