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슬로푸드, 맛있는 혁명

슬로푸드, 맛있는 혁명 (Loan 4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Petrini, Carlo, 1949- 김종덕, 역 황성원, 역
Title Statement
슬로푸드, 맛있는 혁명 / 카를로 페트리니 ; 김종덕, 황성원 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이후,   2008  
Physical Medium
344 p. ; 23 cm
Varied Title
Buono, pulito e giusto : principi di nuova gastronomia
ISBN
978896157009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부록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Gastronomy Food habits
주제명(개인명)
Petrini, Carlo,   1949-  
000 01090namcc2200337 c 4500
001 000045440593
005 20121210150934
007 ta
008 080513s2008 ulk b 000c kor
020 ▼a 9788961570091 ▼g 0332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h ita
082 0 4 ▼a 641/.01/3 ▼2 22
085 ▼a 641.013 ▼2 DDCK
090 ▼a 641.013 ▼b 2008
100 1 ▼a Petrini, Carlo, ▼d 1949- ▼0 AUTH(211009)85707
245 1 0 ▼a 슬로푸드, 맛있는 혁명 / ▼d 카를로 페트리니 ; ▼e 김종덕, ▼e 황성원 역
246 1 ▼i 영어번역표제: ▼a Slow food nation : ▼b the creation of a new gastronomy
246 1 9 ▼a Buono, pulito e giusto : ▼b principi di nuova gastronomia
260 ▼a 서울 : ▼b 이후, ▼c 2008
300 ▼a 344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과 부록수록
546 ▼a 이탈리아어로 된 원저작이 영어로 번역되고, 이것을 다시 한글로 번역
600 1 0 ▼a Petrini, Carlo, ▼d 1949-
650 0 ▼a Gastronomy
650 0 ▼a Food habits
700 1 ▼a 김종덕, ▼e▼0 AUTH(211009)48737
700 1 ▼a 황성원, ▼e▼0 AUTH(211009)80298
900 1 0 ▼a 페트리니, 카를로, ▼e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114703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11470316 Availability Damaged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410707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211704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2117047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310359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114703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11470316 Availability Damaged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410707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211704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2117047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Call Number 641.013 2008 Accession No. 1310359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계를 여행하면서, 여러 사람들이 먹을거리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는지, 그 방법이 파괴적인지 성공적인지를 보고, 「일기」형식으로 이들의 이야기들을 남겼다. 명망가들, 왕실 요리사들의 문헌, 시골 마을 오래된 맛집, 유기농 장터에서 만난 청년들의 이야기까지 담았다.

우리가 먹을거리에 대한 통제를 되찾으려면, 첫째, 먹을거리는 건강에 이롭고 맛있어야 하며, 둘째, 먹을거리는 깨끗해야 함과 동시에 환경을 염두에 두면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되어야 하고, 셋째, 먹을거리는 공정해야 하며, 사회정의의 관점에서 생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먹는 것이 우리를 말해 준다!

저자는 이 책을 “생각들을 발전시키고, 의식 수준을 올리며, 열정을 키우”기 위해서 썼다고 밝혔다. 그러기 위해서 카를로 페트리니는 세계를 여행하면서, 여러 사람들이 먹을거리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는지, 그 방법이 파괴적인지 성공적인지를 직접 목격했다. 그는 책 전체에 「일기」형식으로 이들의 이야기들을 구체적으로 남겨 놓았다. 명망가들은 물론이고, 캘리포니아의 유명한 식당 ‘셰 파니스’의 주인 앨리스 워터스부터 왕실 요리사들의 문헌, 시골 마을 오래된 맛집, 유기농 장터에서 만난 청년들의 이야기까지 빼곡하게 담았다.
카를로 페트리니는 또한 우리가 먹을거리에 대한 통제를 되찾으려면, 첫째, 먹을거리는 건강에 이롭고 맛있어야 하며, 둘째, 먹을거리는 깨끗해야 함과 동시에 환경을 염두에 두면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되어야 하고, 셋째, 먹을거리는 공정해야 하며, 사회정의의 관점에서 생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금까지 먹을거리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은 여러 권 나와 있으나, 로컬푸드, 공정무역, 도농 협력 등의 주제를 ‘즐거움’이라는 영역에 넣어 ‘슬로푸드’적 관점으로 풀어 놓은 책은 없었다. 카를로 페트리니의 책이 특별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궁극적으로 이 책은 우리에게 희망을 제공한다. 이 책은 먹을거리가 우리와 지구, 그리고 서로와 서로를 연결하는 새로운 체계, 새로운 세계 건설의 기초가 된다는 것을 알려 준다.

