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프랑스 와인의 이해
Chapter 1 와인의 역사 = 13
Chapter 2 포도의 재배 = 16
1. 위치 = 16
2. 날씨와 기후 = 17
3. 토양 = 17
4. 테루아르 = 18
5. 포도재배방법 = 19
1) 기요-울타리 만들기 = 19
2) 꼬르동-울타리 만들기 = 19
3) 고블렛-기둥 만들기 = 20
4) 모젤-대 만들기 = 20
6. 포도재배작업 = 20
1) 포도나무의 성장과정 = 20
2) 가지치기, 가지 고정시키기, 수액 오름과 발아 = 21
3) 상순자르기 = 21
4) 개화 = 22
5) 결실 = 22
6) 나뭇잎 제거와 포도알 물들기 = 22
7) 수확 = 23
Chapter 3 포도품종 = 24
1. White Wine = 24
1) 샤르도네 = 24
2) 알리고떼 = 25
3) 소비뇽 블랑 = 25
4) 세미용 = 25
5) 뮈스카델 = 26
6) 쉬냉 블랑 = 26
7) 뮈스까데 = 27
8) 리슬링 = 27
9) 게뷔르쯔트라미네 = 27
10) 피노 블랑 = 28
11) 피노 그리 = 28
12) 뮈스카 = 28
13) 마르산느 = 29
14) 비오니에 = 29
2. Red Wine = 29
1) 까베르네 소비뇽 = 29
2) 메를로 = 30
3) 까베르네 프랑 = 30
4) 피노 누아 = 31
5) 시라 = 31
6) 그르나쉬 = 32
7) 말벡 = 32
8) 카리냥 = 33
9) 가메 = 33
10) 피노 뫼니에 = 33
Chapter 4 프랑스 와인의 등급체계 = 34
1. AOC = 34
2. VDQS: 우수품질 제한 와인 = 35
3. 뱅 드 뻬이: 지방 와인 = 36
1) 단일품종 뱅 드 뻬이 = 36
2) 뱅 드 뻬이 지역명칭 = 37
4. 뱅 드 따블 = 37
제2편 주요생산지역
Chapter 5 보르도 = 41
1. 메독 지역 = 45
1) 메독 와인의 등급체계 = 48
2) 메독의 대표적인 마을 AOC = 52
3) 메독 지역의 주요포도원 = 54
2. 그라브 지역 = 66
1) 그라브 와인의 등급 = 67
2) 그라브 지역의 주요포도원 = 69
3. 쏘떼른 및 바르싹 지역 = 71
1) 쏘떼른 및 바르싹 지역 와인의 등급 = 72
2) 쏘떼른 및 바르싹 지역의 주요포도원 = 74
4. 쌩-떼밀리옹 = 75
1) 쌩-떼밀리옹 4곳의 주요산지 = 76
2) 쌩-떼밀리옹 2개의 아?라시옹 = 76
3) 쌩-떼밀리옹 와인의 등급 = 77
4) 2006년 쌩-떼밀리옹 등급 = 79
5) 쌩-떼밀리옹 지역의 주요포도원 = 80
5. 쌩-떼밀리옹 주변지역 = 82
1) 몽따뉴 생-떼밀리옹 = 82
2) 뤼싹 쌩-떼밀리옹 = 83
3) 퓌쓰겡 쌩-떼밀리옹 = 83
4) 쌩-조르주 쌩-떼밀리옹 = 84
6. 뽀므롤 = 85
1) 뽀므롤의 대표적인 와인 = 86
2) 뽀므롤 지역의 주요포도원 = 88
7. 라랑드 드 뽀므롤 = 90
8. 프롱싹 = 90
9. 꺄농-프롱싹 = 92
Chapter 6 부르고뉴 = 95
1. 샤블리와 그랑 오쎄루아 = 99
1) 샤블리 = 99
2) 그랑 오쎄루아 = 102
3) 샤블리 지역의 주요생산자 = 104
2. 꼬뜨 도르 = 106
1) 꼬뜨 드 뉘 = 107
2) 꼬뜨 드 본 = 117
3. 꼬뜨 샬로네즈 = 130
1) 지역단위 AOC = 131
2) 마을단위 AOC = 131
4. 마꼬네 = 133
1) 지역단위 AOC = 134
2) 마을단위 AOC = 134
Chapter 7 보졸레 = 137
1. 보졸레의 AOC = 138
1) 보졸레 = 138
2) 보졸레 블랑 = 139
3) 보졸레 빌라쥬 = 139
4) 부루이 = 139
5) 쉐나 = 140
6) 쉬루블르 = 140
7) 꼬뜨 드 부루이 = 140
8) 플뢰리 = 141
9) 쥘리에나 = 141
10) 모르공 = 141
11) 물랭-아-방 = 141
12) 레니에 = 142
