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여론조사의 비밀 (4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우종
서명 / 저자사항
여론조사의 비밀 / 유우종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궁리 ,   2008.  
형태사항
258 p. : 삽도 ; 22 cm.
기타표제
우리의 일상을 조종하는 보이지 않는 권력자, 여론조사의 모든 것!
ISBN
9788958201250
일반주기
색인수록  
Welcome to amazing polland  
000 00627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40591
005 20100806094106
007 ta
008 080513s2008 ulka 001a kor
020 ▼a 978895820125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03.38 ▼2 22
090 ▼a 303.38 ▼b 2008
100 1 ▼a 유우종
245 1 0 ▼a 여론조사의 비밀 / ▼d 유우종 지음.
246 0 3 ▼a 우리의 일상을 조종하는 보이지 않는 권력자, 여론조사의 모든 것!
260 ▼a 서울 : ▼b 궁리 , ▼c 2008.
300 ▼a 258 p. : ▼b 삽도 ; ▼c 22 cm.
500 ▼a 색인수록
500 0 ▼b Welcome to amazing polland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38 2008 등록번호 1114703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38 2008 등록번호 1114703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3.38 2008 등록번호 1211704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3.38 2008 등록번호 1211704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38 2008 등록번호 1512596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38 2008 등록번호 1114703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38 2008 등록번호 1114703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3.38 2008 등록번호 1211704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3.38 2008 등록번호 1211704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38 2008 등록번호 1512596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대리서치, 한국갤럽, 메트릭스 등 국내 주요 조사기관에서 근무한 경험을 살려 여론조사의 진행과정 내부를 보도록 집필했다. 조사의 시작부터 설문, 실사, 전산, 보고 등 여론조사 전 과정에 대한 설명과 현실여론조사에 관한 주제들을 함께 다루면서, 전체적으로 민주주의와 여론을 하나의 종교로 바라본다.

정부의 정책은 여러 여론조사의 결과일 경우가 많다. 정부 각 부처와 수백 개의 공직 유관단체는 끊임없이 각종 여론조사를 실시한다. 결정적으로 정부의 정책은 누가 지도자로 당선되는가 혹은 어느 정당이 집권하느냐에 의해 좌지우지된다.

여론조사에는 사회과학의 모든 지식이 집약되어 있다. 질문을 구성하는 과정에는 심리학과 어문학이, 누구를 조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과 그 결과를 모아 처리하는 방법에는 엄밀한 논리와 수리적 방법이 동원된다. 통계학은 그 과정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학문이다.

여론조사의 미래가 ‘정보화’, ‘세계화’라는 거대한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제 곧 사라질 출구조사의 비극적 미래도 이러한 정보화의 결과이다. 그렇다면 여론조사는 새로운 시대에 어떻게 적응하게 될까?

새롭게 번성하는 조사는 새로운 신 ‘자본’, 즉 돈을 위해 봉사하는 조사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돈이 가는 곳을 예언해주는 조사, 그래서 그곳에 또 다른 돈이 가도록 인도하는 조사, 돈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려주는 것이 미래의 조사다.

치인들이 말하는 ‘국민의 뜻’이란 과연 무엇일까?
다수 대중, 의견과 생각이 모두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어떻게 하나로 알 수 있단 말인가?

2006년 대통령의 신임을 받던 총리가 물러났다. 하지만, 실세 총리 사임의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은 대통령이 아니었다. 몇 줄의 여론조사 기사가 그 배경에 있었다. 그 여론조사를 통해 국민은 자신이 총리에게 부여한 신임을 거두었다는 것을 알렸다. 대통령의 신임은 얻었으나 국민의 신임을 잃은 총리는 곧 사임했다.

언론매체에서 ‘여론(조사)’라는 단어가 하루라도 오르내리지 않은 날이 없다. 신문과 방송 곳곳에서 매일 ‘여론조사에 의하면……’이라는 어구를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총선 때는 더더욱 이와 관련된 뉴스들이 많았는데, 특히 총선을 마친 뒤 출구조사, 여론조사가 크게 빗나가 비난을 받았다는 소식은 주목할 만했다. 또한 정부의 정책은 여러 여론조사의 결과일 경우가 많다. 정부 각 부처와 수백 개의 공직 유관단체는 끊임없이 각종 여론조사를 실시한다. 결정적으로 정부의 정책은 누가 지도자로 당선되는가 혹은 어느 정당이 집권하느냐에 의해 좌지우지된다. 어느 정당에서 누가 대선후보로 나서는가가 여론조사로 결정될 뿐 아니라, 정당 간의 후보 단일화도 여론조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사람들이 누구를 찍을지도 직·간접적으로 조사결과의 영향을 받는다.

