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연구 요약
Ⅰ 서론 = 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 내용 = 8
가.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사 역할 변화 분석 = 8
나. 영어과 내용 교수 지식의 의미 및 연구 방법 정립 = 8
다. 개정 교육과정 중점 내용에 따른 영어과 내용 교수 지식 유형 개발 = 9
라. 정책 제언 도출 = 9
3. 연구 방법 = 10
가. 국내ㆍ외 문헌 분석 = 10
나. 교실 수업 관찰 및 분석 = 10
다. 면담 = 11
라. 교사 반성적 교사 일지 분석 = 11
4. 연구의 제한점 = 11
Ⅱ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과 교사의 역할 변화 = 15
1.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중점 내용 = 15
가. 개정 방향 = 15
나. 개정 중점 내용 = 17
2.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교사의 역할 변화 = 23
가. 교육과정 개정과 교사의 역할 = 23
나.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과 교사 역할의 다변화 = 25
Ⅲ 영어과 내용 교수 지식 = 31
1. 내용 교수 지식 배경 = 31
2. 교사 지식과 내용 교수 지식의 위상 = 32
가. 교사 지식과 내용 교수 지식의 관계 = 32
나. 내용 교수 지식과 일반 교수법 지식 차이 = 35
다. 내용 교수 지식의 특징 = 37
3. 영어과 내용 교수 지식 정의와 특징 = 43
가. 영어과 내용 교수 지식의 특징과 조작적 정의 = 43
나. 영어과 내용 교수 지식 구성 영역 = 46
Ⅳ 영어과 내용 교수 지식 분석 틀과 유형 개발 방향 = 57
1. 범교과 내용 교수 지식의 분석틀 = 58
2. 영어과 내용 교수 지식 분석틀 = 61
3. 영어과 내용 교수 지식의 유형 개발 절차 및 방법 = 62
가.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점 주제 추출 = 63
나. 주제별 참여 교사 = 68
다. 수업 관찰 및 자료 분석 = 69
라. 주제별 PCK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추출 = 70
Ⅴ 영어과 내용 교수 지식 유형 = 75
1. 스토리텔링과 파닉스를 활용한 문식성 지도 PCK = 75
가. 수업 분석 결과 = 75
나. 문식성 지도를 위한 PCK 유형과 특징 = 83
2. 의사소통 중심 문법 지도 PCK = 85
가. 수업 분석 결과 = 85
나. 의사소통 중심 문법지도를 위한 PCK 유형과 특징 = 94
3. 말뭉치(corpus)를 활용한 어휘 지도 PCK = 95
가. 수업 분석 결과 = 96
나. 말뭉치를 활용한 어휘 지도를 위한 PCK 유형과 특징 = 102
4.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과정 중심 쓰기 지도 PCK = 104
가. 수업 분석 결과 = 105
나.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과정 중심 쓰기 지도를 위한 PCK 유형과 특징 = 109
Ⅵ 결론 및 제언 = 115
1. 요약 및 종합 논의 = 115
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116
3. 정책 제언 = 117
가. 영어교사 양성, 선발, 연수 관련 정책 = 117
나. 수업 컨설팅 지원 정책 = 119
다. 교육과정 개정 관련 제언 = 119
참고문헌 = 121
ABSTRACT = 131
부록 = 133
〈부록 1〉 수업 관찰 양식 = 135
〈부록 2〉 수업 능력 자가진단 점검표 = 137
〈부록 3〉 교사 A: 수업 관찰 노트 발췌 = 140
〈부록 4〉 교사 B: 수업 관찰 노트 발췌 = 149
〈부록 5〉 교사 C : 수업 관찰 노트 발췌 = 159
〈부록 6〉 교사 D: 수업 관찰 노트 발췌(문법 영역) = 170
〈부록 7〉 교사 D: 수업 관찰 노트 발췌(코퍼스 활용) = 186
〈부록 8〉 교사 E: 수업 관찰 노트 발췌 = 196
〈부록 9〉 교사 F: 수업 관찰 노트 발췌 = 208
〈부록 10〉 교사 G: 수업 관찰 노트 발췌 =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