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자치행정론 서설
제1장 자치행정의 의미와 특징 = 15
제1절 자치행정의 의미 = 15
제2절 자치행정의 핵심 요소 = 23
제3절 자치행정의 지향성 = 25
제4절 자치행정론의 특징 및 이 책의 구성 = 28
제2장 자치행정과 단체장 = 31
제1절 지방자치단체장과 리더십 = 31
제2절 일본 도쿄도의 미노베 지사와 스즈키 지사 = 32
제3절 서울특별시의 고건 시장과 이명박 시장 = 34
제4절 자치행정과 단체장의 역할: 단체장은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 37
제3장 자치단체와 CI(City/Identity) = 39
제1절 국가 간 경쟁에서 지방정부 간 경쟁으로 = 39
제2절 CI의 의미 = 42
제3절 CI 기능 활성화 전략: 서울시를 중심으로 = 67
제4절 맺음말 = 76
제2부 자치단체의 조직 및 인력관리
제4장 자치단체의 행정진단 = 81
제1절 머리말 = 81
제2절 진단의 필요성 = 82
제3절 진단 유형 = 83
제4절 진단의 방법 및 절차 = 88
제5절 맺음말 = 96
제5장 자치단체의 조직 및 인력관리 = 98
제1절 공공조직과 파킨슨 법칙 = 98
제2절 공공조직의 팽창과 용수철 이론 = 99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인력 및 조직관리 특성 = 102
제4절 조직 및 인력관리 방향 = 106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인력ㆍ조직 관리 방안 = 109
제6절 맺음말 = 119
제6장 공무원의 전문성 제고와 보직경로제 = 120
제1절 머리말 = 120
제2절 공무원에 대한 전문성의 의미 = 122
제3절 공무원의 인력관리 실태: 도시계획 분야 = 127
제4절 공무원의 전문성 정도와 전문성 저해 요인: 서울시의 경우 = 131
제5절 전문 보직경로제의 도입 = 134
제6절 맺음말 = 144
제3부 성과 중심의 행정
제7장 성과측정의 의의와 주요 내용 = 147
제1절 성과측정의 의의와 구성 요소 = 147
제2절 성과측정의 주요 내용 = 150
제8장 미국 지방정부의 성과측정 = 165
제1절 대중교통 분야 = 165
제2절 보건위생 분야 = 172
제3절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서비스 분야 = 176
제4절 소방 서비스 분야 = 189
제5절 재정 분야 = 198
제6절 지방정부의 행정 성과측정: 미국 미시간 주의 플린트 시와 펜실베이니아 주 지역계획위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 212
제7절 지방의회 사무조직(사무국)의 성과측정 = 222
제9장 영국 지방정부의 성과측정 = 229
제1절 영국 지방정부의 성과 지향적 행정 = 229
제2절 런던의 서비스 성과측정 = 230
제3절 시사점 = 235
제10장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성과측정과 과제 = 237
제4부 행정의 경영화
제11장 자치행정의 경영화 = 243
제1절 경영체로서의 자치단체 = 243
제2절 경영화의 등장 배경과 의미 = 246
제12장 자치단체의 업무와 아웃소싱 = 257
제1절 머리말 = 257
제2절 지방정부에서 아웃소싱 = 258
제3절 아웃소싱 대상 업무의 발굴과 이를 위한 모형 개발 = 260
제4절 사례분석 = 266
제5절 맺음말 = 275
제13장 민간위탁과 그 효과: 서울시 탄천하수처리장을 중심으로 = 277
제1절 공공 서비스의 공급과 민간위탁 = 277
제2절 민간위탁의 필요성과 민간 참여 방법 = 278
제3절 탄천하수처리장의 위탁 과정 및 개요 = 283
제4절 탄천하수처리장 평가와 관련한 평가 개요 및 평가지표 = 285
제5절 탄천하수처리장 평가 = 289
제6절 평가 결과 요약 및 정책적 함의 = 302
제14장 일본 지방정부의 경영 사례 = 306
제1절 주식회사 고베 시(株式會社 神戶市) = 306
제2절 고베 시 농업공원(神戶市 農業公園) = 315
제3절 가나가와 과학공원(Kanagawa Science Park) = 323
제4절 도야마 현 도가무라(富山縣 利賀村) = 335
제5절 후쿠이 현 오이마치(福井縣 大飯町)의 원자력발전소 = 346
제6절 지역활성화센터와 공영기업금융공고 = 354
제15장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경영 사례: 서울시 월드컵경기장사업단을 중심으로 = 365
제1절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개요 = 366
제2절 건설 및 관리 운영 주체 = 368
제3절 수지 실태 분석 = 370
제5부 자치행정의 역량 제고
제16장 한국 지방자치 10년의 성과와 과제 = 377
제1절 지방자치 10년의 회고 = 377
제2절 민선자치 10년의 성과 = 378
제3절 민선자치 지난 10년의 반추 = 383
제4절 향후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과제 = 386
제5절 더욱 성숙된 지방자치를 향해 = 392
제17장 지방자치제 실시와 지방세 징수 효과 = 394
제1절 머리말 = 394
제2절 지방세 징수와 관련한 선행 연구 및 연구 가설 = 395
제3절 지방세 징수 실태 분석: 서울특별시의 경우 = 400
제4절 서울시 지방세 징수율의 변화 요인 분석 = 414
제5절 맺음말 = 418
제18장 지방자치 시대 정부간 관계: 도쿄도와 특별구와의 관계 조명 = 421
제1절 지방자치 시대의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 421
제2절 도쿄도 특별구 제도의 특성 = 422
제3절 도쿄도 특별구가 처리하는 사무 = 423
제4절 특별구의 재정 = 425
제5절 도쿄도로부터의 교훈 = 429
제19장 미국 지방정부의 행정개혁 = 431
제1절 미국 지방정부의 당면 과제와 도전 = 432
제2절 지방정부 개혁의 길 = 435
제3절 맺음말 = 466
제6부 참여행정과 자치행정의 미래
제20장 함께 다스림(governance)과 시민 참여 = 471
제1절 지방정부와 정책 결정 = 471
제2절 함께 다스림(governance)의 의미 = 472
제3절 자치단체에서의 함께 다스림(local governance)과 시민 참여 = 480
제4절 로컬 거버넌스적 시각에서 본 시민 참여 사례분석: 서울특별시의 시정 참여사업을 중심으로 = 484
제5절 맺음말 = 505
제21장 정책 과정에서의 NGO 역할 = 507
제1절 머리말 = 507
제2절 NGO의 현황과 변수의 선정 = 509
제3절 설문지의 구성과 신뢰도 분석 = 517
제4절 NGO의 역할 분석 = 520
제5절 맺음말 = 532
제22장 미래의 자치행정 = 534
제1절 새로운 도전 = 534
제2절 향후 자치행정의 키워드 = 535
제3절 향후 자치행정의 방향: 민원행정을 통해 본 과거와 현재 및 미래 = 538
제4절 미래 자치행정의 모습 = 542
제5절 맺음말 = 544
참고 문헌 = 545
찾아보기 = 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