세계적 생태주의자.환경주의자를 미식학의 세계로 이끌다

이 책은 무엇보다 미식가와 미식학의 새로운 정의에 대한 카를로 페트리니의 노력이 돋보인다. 단지 먹을 것에 탐닉하는 자들, 맛있는 것에만 빠져 사회 환경에는 관심이 없는 자들로 고정되어 있는 ‘미식가’를, 건강한 생산에 개입하고 깨끗한 먹을거리 유통에 앞장서는 선각자들의 이미지로 바꾸어 놓았던 것이다.
일례로 저자는 「식량의 미래에 대한 선언문」을 작성하는 자리에서 반다나 시바, 프란시스 무어 라페, 에드워드 골드스미스 등 쟁쟁한 환경운동가를 만났다. 처음에는 미식가적 관점, 먹을거리를 ‘즐거움’의 관점에서 보려 하는 카를로 페트리니를 뜨악해하던 그들도 마침내 이 유쾌한 이탈리아 남자에게 설득 당했다. 선언문에 “식량을 직접 재배하는 경험과 지역에서 지역민들의 손에서 자란 음식을 나누는, 오래되고 축복받은 즐거움이 사라지게 되었다.”는 문구를 넣은 것은 “먹는 것은 즐거워야 한다!”는 저자의 줄기찬 주장 덕분이었다.
카를로는 미식학을 “음식과 그것을 만드는 모든 자연적이며 인공적인 시스템에 대한 연구”로 정의한다. 이를 통해 카를로는 우리가 새로운 과학을 이해하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 따라서 미식학 분야는 바로 지구상에 사는 생물종으로서의 인류 생존에 관한 연구이기도 하며, 어떤 전통적인 사회과학보다도 훨씬 광범위한 과학이다. 미식학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모든 과목의 연구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조직하고 활기를 불어넣을 수도 있다. 그러면서 경제학이 우울한 학문이라면 미식학은 확실히 흥겨운 학문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미식학은 즐거움을 누릴 보편적인 권리를 확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를로 페트리니는 다른 어떤 기준보다 ‘즐거움’을 앞세운다. 즐거운 혁명, 맛있는 혁명! 그것이 바로 저자가 주장하는 새로운 미식학의 세계로 가는 지름길이다.

‘슬로푸드의 제국’으로 가는 길

『페스트푸드의 제국』을 쓴 에릭 슬로셔는 이 책을 두고 “사회정의, 환경과 좋은 식단의 기본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 읽어야 할 필독서”라고 극찬했다. 패스트푸드가 왜 나쁜지, 먹지 말아야 하는 까닭이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고민했던 에릭 슬로셔도 ‘슬로푸드’라는 결론까지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패스트푸드 제국 그 다음에 올, 미래 세대들에게 남겨 주어야 할 세상은 어떤 모습일지 먹을거리를 중심으로 고민하던 카를로 페트리니는 '슬로푸드‘라는 화두를 지구인에게 던져 주었다. 오랫동안, 사라져 가는 지역 문화에 관심을 기울여 왔던 사람이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미식가‘에 두고 있었으며, 거기에 생태주의를 접목시킬 수 있었던 명민한 사람이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페트리니는 슬로푸드 세상을 열기 위해서는 첫째, 사람들이 미식가로서 교육받아야 하며, 둘째, 농부만이 아니라 소비자 또한 공동 생산자가 되어야 하며, 셋째, 현대의 산업복합체, 전통 영농 방법과 문화 등, 서로 다른 영역들 사이의 유기적인 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세기의 신인류, 미식가

저자는 생태학적 학식을 갖추는 것은 식물학자나 물리학자, 화학자나 사회학자, 농부나 요리사, 의사가 아니라 바로 미식가의 책임이라고 말한다. 미식가는 음식과 관련된 각 전문가들의 지식을 조금씩 갖추어야 한다. 어떤 특정한 식물을 알아보고, 그것을 누가, 어떻게 어디에서 재배했는지, 그것이 건강에 좋은지 나쁜지, 어떻게 보관하고 요리하는지 알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건강한 먹을거리를 먹는 것이 부유한 엘리트의 특권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하고, 가난한 사람들은 단지 생존하기 위해 먹어야 하고, 즐거움을 경험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그래서 원재료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 농업 방식, 생산 지역, 사용된 운송의 형태, 생산의 전 과정에서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에 대한 존중이 접목되었는지 공개하고 음식에 그것을 표시하게 만드는 것은 우리 시대 새로운 미식가의 과제다.
자동차에 기름을 넣는 것과 음식을 먹는 행위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음을 아는 것, 그것이 미식가로 새로 탄생할 수 있는 출발점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카를로 페트리니(지은이)

전 세계 150개국에 1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한 국제운동단체 ‘슬로푸드’를 설립한 인물이자, ‘테라마드레’, ‘살로네 델 구스토’ 등 슬로푸드 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카를로 페트리니는 1980년대 중반 로마에 맥도날드 매장이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는 데 앞장선 일로 유명해졌다. 과거에 공산주의 운동에 적극 참여했으나 현재는 이탈리아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정당인 민주당 당원이다. 2004년에는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를 뒷받침할 새로운 미식가와 먹거리 혁신자를 양성하기 위해 미식과학대학을 설립했다. 그해에 《타임》은 그를 ‘올해의 영웅’ 중 한 명으로 선정했고, 유엔은 그를 ‘지구의 전사’라고 불렀다. 2016년 5월, 유엔은 그를 ‘FAO 기아퇴치 유럽 특별대사’로 임명했다. 지은 책으로 《슬로푸드Slow Food》, 《슬로푸드 제국Slow Food Nation》(한국에는 《슬로푸드, 맛있는 혁명》으로 소개되었다), 《슬로푸드 혁명Slow Food Revolution》 등이 있다.

