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 ⅲ
Preface = ⅳ
01 OPNET이란?
1.1 네트워크 시뮬레이션과 OPNET = 1
1.2 OPNET Modeler = 3
1.3 Project와 Scenario = 3
1.4 Node, Processor/Queue Model = 5
1.4.1 Node Model = 5
1.4.2 Processor/Queue Model = 7
1.4.3 Process Model = 8
02 OPNET 시뮬레이션 시작하기
2.1 컴파일러 설치 = 13
2.1.1 Dot Net 2003 환경 설정 = 13
2.1.2 Dot Net 2005 환경 설정 = 14
2.2 Scenario 만들기 = 16
2.3 수집할 결과 정보 지정 = 29
2.4 시뮬레이션 환경 설정 및 실행 = 36
2.5 결과 보기 및 분석 = 37
03 OPNET 시뮬레이션 응용
3.1 파라미터 설정 및 변경 = 45
3.2 첫번째 예제: 무선랜(802.11b) = 48
3.2.1 어플리케이션 트래픽 설정 = 49
3.2.2 파라미터 변경 및 시뮬레이션 = 53
3.2.3 결과 보기 = 55
3.3 두번째 예제: 간섭이 있는 무선랜 = 57
3.4 세번째 예제: 이동 Node 무선랜 = 62
3.5 네번째 예제: TCP = 67
3.5.1 Slow start와 Congestion avoidance = 67
3.5.2 Fast retransmit와 Fast recovery = 70
04 OPNET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본 지식
4.1 Process 모델 파헤치기 = 80
4.1.1 Process 동적 생성 = 80
4.1.2 Process간 통신 기법 = 83
4.1.3 Process 에디터의 이해 = 85
4.1.4 Process 모델 모델링하기 = 94
4.2 Attribute, 이게 뭐야? = 94
4.2.1 Attribute 및 Attribute Property = 94
4.2.2 Model Attributes = 96
4.3 Model Attribute Interface = 99
4.3.1 Process 모델 Interface = 99
4.3.2 Node 모델 Interface = 101
4.3.3 Attribute Promotion, Rename/Merge = 102
4.4 Packet 바로 알기 = 105
4.4.1 Packet의 종류 = 106
4.4.2 패킷 에디터 사용하기 = 107
4.4.3 Packet 좀 더 파헤치기 = 108
4.4.4 Packet을 이용한 Communication = 112
4.5 ICI 이용하기 = 114
4.5.1 ICI 사용 방법 = 115
4.5.2 ICI 사용 예제 = 116
4.6 Statistic 이해하기 = 118
4.7 유용한 에러 메세지 출력하기 = 120
4.7.1 디버깅시 Trace 메세지 출력 = 121
4.7.2 시뮬레이션시 에러 메세지 출력 = 122
05 OPNET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5.1 첫번째 예제: 무선랜(802.11b) 성능 개선 = 125
5.1.1 코드 수정 및 컴파일 = 127
5.2 두번째 예제: 수신 패킷의 크기 측정 = 130
5.2.1 코드 수정 및 컴파일 = 132
06 OPNET 디버거
6.1 개요 = 137
6.2 디버거 활성화 = 137
6.3 디버거 창의 이해 = 139
6.3.1 Simulation Progress 다이얼로그 = 139
6.3.2 Simulation Execution 다이얼로그 = 140
6.3.3 Simulation Console 창 = 145
6.3.4 디버거 창의 정보 이해하기 = 145
6.4 명령어 소개 = 146
6.4.1 시뮬레이션 실행 조절 명령어 = 147
6.4.2 Breakpoint 설정하기 = 147
6.4.3 Trace 명령에 사용하기 = 148
6.4.4 Process의 Diagnostic Block 사용하기 = 152
6.5 MSVC를 이용한 디버깅 = 154
6.5.1 MSVC 디버거 연결하기 = 154
6.5.2 MSVG 디버거를 이용한 Trace = 155
07 OPNET 디버거 활용하기
7.1 첫번째 예제: 무선랜(802.11b) = 159
7.1.1 리스트에 대한 잘못된 접근 = 159
7.1.2 부적절한 Queue 처리 = 166
7.2 두번째 예제 : 수신 패킷의 크기 측정 = 174
7.2.1 패킷에 대한 잘못된 접근 = 175
08 모듈 개발 예제
8.1 ARQ : Stop-and-Wait = 181
8.1.1 설계 및 흐름도 구성 = 181
8.1.2 Sender Process 모델 = 182
8.1.3 Receiver Process 모델 = 190
8.1.4 Sender Node 모델 = 193
8.1.5 Receiver Node 모델 = 194
8.1.6 Simulation = 195
8.1.7 Simulation - 재전송이 정말 일어났는가? = 199
09 실전 업무 예제 : HCCA
9.1 요구사항 파악하기 = 207
9.2 기존의 무선랜 모듈 분석하기 = 209
9.3 HCCA 기능 모듈 설계 = 220
9.4 숙제 = 226
Appendix
A. OPNET에서 사용되는 약어들 = 227
B. OPNET에서 사용하는 File Format = 229
C. OPNET API의 종류와 용도 = 230
D. 자주 사용되는 KP API들 = 232
E. Contributed Model이란? = 234
Index =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