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34camccc200289 k 4500 | |
001 | 000045443549 | |
005 | 20100806103537 | |
007 | ta | |
008 | 080414s2008 ulk b AQ 000c kor | |
020 | ▼a 9788971418253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1257445 | |
040 | ▼a 241050 ▼c 241050 ▼d 211009 | |
082 | 0 4 | ▼a 339 ▼2 22 |
090 | ▼a 339 ▼b 2008z3 | |
245 | 0 0 | ▼a 빅셀 이후의 거시경제 논쟁 / ▼d 홍훈 [외]지음. |
260 | ▼a 서울 : ▼b 연세대학교출판부 , ▼c 2008. | |
300 | ▼a 229 p. ; ▼c 23 cm. | |
500 | ▼a 공저자: 최규성, 박종현, 이철희, 황재홍 | |
504 | ▼a 참고문헌: p. 227-229 | |
536 | ▼a 이 책은 2006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
700 | 1 | ▼a 홍훈 ▼0 AUTH(211009)130100 |
700 | 1 | ▼a 최규성 |
700 | 1 | ▼a 박종현 ▼0 AUTH(211009)142971 |
700 | 1 | ▼a 이철희 |
700 | 1 | ▼a 황재홍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08z3 | 등록번호 1114728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08z3 | 등록번호 1114728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9 2008z3 | 등록번호 1512567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08z3 | 등록번호 1114728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08z3 | 등록번호 1114728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9 2008z3 | 등록번호 1512567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홍훈(지은이)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연세대학교와 미국 뉴욕 사회과학대학(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경제학을 공부한 후, 경제사상, 정치경제학, 경제이념, 행동경제학 등을 가르치며 연구해왔다. 현재는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이념과 이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마르크스와 오스트리아학파의 경제사상』(2000), 『경제학의 역사』(2007), 『행동경제학 강의』(2016), 『경제학자의 인간수업』(2020)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경제민주화의 사상적 배경」(1994), 「교육은 상품이 될 수 있는가?」(2008), 「한국경제사회, 한국인, 한국교육: 한국형 모델의 이론적인 구성요소들」(2012) 등이 있다. 한국사회경제학회 회장과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목차
목차 제1장 빅셀커넥션과 화폐수량설 / 황재홍 = 1 Ⅰ. 서론 = 1 Ⅱ. 빅셀과 화폐수량설 = 3 Ⅲ. 오스트리아 학파와 화폐수량설 = 8 Ⅳ. 스톡홀름 학파와 화폐수량설 = 14 Ⅴ. 빅셀과 피셔 = 18 Ⅵ. 맺음말 = 22 제2장 스톡홀름 학파의 이론과 정책: 빅셀 및 『일반이론』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박종현 = 27 Ⅰ. 문제의 제기 = 27 Ⅱ. 스웨덴 경제학의 초기 정책논쟁 = 30 1. 크누트 빅셀(Knut Wicksell) 2. 1차대전 직후 경제정책의 주요 쟁점 Ⅲ. 네오 빅셀리안과 그 정책제안 = 36 1. 스톡홀름 학파의 문제의식 2. 빅셀적 전통의 발전적 계승 3. 대공황 당시의 정책제안 Ⅳ. 케인즈와 스톡홀름 학파 = 45 1. 『일반이론』의 출간과 스톡홀름 학파의 주장 2. 케인즈의 기존 저작 및 비그포르스의 영향 3. 『일반이론』과 스톡홀름 학파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 Ⅴ. 스톡홀름 학파의 실패? = 52 제3장 빅셀커넥션과 호트리의 화폐경제학 / 이철희 = 61 Ⅰ. 빅셀커넥션과 호트리 = 61 Ⅱ. 호트리(R. G. Hawtrey 1879-1971)의 경력 및 연구동향 = 65 Ⅲ. 호트리의 화폐경제학 = 70 1. 호트리 화폐경제학의 기초 2. 호트리의 거시경제학 3. 호트리의 금본위제하의 경기변동 Ⅳ. 맺음말 = 94 제4장 호트리와 케인즈의 기대 / 이철희 = 103 Ⅰ. 케인즈에게 있어서 기대의 문제 = 103 Ⅱ. TM의 기대문제와 관련된 호트리와의 논의 = 107 Ⅲ. GT의 기대문제와 관련된 호트리와의 논의 = 113 Ⅳ. 저축과 투자-호트리의 단기기대 = 115 제5장 케인즈와 하이에크의 화폐경제 / 홍훈 = 121 Ⅰ. 케인즈와 하이에크의 공동분모 = 122 Ⅱ. 케인즈의 화폐적인 경제 = 127 1. 케인즈의 경제 2. 케인즈의 화폐 Ⅲ. 하이에크의 화폐적인 경제 = 145 1. 하이에크의 경제 2. 하이에크의 화폐 Ⅳ. 요약과 함의 = 158 제6장 케인즈와 하이에크의 불황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견해차와 그 근원 = 165 Ⅰ. 머리말 = 165 1. 문제 제기 2. 논문의 목적과 구성 Ⅱ. 케인즈와 하이에크의 거시경제이론 = 167 1. 케인즈의 거시경제이론 2. 하이에크의 거시경제이론 Ⅲ. 불황과 인플레이션 정책에 대한 케인즈와 하이에크의 견해차 = 180 1. 불황의 원인 2. 인플레이션 정책의 효과 Ⅳ. 케인즈와 하이에크의 견해차의 근원 = 187 1. 불황을 보는 관점 2. 인플레이션 정책을 보는 관점 Ⅴ. 맺음말 = 194 제7장 빅셀커넥션과 포스트 케인지언: 유사 화폐경제학과 진정한 화폐경제학? / 황재홍 = 203 Ⅰ. 서론 = 203 Ⅱ. 화폐적 분석과 실물적 분석 = 206 Ⅲ. 내생화폐론과 빅셀커넥션 = 213 Ⅳ. 『일반이론』 17장에 대한 강조 = 215 Ⅴ. 내부적 일관성의 문제 = 221 Ⅵ. 맺음말 =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