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평생교육의 시대
1. 평생교육의 개념 = 13
2. 평생교육의 배경 = 14
1) 민주사회와 평생교육 = 15
3.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특징 = 18
1) 지식ㆍ정보의 대량화 및 단명화 = 18
2) 학습 주체의 변화 = 19
3) 교육의 확장 = 19
4) 여가의 증대 = 20
5) 비판적 의식 고취 = 21
6) 평생교육의 특징 = 21
제2장 평생교육과 건강
1. 정신건강과 정신위생의 개념 = 24
1) 정신건강의 개념 = 24
2) 건강의 개념 = 35
3) 건강권 보장 = 37
2. 정신건강과 성격 = 38
1) 성격의 의미 = 39
2) 성격이론 = 40
3) 성격형성의 요인 = 57
4) 성격과 적응 = 71
5) 성격과 건강 = 83
3. 건강과 식생활 = 88
1) 건강섭식 = 89
2) 건강과 변비 = 134
3) 건강과 운동 = 150
제3장 평생교육과 부모교육
1. 현대사회와 부모역할 = 181
1) 현대사회의 변동과 부모기의 특성 = 181
2) 부모행동의 결정요인 = 185
3) 부모역할의 특징 = 189
2. 부모교육의 이해 = 194
1) 부모교육의 개념 = 195
2) 부모교육의 역사 = 196
3) 부모교육의 목적 = 198
3. 부모교육이론 = 199
1) 부모 효율성 훈련 = 199
2) 상호교류분석이론 = 215
4. 효(孝) 교육 = 231
1) 효(孝)와 불효(不孝) = 232
2) 효(孝) 행하는 방법 = 245
3) 현대사회의 새로운 효(孝)사상 정립 = 249
4) 효도사례(孝道事例) = 254
5) 현대인이 효행하는 이유 = 265
제4장 평생교육과 뇌
1. 뇌의 비밀 탐구 = 270
1) 뇌손상 환자로부터 배운다 = 271
2) 실험실 동물과 함께 = 274
3) 본다는 것은 보는 것만이 아니다 = 277
2.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뇌 = 278
3. 뇌를 잘 쓰는 아이로 만드는 원칙 = 286
1) 교육의 흐름이 변하고 있다 = 287
2) 부모의 성찰이 천재를 만든다 = 288
3) 뇌를 활용할 것인가, 모셔 둘 것인가? = 289
4) '공부' 잘하는 아이보다 '머리'를 잘쓰는 아이로 = 290
5) 뇌를 잘쓰는 아이로 만드는 원칙 = 290
제5장 평생교육과 직업
1. 삶과 직업 = 293
2. 일의 가치와 목적 = 296
1) 경제적 의미로서의 직업 = 298
2) 사회적 의미로서의 직업 = 298
3) 인간적 의미로서의 직업 = 298
3. 직업의 선택 = 299
1) Parsons의 특성-요인이론 = 299
2) Gizberg의 진로이론 = 300
3) Super의 진로이론 = 301
4) Gottfredson의 진로이론 = 303
5) Tuckman의 진로이론 = 305
6) Tiedeman과 O'Hara의 진로이론 = 306
7) Gelatt의 의사결정이론 = 307
제6장 평생교육과 상담
1. 상담의 필요성 = 314
2. 상담의 개념과 목표 = 315
1) 행동변화의 촉진 = 316
2) 적극적인 정신건강의 증진 = 317
3) 문제의 해결 = 317
4) 내담자의 잠재력 촉진과 개인의 효율성 증진 = 317
5) 의사결정의 증진 = 318
6) 자아개념의 형성 = 318
3. 상담의 원리 = 319
1) 개별화의 원리(individualization) = 320
2) 의도적 감정표현의 원리(purposeful expression of feelings) = 320
3) 통제된 정서의 원리(controlled emotional involvement) = 321
4) 수용의 원리(acceptance) = 321
5) 비심판적 태도의 원리(non judge-mental attitude) = 321
6) 자기결정의 원리(self determination) = 322
7) 비밀보장의 원리(confidentiality) = 322
제7장 평생교육과 죽음
1. 죽음의 두려움 = 326
1) 죽음에의 대비교육 = 326
2) 죽음수용 단계와 임종환자 = 336
3) 호스피스 입원 이유와 통증관리 = 339
제8장 평생교육정책 및 국제적 동향
1. 국제기구에서의 평생교육 정책동향 = 344
1) UNESCO의 평생교육정책 = 344
2) OECD의 평생교육정책 = 347
3) EU의 평생교육정책 = 349
2. 평생교육의 국제적 동향 = 350
1) 독일 = 351
2) 프랑스 = 352
3) 영국 = 353
4) 일본 = 354
5) 미국 = 355
제9장 평생교육기관
1. 평생교육법 = 359
2. 평생교육기관의 유형별 현황 = 361
1) 「평생교육센터」의 설치ㆍ운영 및 지원체제 = 361
2) 사내대학의 인가체제 구축 = 365
3) 한국방송통신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운영체제 구축 = 366
4) 학원의 진흥육성체계 구축 = 368
5) 학점은행제 운영 = 369
제10장 한국교육의 평생교육 체제로의 요구-자발적 학습력을 중심으로
1. 한국교육이 평생교육체제로 전환해야 하는 필요성 = 373
2.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요구 = 374
3.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 자발적 학습력 = 377
4. 학습자의 자발적 학습력 = 382
참고문헌 = 388
찾아보기 =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