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48camccc200325 k 4500 | |
001 | 000045443841 | |
005 | 20100806104027 | |
007 | ta | |
008 | 080506s2008 ulka 000c kor | |
020 | ▼a 9788958041351 ▼g 03800: ▼c \15,000 | |
035 | ▼a (KERIS)BIB000011285523 | |
040 | ▼a 241018 ▼c 241018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780.15 ▼2 22 |
090 | ▼a 780.15 ▼b 2008z3 | |
100 | 1 | ▼a 森本眞由美 , ▼d 1960-. ▼0 AUTH(211009)66392 |
245 | 2 0 | ▼a (에피소드로 엮은) 클래식 음악 100 / ▼d 글:모리모토 마유미 ; ▼e 옮김: 김재원. |
246 | 1 9 | ▼a エピソ-ドでつづる初めてのクラシック音樂 : スタンダ-ド100. |
260 | ▼a 서울 : ▼b 반디 , ▼c 2008. | |
300 | ▼a 321 p. : ▼b 삽도 ; ▼c 24 cm. | |
500 | ▼a 원서 감수자: 핫토리 고조(服部幸三). | |
500 | ▼a 감수자: 이홍석. | |
653 | ▼a 음악사 | |
700 | 1 | ▼a 김재원 , ▼e 옮김 ▼0 AUTH(211009)51573 |
900 | 1 1 | ▼a 모리모토 마유미. |
900 | 1 1 | ▼a Morimoto, Mayumi. |
940 | ▼a 클래식 음악 백. | |
940 | ▼a 에피소드로 엮은 클래식 음악 백. | |
940 | ▼a Episode de tsuzuru hajimete no classic onkaku.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0.15 2008z3 | 등록번호 1114768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0.15 2008z3 | 등록번호 1114768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80.15 2008z3 | 등록번호 1512572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0.15 2008z3 | 등록번호 1114768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0.15 2008z3 | 등록번호 1114768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80.15 2008z3 | 등록번호 1512572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클래식 음악을 어렵지 않고 재미있게 설명한 책. 책은 전체 5부로 나뉜 큰 주제를 가지고 연도별로 100곡의 곡이 작곡된 배경을 설명한다. 우리가 어떻게 그 곡을 들어왔으며 어떤 장르에서 사용되는지도 알 수 있다. 에피소드 형식을 빌려 설명이 쉽고, 출판 감수자가 추천한 음반 목록도 있어 클래식 감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생확 속의 클래식 음악, 그들만의 문화가 아닌 다같이 공유할 수 있는 문화로 거듭나다.
요즘 클래식 음악을 단순히 듣기 어렵고 전공한 사람들만의 고급 문화가 아닌 생활속에서 여러가지 쟝르와 크로스오버된 클래식 음악을 접할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어린 아이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휘자의 설명과 함께 듣을 수 있는 연주회는 물론, 주부들을 위한 브런치 공연, 그리고 천원 콘서트 등 시간과 금액의 제약을 넘어선 클래식 음악의 변화는 사뭇 이제까지 무관심하게 바라보던 시선을 다시 변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우리가 현 시대를 살아가면서 클래식 음악을 감상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감정과 이성의 균형과 조화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음악은 보이지 않는 시간 속에 있고 붙잡을 수 없는 소리라고 하는 소재를 가지고 있기에, 시간적 과정 혹은 형식이라고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클래식 음악 감상에 있어서 사실 그것이 전부이다.
시대적인 흐름과 그 곡을 작곡한 작곡가들의 삶이 그 곡에 그대로 녹아 있기에 우리는 지금도 베토벤의 '운명'을 들으며 나름 그 감동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에피소드로 엮은 클래식 음악 100》에서는 전체 5부로 나뉘어 큰 주제를 가지고 그 안에서 연도별로 100곡의 곡을 작곡하게 된 배경과 우리가 어떻게 그 곡을 들어왔으면 어떤 쟝르에서 사용했는지, 에피소드 형식을 빌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을 읽기만 하면 아무 의미가 없다.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자기 자신이 소리로서 들어 보고, 들어 본 느낌을 소중이 여긴 체험이야말로 진정한 클래식 음악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내 것이 될 것이다. 그래서 《에피소드로 엮은 클래식 음악 100》에서는 ‘듣고 싶다면’이라는 코너를 통해 출판사와 감수자가 선정한 추천 음반을 소개하고 있다. 더 좋은 음반이야 많이 있겠지만 나름 최선을 다해 선정한 음반이 아무쪼록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모리모토 마유미(지은이)
1960년에 태어나, 도쿄예술대학 음악학부 악리과(樂理科)를 졸업했따. 츠쿠바 만국박람회 외국관 근무를 거치고, <주>리크루트에 입사하여 기업, 학교 광고 디렉터로 근무했다. 지은 책으로 <3일만에 읽는 고전문학>이 있다.
