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연구 요약
Ⅰ 서론 = 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 내용 = 6
3. 연구 방법 = 12
4. 연구의 제한점 = 13
Ⅱ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과 교사의 역할 = 17
1.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중점 = 17
2.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과 교사의 역할 = 19
가.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 = 20
나.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과 미술 교사의 역할 = 21
Ⅲ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 27
1. 내용 교수 지식(PCK)의 배경과 의미 = 28
가. 교사 지식 기반과 내용 교수 지식의 관계 = 28
나. 내용 교수 지식의 개념과 특징 = 32
2.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 39
가. 미술 교사 전문성에 대한 시각 = 39
나. 미술과 교사 지식의 의미 = 45
다.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의 특징 = 50
3.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조작적 정의와 구성 요소 = 58
가. 조작적 정의 = 58
나. 구성 요소 = 59
Ⅳ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연구 분석틀 = 67
1.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일반 연구틀 = 67
2.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분석틀 = 70
3.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분석 방향과 절차 = 72
가.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의 분석 및 개발 방향 = 72
나.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의 분석 절차와 방법 = 74
Ⅴ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 사례 분석 및 유형화 = 81
1. 미술 수업에서 내용 교수 지식(PCK) 사례 분석 = 81
가. 김 교사의 현대 미술 개념을 이해하는 감상 수업 = 82
나. 황 교사의 현대 미술 표현 원리를 적용하는 표현 수업 = 93
다. 고 교사의 색 개념을 적용하는 표현 수업 = 99
라. 이 교사의 전통 미술을 소재로 하는 표현 수업 = 105
마. 김 교사의 일상의 시각화를 위한 시각 문화 표현 수업 = 111
2.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 사례의 유형화 = 116
가. 미술과 목적에 맞는 빅 아이디어가 있는 미술 수업 = 117
나. 자발적인 지식 구성과 스토리텔링이 있는 미술 수업 = 119
다. 다양한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미술 수업 = 122
Ⅵ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적용 = 127
1.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적용 방향 = 127
2.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적용 사례 = 128
가. 김 교사의 수업 개선 = 128
나. 황 교사의 수업 개선 = 132
다. 고 교사의 수업 개선 = 137
라. 이 교사의 수업 개선 = 142
마. 김 교사2의 수업 개선 = 146
Ⅶ 요약 및 정책 제언 = 153
1. 요약 = 153
2. 정책 제언 = 156
참고 문헌 = 163
ABSTRACT = 171
부록 : 수업 교사들의 수업 노트(CㆍRe) =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