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8
Ⅰ. 지성이야기 = 16
1. 지성인 = 19
2. 철학적 태도 = 20
3. 동양사상 = 22
1) 인도사상 = 22
2) 중국사상 = 23
3) 불교사상 = 34
4) 선(禪)사상 = 36
4. 서양사상 = 40
1) 고ㆍ중ㆍ근대철학 = 40
2) 현대철학 = 45
3) 포스트모더니즘 = 54
Ⅱ. 문학이야기 = 64
1. 시 = 67
1) 시의 이미지 = 70
2) 낭만시와 주지시 = 73
3) 시 읽기 = 74
2. 소설 = 80
1) 허구와 소설적 진실 = 82
2) 소설의 제 역할 = 85
3) 소설 읽기 = 86
4) 현대소설의 새 경향 = 89
3. 수필 = 94
1) 잡문 넘어서기 = 96
2) 수필 쓰기 = 100
3) 수필의 요체 = 103
Ⅲ. 비평이야기 = 108
1. 문학 작품을 보는 관점 = 109
2. 변증법적 방법 = 113
3. 역사ㆍ전기비평 = 115
1) 역사ㆍ전기비평의 중요 관심사 = 116
2) 역사ㆍ전기비평의 장ㆍ단점 = 121
3) 고두석의 「내 아내」 = 122
4. 형식주의비평 = 129
1) 러시아 형식주의 = 129
2) 영ㆍ미 형식주의 = 132
3) 류종호의 〈서구소설과 한국소설의 기법〉 = 136
5. 구조주의비평 = 143
1) 언어학적 배경 = 145
2) 구조주의와 일반언어학강의 = 146
3) 프랑스 구조주의 = 149
4) 체코 구조주의 = 154
5) 구조주의 한계 = 157
6) 구조주의비평의 장ㆍ단점 = 160
7) 한설야의 『황혼』 = 161
6. 탈구조주의비평 = 188
1) 롤랑 바르트의 양파의 모델 = 189
2) 데리다와 푸코의 새로운 역사관점 = 192
3) 탈구조주의의 특징과 한계 = 195
4) 롤랑바르트의 《S/Z》 = 196
7. 사회주의(이데올로기)비평 = 197
1) 사회주의비평의 배경 = 198
2) 루카치의 반영론과 리얼리즘론 = 199
3) 생산이론 = 205
4) 까간의 가치론 미학 = 207
5) 제임슨과 모순(정치적 무의식) = 209
6) 사회주의비평의 장ㆍ단점 = 212
7) 정형택의 「고혈압」 = 214
8. 심리주의비평 = 222
1) 작가, 작품, 독자 = 223
2) 심리주의비평의 장ㆍ단점 = 225
3) 이상의 「거울」 = 226
9. 신화ㆍ원형비평 = 229
1) 신화의식 = 232
2) 신화ㆍ원형비평의 장ㆍ단점 = 233
3) 김동리의 무녀 원형 = 234
10. 독자중심비평 = 238
1) 읽기와 해석 이론 = 239
2) 우한용 외 〈반응 중심 학습법〉 = 242
11. 페미니즘비평 = 244
1) 페미니스트와 여성비평 = 245
2) 고은미의 〈심청가〉 = 246
12. 20세기 문학과 문화연구 = 252
1)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 = 252
2) 문화연구 = 254
3) 이상용의 《판타지를 넘어서는 상상력》 = 259
작가연보 =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