김재원(옮긴이)
편집과 에이전트 등 50년 동안 출판에 몸을 담은 전문 번역가. 번역서로 <갈매기의 꿈>, <퍼펙트 우먼>, <인생이란 학교에서>, <한반도에 위기가 다가온다>, <에피소드로 엮은 클래식 음악 100> 등이 있다.
핫토리 고조(감수)
도쿄 예술 대학 명예교수.FM 라디오 ‘바로크 음악의 즐거움’ DJ와 백과사전 해설자로 유명. 저서로 《서양 음악사 바로크 서양 음악사 시리즈》와번역서로 《서양 음악사》 등이 있다.
이홍석(감수)
-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 - 독일 데트몰트 국립음대 졸업 - 제19회 서울음악제 실내악 부문 입상 - 제27회 동아음악 콩쿨 입상 - 연세대 '연세 문화상' 수상 - 조선일보사 '신인음악회' 출연 - 제7회 안익태 작곡상 수상 - 제25회 대한민국 작곡상 수상 - 현재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목차
목차 제1부 유명작곡의 표곡 베스트 20 1.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 14 2. 게오르크프리드리히 헨델 - 오라토리오 〈메시아〉 = 17 3.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오페라〈마적〉 = 20 4. 루트비히 판 베토벤 - 〈교향곡 제5번 ‘운명’〉 = 23 5.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 - 연가곡집〈겨울 나그네〉 = 26 6. 요하네스브람스 - 〈교향곡 제4번〉 = 29 7. 요제프 안톤 브루크너 - 〈교향곡 제4번 ‘로맨틱’〉 = 32 8. 프란츠 폰 리스트 - 교향시〈전주곡〉 = 35 9. 프레데리크 프랑수아 쇼팽 - 〈폴로네즈〉그밖의 피아노곡 = 38 10. 구스타프 말러 - 〈교향곡 제8번 ‘천인 교향곡’〉 = 41 11. 로베르트 알렉산더 슈만 - 가곡집〈시인의 사랑〉 = 44 발헬름 리하르트 바그너 - 〈트리스탄과 이졸데〉 = 47 12. 헥토리 베를리오즈 - 〈환상 교향곡〉 = 50 14. 아실 클로드 드뷔시 -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 53 15. 이고리 페도로비치 스트라빈스키 - 발레 음악〈봄의 제전〉 = 56 16. 자코모 푸치니 - 〈라 보엠〉 = 59 17. 조르주 비제 - 〈카르멘〉 = 62 18.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 발레음악〈백조의 호수〉 = 65 19. 조아치노 안토니오 로시니 - 〈세비야의 이발사〉 = 68 20. 아널드 쇤베르크 - 〈달의 피에로〉 = 71 제2부 음악 시간에 자주 들은 명곡 베스트 20 1. 안토니오 비발디 - 바이올린 협주곡집 작품 8〈사계〉 = 76 2.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관현악 모음곡 제2번〉 = 79 3.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 - 〈현악 4중주곡 제77번 ‘황제’〉 = 82 4.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피아노 소나타 가장조 터키 행진곡〉 = 85 5. 루트비히 판 베토벤 - 〈교향곡 제 6번 ‘전원’〉 = 88 6.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 - 〈피아노 5중주곡 ‘송어’〉 = 91 7. 로베르트 알렉산더 슈만 - 〈어린이의 정경〉중에서 〈트로이메라이〉 = 91 8. 야코프 루드비히 펠릭스 멘델스존 - 〈바이올린 협주곡 마단조〉 = 97 9. 카를 마리아 폰 베버 - 오페라〈마탄의 사수〉 = 100 10. 조르주 비제 - 모음곡〈아를의 여인〉 = 103 11. 에드바르 하게루프 그리그 - 모음곡〈페르 귄트〉제1번-제2번 = 106 12. 세르게이 세르게예비치 프로코피예프 - 교향적이야기〈피터와 늑대〉 = 109 13. 주세페 베르디 - 〈아이다〉중에서 〈개선 행진곡〉 = 112 14. 빌헬름 리하르트 바그너 - 〈탄호이저〉중에서 〈탄호이저 행진곡〉 = 115 15. 카미유 생상스 - 〈동물의 사육제〉 = 118 16. 안토닌 드보르자크 - 〈교향곡 제9번 ‘신세계’〉 = 121 17. 파블로 데 사라사테 - 〈치고이너바이젠〉 = 124 18. 알렉산드르 포르피리예비치 보로딘 - 오페라〈이고리공〉중에서〈타타르인의 춤〉 = 127 19. 모데스트 페트로비치 무소륵스키 - 피아노 모음곡〈전람회의 그림〉 = 130 20. 조아치노 안토니오 로시니-〈윌리엄텔〉서곡 = 133 제3부 들어 본 적이 있는 숨은 명곡 베스트 20 1. 요한 파헬벨 - 〈카논〉 = 138 2.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토카타와 푸가 라단조〉 = 144 4.