김종덕(옮긴이)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를 거쳐 같은 곳에서 명예 교수로 있습니다. 또 국제슬로푸드 한국협회 회장을 맡고 있습니다. 사회학의 관점에서 로컬 푸드와 슬로푸드, 대안농업 등을 연구하고 있고, 음식시민과 먹을거리 공동 생산자를 키우는 음식 교육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주요 저서로는 『생각이 크는 인문학14 음식』,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아야 할 교양: 음식문맹, 왜 생겨난 걸까?』, 『음식문맹자, 음식시민을 만나다』, 『먹을거리 위기와 로컬 푸드』, 『슬로푸드 슬로라이프』 등이 있습니다.

성원(옮긴이)

책을 통해 사람을 만나고 세상을 배우는 게 좋아서 시작한 일이 어느덧 업이 되었다. 책을 통한 사색만큼 물질성이 있는 노동을 사랑한다. 옮긴 책으로 《부모가 된다는 것의 철학》《채소를 기르자》《이것은 어느 늑대 이야기다》《자본의 17가지 모순》《백래시》《혼자 살아가기》 등이 있다. 《공기 전쟁》으로 한국과학기술도서 우수번역상을 수상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추천하는 글 : 음식을 바꾸면 세상이 바뀐다! / 앨리스 워터스 = 10
여는 글 : 변화할 수 있다는 굳건한 확신을! / 카를로 페트리니 = 14
1부 무엇을 먹을 것인가? = 19
 일기 1 고추와 튤립 = 20
 일기 2 멕시코 떼우아깐 = 23
 일기 3 프랑스 라귀올 = 28
 1장 정치보다 이윤, 문화보다 경제, 질보다 양인 시대 = 32
 2장 운명 공동체 - 자연과 인간, 그리고 먹을거리 = 36
 3장 유엔의 '밀레니엄 생태계 평가' = 38
 4장 식량 생산량보다 중요한 것 = 42
 5장 이래도 농산업을 고집하겠는가 = 45
 6장 지구를 위한 새로운 농업 = 48
 7장 우리가 먹는 것이 우리를 말해 준다 = 51
2부 미식학, 그리고 새로운 미식학 = 53
 일기 4 나의 미식학 스승 - 작가, 생산자, 소비자 = 54
 8장 미식학 = 60
 일기 5 앨리스 워터스 = 74
 일기 6 「식량의 미래에 대한 선언문」을 작성하면서 = 77
 일기 7 즐거움과 건강 = 83
 9장 새로운 미식학의 정의 = 85
3부 온전한 음식 = 129
 일기 8 내 기억 속의 맛 = 133
 10장 좋은 음식 = 137
 일기 9 인도의 참새우 떼 = 155
 11장 깨끗한 음식 = 160
 일기 10 녹색 캘리포니아 = 181
 12장 공정한 음식 = 188
4부 슬로푸드를 향한 세 가지 실천 = 201
 일기 11 먹을거리에 대한 토론 = 202
 13장 미식가 교육 = 205
 일기 12 모로쪼의 닭, 케이폰 지키기 = 222
 14장 공동 생산자 되기 = 225
 일기 13 알버트 하워드 경 = 241
 15장 서로 다른 영역들 사이의 대화 = 244
 16장 어떤 의미에서 후퇴인가? = 260
5부 슬로푸드, 맛있는 혁명 = 263
 일기 14 사미와 몽골 사람들 = 265
 17장 미식가 네트워크 만들기 = 268
 일기 15 샌프란시스코와 바자르도의 연결 = 282
 18장 미식가 네트워크의 변화 = 287
 일기 16 치아파스, 록펠러, 풀리아의 소농들 = 296
 19장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식량 유통 체계 = 301
 일기 17 시골의 후한 인심 = 315
 20장 미식가 네트워크를 위한 새로운 가치 창조 = 318
맺는 글 : 미식학은 행복이다! = 326
부록 : 식량의 미래에 대한 선언 = 333
참고문헌 = 336
옮긴이의 글 : 음식 문맹자에서 음식 시민으로 / 김종덕 = 33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강성국 (2022)
김다은 (2022)
辻調理師専門学校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