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5441591 | |
005 | 20230307160952 | |
007 | ta | |
008 | 080229s2007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59317493 ▼g 94370 | |
020 | 1 | ▼a 9788959317462 ▼g 94370(전7권) |
035 | ▼a (KERIS)BIB000011201408 | |
040 | ▼a 311015 ▼d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375.006 ▼2 22 |
090 | ▼a 375.006 ▼b 1998a ▼c RRI2007-3-3 | |
110 | ▼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 AUTH(211009)3587 | |
245 | 1 0 | ▼a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 ▼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60 |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07. | |
300 | ▼a iv, 254 p. : ▼b 삽도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I 2007-3-3 |
500 | ▼a 연구책임자: 최승현 | |
500 | ▼a 교과연구자: 곽영순 | |
504 | ▼a 참고문헌: p. 241-247 | |
700 | 1 | ▼a 최승현, ▼d 1954-, ▼e 연구책임 ▼0 AUTH(211009)112058 |
700 | 1 | ▼a 곽영순, ▼g 郭永順, ▼d 1969-, ▼e 연구 ▼0 AUTH(211009)62753 |
740 | ▼a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과 내용 교수 지식 연구 | |
830 | 0 | ▼a 연구보고(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I 2007-3-3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006 1998a RRI2007-3-3 | Accession No. 11146983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연구 요약 Ⅰ 서론 = 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 내용 = 5 3. 연구 방법 = 10 Ⅱ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과 교사의 역할 변화 = 15 1. 교육과정의 개정과 교사의 역할 = 15 2.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과 과학 교사의 역할 변화 = 17 3. 교육과정 재구성과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 21 Ⅲ 과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 25 1. 교사 지식과 PCK의 위상 = 25 2. 과학과 PCK의 정의와 특징 = 31 3. 과학과 PCK의 정의와 PCK 재현의 필요성 = 39 Ⅳ 과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 45 1. 내용 교수 지식(PCK)의 연구틀 = 45 2. 과학과 PCK 연구틀 = 48 가. 과학 교수활동의 지향 = 49 나. 과학교사 수업 전문성의 구성 영역 = 52 다. 과학과 PCK의 유형화 및 수준 = 52 3. 과학과 PCK 유형 개발 방향 = 56 Ⅴ 과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사례 분석 = 63 1. 과학 내용 측면 = 64 2. 학생 측면 = 72 3. 교수환경 및 교수 전략 측면 = 74 4. 수업 자원 및 전문성 개발 = 80 Ⅵ 과학과 사례에서 발견되는 PCK 유형 = 85 1.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수업 = 87 2. 주변 자연현상에 대한 학생 나름의 설명 모델을 만들어나가는 수업 = 95 3. 과학이라는 사회적 언어 학습이 일어나는 수업 = 107 4. 연계성을 확보하여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수업 = 117 5. 스캐폴딩을 제공하여 학습요구를 낮추는 수업 = 130 6. 학생 이해에서 출발하는 수업: 학생 선개념 이해 = 145 7. 논증을 통한 탐구가 있는 수업 = 164 8. 추상적인 과학개념을 구체화하는 수업 = 178 9. 소외되는 학생이 없는 과학수업 = 189 10. 결론 = 195 Ⅶ 요약 및 정책 제언 = 207 1. 요약 = 207 2. 정책 제언 = 219 가. 예비 교사교육과 관련된 정책 제언 = 219 나. 현직 교사교육과 관련된 정책 제언 = 228 다. PCK 관련 후속 연구 = 237 참고 문헌 = 241 ABSTRACT =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