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82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441841 | |
005 | 20100806100540 | |
007 | ta | |
008 | 080410s2008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42340477 ▼g 93810 | |
035 | ▼a (KERIS)BIB000011262724 | |
040 | ▼d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895.72009 ▼2 22 |
085 | ▼a 897.2009 ▼2 DDCK | |
090 | ▼a 897.2009 ▼b 2008 | |
100 | 1 | ▼a 김익두. ▼0 AUTH(211009)63977 |
245 | 1 0 | ▼a 한국 희곡/연극 이론 연구 = ▼x (A)study on theories of Korean drama/theatre / ▼d 김익두 지음. |
260 | ▼a 파주 : ▼b 지식산업사 , ▼c 2008. | |
300 | ▼a 400 p.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선도연구지원사업(과제번호: KRF-2003-041-G00066, KRF-2004-041-G00055)에 의해 연구된 것임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2009 2008 | Accession No. 1114705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2009 2008 | Accession No. 1114705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97.2009 2008 | Accession No. 1512590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2009 2008 | Accession No. 1114705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2009 2008 | Accession No. 1114705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97.2009 2008 | Accession No. 1512590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익두(지은이)
한국학술진흥재단 해외파견교수(미국 콜로라도대학, 2001), 옥스퍼드대학교 울프슨 칼리지 및 동양학부 초빙교수(2009),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전북대 국문과 교수, 현 사단법인 민족문화연구소 소장. 제2회 예음문화상(1991), 제3회 판소리학술상(2003), 제3회 노정학술상(2003) 수상. 시집으로, 《햇볕 쬐러 나오다가》(신아, 1990), 《서릿길》(문학동네, 1999), 《숲에서 사람을 보다》(천년의시작, 2015), 《녹양방초》(문예원, 2017), 《지상에 남은 술잔》(천년의시작, 2019), 《사앙혀유, 걍》(서정시학, 2010), 주요 연구서로 《판소리, 그 지고의 신체 전략》(평민사, 2003), 《한국 희곡/연극 이론 연구》(지식산업사, 2008), 《상아탑에서 본 국민가수 조용필의 음악세계: 정한의 노래, 민족의 노래》(평민사, 2010), 《한국민요의 민족음악학적 연구》(민속원, 2012), 《한국 민족공연학》(지식산업사, 2013), 《한국 공연문화의 민족공연학적 지평》(전북대출판문화원, 2017), 《조선 명필 창암 이삼만 : 민족서도의 길을 열다》(문예원, 2018) 등이 있으며, 주요 역서로 《제의에서 연극으로》(현대미학사, 1996), 《연극 용어 사전》(한국문화사, 1998), 《퍼포먼스 이론》(현대미학사, 2003), 《연극의 이론》(한국문화사, 2003), 《민족연극학》(한국문화사, 2005), 《국역 불우헌집》(문예원, 2013), 《건재 김천일 전집》Ⅰ~Ⅱ(문예원, 2018), 등이 있고, 그 외에 100여 편의 논문들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추천의 말 / 윤광복 = 4 머리말 = 8 1장 들어가는 말 = 15 2장 통시적-역사적 관점에서 본 한국 희곡/연극 이론의 전개 = 29 1. 신화시대의 한국 희곡/연극 이론 = 29 우주극 = 30 대표적 유형 = 31 이념ㆍ사상 = 34 2. 