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 = 1
1.1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 2
1. 의사소통의 정의 = 2
1.2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가정 = 6
1. 인간 의사소통은 과정이다 = 6
2. 인간 의사소통은 상호교류이다 = 7
3. 인간 의사소통은 다차원이다 = 8
1.3 커뮤니케이션 모델 = 10
1.3.1 전통적 의사소통 모델 = 10
1. Shannon-Weaver Model = 10
2. Source-Message-Channel-Receiver(SMCR Model) = 11
3. Leary Model = 12
1.3.2 건강-관련 모델 = 14
1. 치료적 모델 = 14
2. 건강 신념 모델 = 15
3. King 상호작용 모델 = 17
1.3.3 건강 의사소통 모델 = 19
1. 관계 = 19
2. 상호작용 = 20
3. 상황 = 21
1.4 건강, 간호분야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관련 변인 = 22
1.4.1 공감 = 22
1. 대상자의 공감 = 23
2. 간호사의 공감 = 24
1.4.2 조절 = 25
1. 대상자의 조절 = 27
2. 간호사의 조절 = 29
1.4.3. 자기노출 = 29
1. 대상자의 자기노출 = 30
2. 간호사의 자기노출 = 31
1.4.4 확신 = 33
1. 대상자의 확신 = 36
2. 간호사의 확신 = 37
02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 = 39
2.1 인간관계의 본질과 특성 = 40
2.1.1 인간에 대한 이해 = 40
1. 성격의 정의 = 40
2. 성격의 구조 = 40
3. 의식의 구조 = 42
4. 방어기제 = 43
5. 발달단계론 = 49
2.1.2 에니어그램을 통한 자기이해 = 64
1. 에니어그램의 아홉 가지 성격 유형 = 64
2. 에니어그램을 통한 자기 이해 = 68
2.1.3 인간관계의 중요성 = 69
1.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 69
2. 인간관계의 의의 = 72
3. 성숙한 인간관계의 특징 = 74
2.2 치료적 인간관계 = 77
2.2.1. 치료적 인간관계의 특성 = 77
2.2.2 치료적 인간관계의 기본 요소 = 84
1. 사랑 = 84
2. 믿음 = 84
3. 의존심의 수용 = 85
4. 독립심의 증진 = 86
5. 공감 = 86
6. 감정의 조절과 객관성 유지 = 87
7. 동기와 자신에 대한 이해 = 87
8. 상호의존성 = 88
2.2.3 치료적 인간관계의 기본 단계 = 89
1. 상호작용 전 단계 = 89
2. 오리엔테이션 단계 = 89
3. 활동 단계 = 91
4. 종결 단계 = 91
03 일대일 간호사-대상자 관계 = 93
3.1 조력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 94
1. 공감 = 94
2. 존중 = 97
3. 온정 = 98
4. 구체성 = 101
5. 진실성 = 103
6. 자기노출 = 105
7. 직면 = 107
8. 즉시성 = 109
3.2 Berne의 교류분석 기법 = 111
3.3 Satir의 일치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 119
3.3.1 Satir의 일치적 커뮤니케이션의 모형 = 119
1. 일치형 커뮤니케이션 = 122
2. 회유형 커뮤니케이션 = 122
3. 비난형 커뮤니케이션 = 122
4. 초이성형 커뮤니케이션 = 122
5. 산만형 커뮤니케이션 = 123
3.3.2 Satir의 일치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 123
3.4 치료적/비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 126
3.4.1. 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 126
3.4.2. 비치료적 커뮤니케이션기법 = 130
04 소그룹 커뮤니케이션 = 135
4.1 소그룹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 137
4.2 소그룹의 유형 = 138
4.3 소그룹의 구성요소 = 139
4.4 소그룹의 단계 = 150
05 조직 커뮤니케이션 = 155
5.1 조직이론 = 156
1. 고전적 조직이론 = 156
2. 신고전적 조직이론 = 157
3. 현대적 조직이론 = 158
5.2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 159
5.2.1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 159
5.2.2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 160
5.2.3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 161
5.2.4 조직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와 분석 = 163
5.3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형태 = 169
5.3.1 개인 의료 커뮤니케이션 = 169
1. 개인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및 중요성 = 169
2. 개인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단계 = 171
5.3.2 조직 의료커뮤니케이션의 형태 = 174
5.3.3 공식적 의료커뮤니케이션 = 175
5.3.4 비공식적 의료커뮤니케이션 = 178
5.4 인간관계에서의 갈등 해결 = 182
5.4.1. 인간관계와 갈등 = 183
1. 갈등의 정의 = 183
2. 갈등의 수준 = 183
3. 갈등의 유형 = 184
5.4.2. 간호사와 대상자 관계에서의 갈등 해결 = 187
1. 갈등 해결 이론 = 187
2. 간호사-대상자 관계에서 갈등 사정 = 190
3. 갈등해결의 원칙 = 192
4. 갈등의 관리 방법 = 194
5. 갈등해결을 강화하기 위한 간호 전략 = 195
6. 특정 대상자와의 갈등 해결 = 199
06 간호상황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 201
6.1 발달단계별 커뮤니케이션 = 202
6.1.1 아동환자와 커뮤니케이션 = 202
1. 유아기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 202
2. 2세에서 4세 사이의 아동 대상자 = 203
3. 4세부터 7세 사이 아동 대상자 = 204
4. 학령기 아동과의 의사소통 = 205
6.1.2 청소년기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 206
6.1.3 노인대상자와의 의사소통 = 208
1.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인지기능 = 208
2. 인지장애 노인과의 의사소통 전략 = 209
3. 감각장애 노인과의 의사소통 = 211
6.2 특정상황 커뮤니케이션 = 214
6.2.1 공격적인 대상자와의 커뮤니케이션 = 214
1. 공격성의 유형 = 214
2. 공격적인 행동의 예측과 평가 = 214
3. 공격적 대상자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 215
4. 휴식기를 사용한 의사소통 기법(사례소개-치료적 대화) = 216
6.2.2 분노를 표출하는 대상자와의 커뮤니케이션 = 218
1. 분노의 정의 = 218
2. 분노의 종류 = 218
3. 분노하는 대상자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 219
4. 분노에 대한 반응 = 221
5. 분노 예방 = 221
6.2.3 위기상황에서의 커뮤니케이션 = 222
1. 위기 이론 = 222
2. 위기의 특성 = 223
3. 위기의 종류 = 223
4. 위기상황의 대상자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 224
6.2.4. 임종환자 및 가족과의 의사소통 = 225
1. 임종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과정 = 226
2. 임종환자와의 의사소통 = 227
3. 임종환자 가족과의 의사소통 = 231
4. 죽음이나 상실에 처한 아동과의 의사소통 = 232
6.2.5 장애인 및 가족과의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 = 234
1. 장애인과의 의사소통 = 235
2. 장애자 가족과의 의사소통 = 239
참고문헌 = 241
부록 = 249
찾아보기 =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