정치 분야에서 ‘나’를 향해 시선을 돌려보면, 내가 마시는 커피 한 잔, 내가 바르는 화장품, 내가 일하는 곳의 정책 등에서도 여론조사는 힘을 발휘한다. 이처럼 여론조사가 우리 주변에서 생활의 안팎을 채울 뿐 아니라, 현재의 안위와 미래의 복지까지 결정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그리고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그리고 도대체 여론조사는 믿을 만한 것일까? 어떤 과정을 통해 조사결과가 나올까?

저자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김대중 대통령과 김영삼 대통령의 비서관 인사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대리서치, 한국갤럽, 메트릭스 등 국내 주요 조사기관에서 근무한 경험을 살려 독자들이 여론조사의 진행과정 내부를 쉽게 들여다볼 수 있도록 집필했다. 저자는 조사의 시작부터 설문, 실사, 전산, 보고 등 여론조사 전 과정에 대한 설명뿐만 아니라, 현실여론조사의 흥미있는 주제들을 함께 다루면서, 전체적으로는 민주주의와 여론을 하나의 종교로 바라보는 독특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민주주의를 하나의 종교로, 여론을 신으로 보는 관점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데, 여기에 대중을 신으로 하는 민주주의와 돈을 신으로 삼는 자본주의의 관계를 통해 사회의 앞날과 조사의 미래를 조망하고 있다.