13) 쌩-따무르 = 142
2. 보졸레 누보 = 142
1) 보졸레 포도수확 = 144
2) 와인양조 = 145
3. 보졸레 지역의 주요생산자 = 145
1) 모메상 = 145
2) 깔베 = 146
Chapter 8 발레 뒤 론 = 149
1. 론 와인의 AOC 등급체계 = 151
1) 지방명칭 AOC = 151
2) 마을명칭 AOC = 151
3) 지역 AOC = 152
2. 론 지역의 주요생산자 = 158
1) 샤또 하야스 = 158
2) 에띠엔 기갈 = 159
3) 도멘 페랭-샤또 드 보까스뗄 = 159
Chapter 9 샹빠뉴 = 161
1. 샹빠뉴의 주요포도재배지역 = 162
2. 샴페인 제조방법 = 163
1) 수확 = 163
2) 압착 = 163
3) 1차 발효 = 164
4) 혼합 = 164
5) 병입 = 164
6) 2차 발효 = 164
7) 숙성 = 164
8) 병돌리기 = 165
9) 찌꺼기 제거 = 165
10) 보충 = 165
11) 밀봉 = 165
3. 당분함량에 따른 샴페인의 타입 = 166
4. 샴페인의 포도품종에 따른 종류 = 166
1) 샹빠뉴 블랑 드 블랑 = 166
2) 샹빠뉴 블랑 드 누아 = 166
3) 샹빠뉴 지방의 AOC = 166
5. 샹빠뉴 지역의 주요생산자 = 168
1) 쟈크쏭 = 168
2) 동 페리뇽 = 171
3) 뵈브 끌리꼬 = 172
4) 모엣 샹동 = 174
5) 볼링저 = 175
Chapter 10 알자스 = 177
1. 알자스 지방의 AOC 등급체계 = 179
1) AOC 알자스 = 179
2) AOC 알자스 그랑 크뤼 = 179
3) AOC 크레망 달자스 = 179
4) 방당쥬 따르띠브 = 180
5) 쎌렉시옹 드 그랭 노블 = 180
2. 알자스 지방의 주요생산자 = 181
1) 휘겔 앤드 필스 = 181
Chapter 11 르와르 = 182
1. 낭뜨 지역 = 183
1) 낭뜨 지역의 대표적 AOC = 183
2) 낭뜨 지역의 VDQS = 184
2. 앙주-소뮈르 지역 = 184
1) 앙주 지역의 대표적 AOC = 184
2) 소뮈르 지역의 대표적 AOC = 185
3) 샤브니에르 지역의 대표적 AOC = 185
3. 뚜렌느 지역 = 185
4. 상트르 지역 = 187
1) 상트르 지역의 대표적 AOC = 187
2) 상트르 지역의 주요생산자 = 188
Chapter 12 쥐라와 사부아 및 뷔제 = 190
1. 쥐라 = 191
1) 뱅 죤느 = 191
2) 뱅 드 빠이으 = 192
2. 사부아 = 192
3. 뷔제 = 193
Chapter 13 프로방스 = 194
1. 프로방스의 AOC = 196
2. 프로방스의 주요생산자 = 196
1) 도멘 오뜨 = 196
Chapter 14 랑그독-루씨옹 = 198
1. 대표적인 AOC 지역 = 199
1) 꼬또 뒤 랑그독 = 199
2) 쌩-쉬니앙 = 200
3) 포제르 = 201
4) 끌라레뜨 뒤 랑그독 = 201
5) 피뚜 = 201
6) 꺄바르데스 = 202
7) 말페르 = 202
8) 꼬르비에르 = 203
9) 미네르부아 = 203
10) 미네르부아 라 리비니에르 = 204
11) 리무 = 204
12) 뮈스까 드 프롱띠냥 = 205
13) 꼬뜨 뒤 루씨옹 = 205
14) 꼬뜨 뒤 루씨옹 빌라쥬 = 206
15) 꼴리우르 = 206
16) 바뉠스 = 206
17) 바뉠스 랑씨오 = 207
18) 바뉠스 그랑 크뤼 = 207
19) 리브잘뜨 AOC = 207
20) 기타 = 207
2. 랑그독-루씨옹의 주요생산자 = 208
1) 엠 샤뿌띠에 = 208
Chapter 15 남서부 지방 = 209
부록
1. 2006년 보르도 쌩-떼밀리옹 와인등급분류 = 215
2. AOC 알자스 그랑 크뤼 = 216
3. The Wine Vitage Charts = 218
4. Glossary 용어사전 = 219
참고문헌 =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