부족국가시대의 한국 희곡/연극 이론 = 36 제의극과 천신제 = 36 지신제 = 38 수신제ㆍ동물신제 = 39 조상신제 = 39 가신제 = 40 가면 또는 가면극 = 40 인형 또는 인형극 = 42 제의극과 세속극의 분리 = 42 최초의 배우, '천군' = 43 내용과 형식 = 44 극장과 무대, '소도' = 45 의상 = 47 대소 도구 = 49 음악과 무용 = 49 한국 희곡/연극 이론의 행방 = 51 3. 삼국시대의 희곡/연극 이론 = 52 가무백희 = 52 공연 종목의 다양화ㆍ구체화 = 53 세속극의 강화 = 54 형식과 내용 = 54 주재자 - 임금과 제관들 = 57 세속극의 독립 = 58 연극의 존재 양상 = 60 구성 내용 = 61 양식 = 62 극장과 무대 = 65 의상과 분장 = 66 음악과 무용 = 67 배우의 행방 = 68 연극 교육 = 68 4. 남북국시대의 희곡/연극 이론 = 70 민족축제의 한 시원, 팔관회 = 70 '민족극' 이념의 생성 = 72 세속극의 다양화 = 76 희곡/연극 양식의 다양화 = 77 극장과 무대 = 78 배우의 행방 = 78 음악과 무용 = 80 연극 교육 = 82 최초의 희곡/연극 이론, 《향악잡영》 5수 = 83 감상비평 = 84 윤리비평 = 84 미학비평 = 86 희극론 = 86 연극미학 = 87 연극 본질론 = 89 5. 고려시대의 희곡/연극 이론 = 92 민족국가와 민족극의 수립 = 92 '팔관회'의 민족축제화 = 94 가무백희의 국제화 = 97 연극문화의 전문화 = 99 세속극의 전문화 = 105 주요 양식들 = 110 인형극 = 110 가면극/탈놀음 = 112 조희 = 116 교방가무희 = 119 '기악'의 행방 = 126 내용과 형식 = 127 극장과 무대 = 137 전문 직업배우의 등장 = 142 연극 교육 = 148 희곡/연극 이론 자료들 = 150 감상비평 = 150 미학비평 = 156 연극본질론 = 157 6. 조선시대의 희곡/연극 이론 = 161 전반적인 상황 = 161 가무백희 = 163 판소리 양식의 탄생 = 165 양식들의 다양한 분화 = 167 무당굿 = 167 무당굿놀이 = 167 풍물굿 = 170 인형극 = 181 가면극 = 183 조희 = 186 판소리 = 193 궁중 가무악극 = 195 문자 희곡/대본의 등장 = 197 한국 희곡/연극 이론의 기본틀 수립 = 202 윤리비평 = 203 기술비평 = 206 최초의 본격 판소리 감상비평 = 208 19세기 초반 판소리/연극 이론의 보고 〈관우희〉 = 215 〈관우희〉의 서문과 발문에 나타난 희곡/연극 이론 = 228 〈광한루악부〉 서문의 희곡/연극 이론 = 240 정현석의 판소리/연극 이론 = 242 신재효의 〈광대가〉에 나타난 희곡/연극 이론 = 248 벽동병◆UE1CE◆의 〈기완별록〉 = 274 7. 개화기시대의 희곡/연극 이론 = 276 서양인의 희곡/연극관 = 276 한국인의 희곡/연극관 = 277 서양 극장의 체험 = 278 두 가지의 교훈주의적 연극관 = 279 8. 일제강점기의 희곡/연극 이론 = 282 전반적인 상황 = 282 일제강점기 초기의 연극계 = 284 근대적 단평 양식과 비평가의 등장 = 285 근대 최초의 체계적인 연극비평 = 286 기술비평의 태도 = 288 리얼리티의 문제 = 289 최초의 근대 실명 비평가 = 290 '희곡'과 '연극'의 구별 = 292 근대적 배우 연기론의 시작 = 293 새로운 희곡/연극 본질론의 등장 = 296 외국 희곡/연극 이론의 소개와 수용 = 299 새로운 희곡론의 전개 = 301 새로운 근대 민족극의 방향 모색 = 302 청관중론 = 307 리얼리즘론 = 309 근대적 연출론의 등장 = 310 무대장치 = 311 조명 = 312 음향 = 313 음악극론 = 314 라디오 드라마론 = 315 전통 희곡/연극론 = 318 희곡사/연극사 기술 = 319 국민연극론 = 321 9. 해방기의 희곡/연극 이론 = 324 10. 남북분단시대의 희곡/연극 이론 = 326 전반적인 상황 = 326 주요 이론 = 327 북한의 '주체극 이론' = 328 남한의 '민족극 이론' 또는 '마당극 이론' = 331 두 이론의 가치와 문제점 = 334 남은 과제 = 335 3장 공시적-영역별 관점에서 본 한국 희곡/연극 이론의 주요 원리들 = 337 1. 한국 희곡/연극 이론의 공시적-영역별 범주 = 337 2. 한국 희곡/연극 이론의 공시적-영역별 기본원리 = 339 희곡/연극 본질 이론 = 339 배우 연기 이론 = 343 극장 무대 이론 = 346 희곡 극작 이론 = 348 음악 무용 이론 = 350 의상 분장 이론 = 352 음향 조명 이론 = 353 대소 도구 이론 = 353 연출 제작 이론 = 354 청관중 이론 = 355 공연 이론 = 357 비평 이론 = 358 미학 이론 = 360 연극사 이론 = 362 연극 교육 이론 = 363 연극 직업 이론 = 364 4장 맺는말 = 365 영문 요약 = 372 참고 자료와 문헌 = 378 찾아보기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