여론조사에는 사회과학의 모든 지식이 집약되어 있다. 질문을 구성하는 과정에는 심리학과 어문학이, 누구를 조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과 그 결과를 모아 처리하는 방법에는 엄밀한 논리와 수리적 방법이 동원된다. 통계학은 그 과정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학문이다. 그리고 여론조사가 실시되는 각 분야의 지식이 필요하다. 정책에 대한 조사라면 정책에 관한 지식이, 과학에 대한 조사라면 과학 지식이, 정치에 대한 조사라면 정치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에서 현대사회가 지원할 수 있는 각종 시설과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동원된다. 우리가 여론조사를 신뢰하는 기본적인 이유는 여론조사가 객관성과 과학성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일 것이다. 여론조사 결과도 나름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며, 그 단계는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구분된다. 마치 하나의 식물이 씨앗과 싹, 줄기와 꽃의 과정을 거쳐 열매를 맺는 것처럼 여론조사의 결과도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다. 여론조사의 진행과정을 이해하면 우리가 매일 접하는 여론조사의 수치 이면에 무엇이 있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저자는 여론조사의 미래가 ‘정보화’, ‘세계화’라는 거대한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이라고 예측하면서, 이제 곧 사라질 출구조사의 비극적 미래도 이러한 정보화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여론조사는 새로운 시대에 어떻게 적응하게 될까? 저자는 먼저, 새롭게 번성하는 조사는 새로운 신 ‘자본’, 즉 돈을 위해 봉사하는 조사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돈이 가는 곳을 예언해주는 조사, 그래서 그곳에 또 다른 돈이 가도록 인도하는 조사, 돈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려주는 것이 미래의 조사다. 이때 시민들에겐 ‘주권자’란 낡은 이름보다는 ‘소비자’라는 새 이름이 더 어울린다. ‘여론’조사는 도태되고 대신 ‘소비자’조사가 번성하는 셈이다. 저자는 여기에 인터넷을 서핑하며 어떤 즐거움과 재밋거리를 찾으려는 사람들을 가리키며, 조사가 이들의 놀이상대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도 말한다. 다양한 질문을 해주고 그 결과를 색색의 도표로 보여주는 ‘어린이의 친구 폴(Poll the Friend of Kids)’. 그것이 조사의 또 다른 미래라는 것이다. 스포츠, 연예 그리고 이미 시들어버린 정치도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고객 만족도 조사’ 등의 과도기적 조사들이 앞으로도 계속 살아남을 수 있을까? 우리 각자가 비록 여론조사에서 0.1% 정도의 미미한 비중을 차지한다 할지라도, 미래의 조사도 우리 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금도 계속 진행중인 여론조사의 탈바꿈에 우리는 어떤 형태로 참여하게 될까?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7
1 여론조사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 15
 여론은 민주사회의 신이다 = 17
  인간-종교적 동물 = 17
  민주주의-새로운 종교 = 21
  여론-민주사회의 신 = 24
 여론조사도 신의 뜻을 알아내다 = 27
  민주주의 딜레마 = 27
  불완전한 해결 = 28
  여론조사의 탄생 = 31
2 여론조사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 41
 의문이라는 씨앗 = 43
  조사는 의문에서 시작된다 = 43
  조사를 이끌어가는 사람들 = 43
 씨앗 심기 ─ 설문을 만들자! = 47
  설문의 미묘한 차이 = 47
  설문은 누가 만드는가 = 50
  어떤 설문을 만드는 것이 좋은가 = 52
  당신의 나이는? 출생지? 소득과 학력은?-SQ와 DQ = 54
  나도 한번 나가볼까?-선거 출마자들이 사용하는 질문 = 57
  좋은 설문, 위험한 설문 = 64
 나무를 보면 열매를 안다 ─ 실사과정 = 71
  조사, 여론을 만나다 = 72
  실사실 - 여자들의 나라 = 74
  실사 전문회사 = 76
  실사 준비물 = 77
  자, 이제 시작이다-면접원 교육 및 조사 = 78
  어려운 마무리 = 82
 숫자의 꽃 속에 열매가 있다 ─ 전산(통계)처리 = 89
  쉽게 이해하는 전산과정 = 89
  몇 가지 명령어 = 92
  만약 주문을 잘못 외우면? - 뒤바뀐 결과 = 98
  전산과정의 주요 등장인물 = 100
  여론, 드디어 입을 열다 = 100
 열매 거두기 ─ 보고서 작성 = 105
  메마른 숫자에 ‘말의 살과 그림의 옷’을 입히다 = 105
  보고서 작성과정의 주연과 조연 = 110
  산 보고서, 죽은 보고서 = 110
  당신이 원하는 것은? = 112
3 알수록 재미 있는 여론조사 주제들 = 115
 여론기사 잘 쓰고 잘 읽기 = 117
  여론, 총리를 해고하다 = 117
  센스 있는 여론기사 = 124
  여론기사 읽기 = 133
  수치와 함께 보는 여론기사 = 144
 CATI와 ARS 조사 = 155
  전화조사의 적자(嫡子), CATI = 155
  욕먹는 조사기계, ARS = 158
 여론조사를 믿을 수 있는가 = 167
  타당성(정확성)과 신뢰성(안정성) = 168
  좋은 조사기관 판별하는 법 = 171
  조사의 왜곡 = 182
 경선조사 = 189
  조사, 투표를 대신하다 = 189
  성공적인 경선의 비결 = 192
 출구조사 ─ 멸종이 예정된 동물 = 199
  출생 - 궁금증과 조바심의 아들 = 199
  성장 = 201
  예정된 쇠락 = 202
4 여론조사의 앞날 = 207
 민주주의의 미래 = 209
  진보의 단계 = 209
  그리스의 부활 = 211
  누가 리더인가? = 212
  포털 권력 = 215
 전자투표 = 219
  새로운 투표 = 219
  새로운 참여자 = 221
 인터넷 폴 = 225
  여론조사, 투표와 한곳에서 만나다 - 인터넷 조사의 화려한 등장 = 225
  인터넷 조사의 함정 = 230
  함정을 피할 수 있을까? = 235
 새로운 신(神) = 237
  물신의 부활 = 238
  광란의 춤 = 238
  두 주인을 섬길 순 없다 = 241
 조사의 종말 = 243
  국가의 쇠락 = 243
  조사의 종말 = 246
  남아 있는 미래 - 새로운 종 = 247
  다시 처음으로 = 249
주 = 253
찾아보기 = 256

관련분야 신착자료

이규연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