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 무지크〉 = 147 5. 루트비하 판 베토벤 - 〈교향곡 제7번〉 = 150 6.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 - 〈악홍의 한때〉 = 153 7. 야코프 루드비히 펠릭스 멘델스존 - 〈노래의 날개위에〉 = 156 8. 프란츠 폰 리스트 - 〈헝가리 광시곡〉제2번 = 159 9. 요하네스 브람스 - 〈헝가리무곡〉 제5번, 제6번 = 162 10. 주세페 베르디 - 〈춘회〉중에서〈축배의 노래〉 = 165 11.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와 빈 왈츠, 행진곡 = 168 12. 아실 클로드 드뷔시 - 〈베르가마스크모음곡〉중에서 제3곡 〈월광〉 = 171 13. 조지 거슈인 - 〈랩소디 인 블루〉 = 174 14. 구스타브 홀스트 - 모음곡〈행성〉중에서 ‘목성(주피터)-쾌락의 신’ = 177 15.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 교향시〈나의 조국〉중에서 제2곡 〈몰다우〉 = 180 16. 자코모 푸치니 - 〈나비부인〉중에서 〈어느 갠 날에〉 = 183 17. 니콜라이 안드레예비치 림스키코르사코프 - 교향 모음곡〈셰에라자드〉 = 186 18. 호아킨 로드리고 - 〈아란후에즈협주곡〉 = 189 19. 빌헬름 리하르트 바그너 - 〈뉘른베르크의 마이스터징거〉서곡 = 192 20.요시프 이바노비치 - 〈도나우 강의 잔물결〉 = 195 제4부 유명 지휘자와 연주자가 가장 선호한 곡 베스트 20 1. 리하르트 게오르크 슈트라우스 - 교향시〈죽음과 변용〉 = 200 2.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 - 〈교향곡 ㅈ8번 ‘미완성’〉 = 203 3. 다케미쓰도루 - 〈노벰버 스텝-퉁소와 비파, 오케스트라를 위하여〉 = 206 4. 루트비하판 베토벤-〈교향곡 제9번 ‘합창’〉 = 209 5. 구스타프 말러 - 〈교향곡 제9번〉 = 212 6.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교향곡 제40번〉 = 215 7. ?스트 페트로비치 무소륵스키 - 〈보리스 고두노프〉1869년판 = 218 8. 알반 베르크 - 〈보체크〉 = 2219. 벨라 바르토크 - 〈현악기와 타악기와 첼레스타를 위한 음악〉 = 224 10.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마태 수난곡〉 = 227 11.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 〈성모 마리아의 저녁기도〉 = 230 12. 루트비히 판 베토벤 - 피아노 소나타〈열정〉 = 233 13. 프레데리크 프랑수아 쇼팽 - 〈12곡의 연습곡 작품10-작품25〉 = 236 14.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피아노 협주곡 제26번 ‘대관식’〉, 기타 전곡 = 239 15. 요하네스 브람스 - 〈피아노 협주곡 제1번〉 = 242 16.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골드베르크 변주곡 = 245 17.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 - 〈현악 4중주곡 제14번 ‘죽음과 소녀’〉 = 248 18.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 - 〈마왕〉그밖의 독일 가곡 = 251 19. 가에타노 도니체티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254 20.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무반주 첼로 모음곡〉 = 257 제5부 영화와 드라마에 사용된 명곡 베스트 20 1. 베니스에서의 죽음 = 262 2.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265 3. 시계 태엽 장치 오렌지 = 268 4. 다이하트 1&2 = 271 5. 타이타닉 = 274 6. 피아니스트 = 277 7. 신세기 에반게리온 극장판 기타 = 280 8. 판타지아 & 판타지아 2000 = 283 9. 귀여운 여인 = 286 10. 카사블랑카 = 289 11. 사랑과 슬픔의 볼레로 = 292 12. 드라마 101번째의 프로포즈 = 295 13. 초콜릿 = 298 14. 란 = 301 15.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 304 16. 쥬라기 공원 2: 잃어버린 세계 = 307 17. 전교생 = 310 18. 안나 카레니나 = 313 19. 노다메 칸다빌레 = 316 20. 지옥의 묵시록: 리덕스 =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