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변화하는 미디어의 사회적 책임'을 내면서 = 3
제1장 서론 = 9
제2장 현대 민주주의 이론과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 18
1. 서론 : 문제제기 = 18
2.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의 지향점 = 19
3. 사회적 책임에서 어카운터빌리티로의 전환이 지니는 의미 = 24
4.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의 이론적 공과(功過) = 29
5.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개념의 체계화를 위한 제언 = 32
1) 공공성 원리에 입각한 언론의 규범이론 = 32
2) 언론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 = 36
3) 언론인의 전문가주의적 직업윤리 = 38
6. 결론 및 논의 = 39
제3장 언론의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제도적 장치 = 43
1. 문제 제기 : 언론의 자유에서 언론의 적극적 책임 구현으로 = 43
2.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시스템(MAS, Media Accountability System) = 44
1) 왜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시스템인가? :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의 개념과 필요성 = 44
2)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시스템(MAS)의 구성 = 47
3)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시스템 사례 = 47
4)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시스템에 대한 비판과 장애요소 = 49
5) 법과 윤리의 문제 = 54
3. 외국의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시스템 = 56
1)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시스템의 모범사례들 = 56
2) 국가별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시스템 = 57
4. 한국의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시스템 : 개관 및 제언 = 80
1) 한국의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시스템 개관 = 80
2) 한국의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시스템을 위한 제언 = 82
제4장 수용자복지 정책 제도화를 위한 개념적 접근 : 수용자복지 정책의 행위 및 성과분석모델 = 87
1. 들어가는 말 : 유비쿼터스에 대한 질문 = 87
2. 미디어와 수용자 위상 : 이익(interest), 권리(right), 복지(welfare) = 88
3. 미디어환경의 기존 분석틀 : 시장모델과 공론장 모델 = 91
1) 시장모델과 공론장 모델의 비교 = 91
2) 시장모델의 한계 = 93
3) 공론장 모델의 한계 = 97
4. 융합 환경에서의 '수용자복지' 재조명 = 98
1) 신규시장 확산과 수용자복지 개념의 등장 = 98
2) 시민권, 사회권, 수용자복지 = 101
3) 수용자복지 개념의 구성요소 = 104
4) 새로운 수용자복지 개념에서의 수용자 위상 = 108
5. 새로운 수용자복지 개념의 정책적 적용 : 수용자복지 정책의 행위 및 성과분석모델 = 109
1) 정책의 주체 = 111
2) 정책의 대상 : 선별적 접근과 보편적 접근 = 112
3) 정책의 내용 = 113
4) 정책의 목표 = 117
5) 정책의 집행방식 : 징수와 배분 = 118
6) 정책모델의 효용성 = 118
6. 요약 및 결론 = 119
제5장 디지털 시대 수용자복지 정책의 목표와 추진전략 = 123
1. 서론 = 123
2. 수용자복지 정책의 이념 정립 = 124
1) 방송 통신의 융합과 방송의 규제논리 = 124
2) 공익성 이념과 수용자 복지의 관계 = 128
3. 수용자복지 정책의 목표와 추진방향 = 134
1) 디지털시대 시청자 복지의 전망 = 134
2) 수용자복지 정책의 목표 = 139
3) 수용자복지 정책의 추진과제 = 143
4. 결론 및 논의 = 157
제6장 결론 = 163
부록 1.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연구 포럼 = 173
〔발제문〕 언론의 책임성 저하 현상 및 제고 방법에 대한 고찰 = 173
1. 글머리에 = 173
2. 언론의 책임성 부재 = 175
3. 언론계 내부의 자율규제 = 183
4. 언론의 책임에 관한 법적 규제 = 192
5. 수용자운동의 활성화 = 199
6. 맺음말 = 202
〔토론문 1〕 언론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찰 = 206
1. 언론의 사회적 기능과 공론장 공정성의 문제 = 206
2. 언론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실천적 제언 = 209
3. 언론운동단체에 대한 당부 = 210
〔토론문 2〕 훌륭한 저널리즘=훌륭한 사업 = 212
〔토론문 3〕 오보대응을 위한 언론중재제도와 미디어의 책임 = 214
1. 헌법상 언론의 책임 = 214
2. 언론보도의 타 법익침해 = 214
3. 언론사의 책임 : 구제방법 = 215
4. 제언 = 216
〔토론문 4〕 언론의 책임 = 217
〔토론문 5〕 MEDIA ACCOUNTABILITY와 상호 매체비평의 활성화 = 220
1.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와 매체비평 = 220
2. 매체비평의 역할 = 221
3. 뉴 미디어와 ACCOUNTABILITY = 222
〔토론문 6〕 미디어 책임성(media accountability) = 223
1. accountability 개념에 관한 논의 = 223
2. 왜 언론매체에게 accountability를 요구해야 하는가? = 224
3. 누구의 accountability인가? = 225
4. 무엇을 위해 책임질 것인가(accountable for what) = 226
5. 누구에 대한 책임인가(accountable to whom) = 226
6.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언론매체가 accountable 하도록 만들 것인가? = 227
부록 2. 수용자복지 연구 포럼 = 230
〔발제문〕 현장에서 본 뉴미디어와 수용자 복지 = 230
1. 머리말 = 230
2. 수용자가 본 위성방송 3년 = 231
3. 무엇이 문제인가 = 236
4. 수용자복지 증진을 위해 = 238
〔토론문 1〕 뉴미디어 도입정책의 기본성격 - 매체의 난개발 = 240
〔토론문 2〕 이제 수용자의 요구에 기초한 디지털 공공성을 이야기 할 때다 = 245
〔토론문 3〕 방송통신융합시대 - 수용자복지 증진 방안 = 250
1. 방송통신 융합이 수용자복지를 위협하는 요소 - 한정된 시장 속의 이전투구 = 250
2. 방송통신 융합이 수용자복지를 위협하는 요소 - 콘텐츠 빈곤의 악순환 = 252
3. 수용자복지 -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 254
〔토론문 4〕 뉴미디어와 수용자복지 발제에 부쳐 = 257
〔토론문 5〕 뉴미디어와 수용자 복지 = 260
〔토론문 6〕 소비자로서의 수용자복지 =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