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내 딸을 백원에 팝니다

내 딸을 백원에 팝니다 (2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장진성
서명 / 저자사항
내 딸을 백원에 팝니다 / 장진성
발행사항
서울 :   조갑제닷컴,   2008  
형태사항
169 p. : 삽화 ; 20 cm
ISBN
9788992421379
일반주기
품에 안고 두만강을 건넌 詩  
000 00626camcc2200217 c 4500
001 000045443802
005 20110801100041
007 ta
008 080507s2008 ulka 000cp kor
020 ▼a 9788992421379 ▼g 03800
035 ▼a (KERIS)BIB000011284113
040 ▼a 211023 ▼c 211023 ▼d 211048 ▼d 244002 ▼d 211009
082 0 4 ▼a 895.715 ▼2 22
085 ▼a 897.17 ▼2 DDCK
090 ▼a 897.17 ▼b 장진성 내
100 1 ▼a 장진성 ▼0 AUTH(211009)136966
245 1 0 ▼a 내 딸을 백원에 팝니다 / ▼d 장진성
260 ▼a 서울 : ▼b 조갑제닷컴, ▼c 2008
300 ▼a 169 p. : ▼b 삽화 ; ▼c 20 cm
500 ▼a 품에 안고 두만강을 건넌 詩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114775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11477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115880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410696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212118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512572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512581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512582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114775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11477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115880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410696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212118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512572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512581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7 장진성 내 등록번호 1512582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북한 노동당에서 선전 문필가로 활동하다 脫北해 남한에 정착한 脫北시인 장진성(가명)의 시집 ‘내 딸을 백 원에 팝니다’(조갑제닷컴 발간, 172쪽, 8000원)가 출간됐다.

시집은 배고픔과 싸우는 북한 주민들의 생존에 대한 갈망과 자유에 대한 고통으로 가득 차 있다. 특히 ‘내 딸을 백 원에 팝니다’는 2007년 초 인터넷을 통해 많은 네티즌들의 관심을 모았던 시다. 북한에 있을 때 필자가 직접 시장에서 목격한 비극적인 모성애를 다룬 이 시는 한 네티즌에 의해 UCC 동영상으로 제작됐고, 이 동영상은 2007년 초 2월 한 주간 여러 인터넷 사이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詩人(시인)이라면 북한에서는 ‘귀족작가’로 불릴 만큼 김정일의 각별한 신임을 받지만, 그것이 ‘노예의 행복’임을 알게 됐다는 장진성 작가. 그는 “가장 가난한 나라에 가장 부유한 王(왕)이 살고 있음”을 알게 되면서 탈북을 결심하게 됐다. 두만강을 넘을 때 신분 노출이 우려되는 어떤 흔적도 남기지 않는 것이 상식이지만, 필자는 반드시 300만 餓死(아사)를 폭로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북한에서 메모했던 글들을 품고 넘었다고 말한다.

鄭浩承(정호승) 시인은 해설을 통해, “이 시들은 굶주림에 의해 생존의 기로에 서 있어보지 않은 자는 쓸 수 없는 시”라며 “이것은 시집이 아니라 ‘통곡’과 ‘분노’, ‘고통’과 ‘절망’이자, 인간으로서 마지막으로 부여잡고 놓지 않은 ‘희망’”이라고 평했다.

평소 시에 있어 ‘抒情(서정)’을 중요시 했다는 정호승 시인은, 그동안 자신이 쓴 시의 서정이 이 시집 앞에서는 너무 사치스럽고 부끄럽다고 고백했다. 또, 이 시집에 나타난 具體(구체)의 힘 앞에서 그동안 자신이 쓴 시의 구체는 참으로 초라하다고 고백한다. “300만 명이 굶어 죽은, 이 참상 앞에 굶주림을 경험해보지 못한 남한의 시인인 나는 그저 고개를 숙이고 옷깃을 여밀 수밖에 없다.”

“북한의 참상을 詩(시)로 만든다는 자체가 사치이지만, 나는 울분을 터뜨리고 통곡해야만 했다”는 장진성 씨는, 독자들에게 단순히 시를 읽는 것을 넘어 지금도 현재형인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함께 나눠주기를 부탁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장진성(지은이)

평양음악무용대학 졸업 조선중앙방송위원회 기자 중앙당 통일전선부 부원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선임연구원 현재 뉴포커스 대표 네덜란드 레이던대학 초빙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글/ 품에 안고 두만강을 건넌 詩 장진성 6
해 설/ 이것은 詩集이 아니라 ‘통곡’이다 鄭浩承 160

1. 쌀밥 찬가
배급소·14 / 우리의 밥은·16 / 숟가락·19 / 밥알·20
밥이 남았네·21 / 우리는 밥을 먹는다·23
새빨간 거짓말·24 / 밥이라면·25 / 세 끼와 삼일·26
‘장군님의 줴기밥 ’·28

2. 우리는 이렇게 죽었다
나의 옆집·32 / 세상에서 제일로 맛있는 건·34
그 여자·35 / 문 두드리는 소리·37
꿈에서 본 아버지·39 / 사과나무 집·40 / 아이의 꿈·43
종착역·45 / 출석부·48 / 그들의 마지막 얼굴·51
나는 살인자·53 / 궁전·55

3. 사는 것이 아니다 살아남는 것이다
가족의 심정·58 / 거지의 소원·60 / 치약·62
페트병·64 / 맹물장사·66 / 일요일에·68
젖·69 / 장맛비·70 / 효녀·72 / 불타는 대풍년·73
똥값·75 / 인당수·78 / 소원·79
우리의 삶은·82 / 내 딸을 백 원에 팝니다·84
“가는 길 험난해도 웃으며 가자”·86 / 인연·89
사적비(史蹟碑)·91 / 반디벌레·94 / ?와 !·96
용서는 많은 걸 말해 주어요·97 / 화환·99
배고파서 좋은 일·101 / 담배꽁초·104

4. 인권이 없는 곳엔 구제미(救濟米)도 없었다
바다 건너 사람들·108 / 지금도·111 / 사형수·113
텅빈 하늘·115 / 강철·117 / 대용(代用)인간·120
희세(稀世)의 장군·124 / 포고문·127
구제미(救濟米)라 말하지 말라·130 / 정적(靜寂)·133 / 大·136

5. 탈북자, 우리는 먼저 온 미래
우리의 이별·140 / 두만강을 넘으며·143
우리는 조국을 버리지 않았다·144
우리말·145 / 태극기를 보았을 때·147
주민등록증 번호·149 / 커피 값·150 / 아리랑·151
3월 12일·152 / 꿈에서도 바라는 꿈·153
반세기를 넘어서·155 / 소금·156
미운 線·157 / 탈북자·159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