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71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434878 | |
005 | 20100806080406 | |
007 | ta | |
008 | 080304s2008 ggk 000c kor | |
020 | ▼a 9788995696095 ▼g 13740 | |
035 | ▼a (KERIS)BIB000011245161 | |
040 | ▼a 221020 ▼c 221020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428.24 ▼2 22 |
090 | ▼a 428.24 ▼b 2008z6 | |
100 | 1 | ▼a 조남욱 |
245 | 1 0 | ▼a 이지 잉글리시 = ▼x Easy English : ▼b grammar / ▼d 지은이: 조남욱. |
260 | ▼a 용인 : ▼b be , ▼c 2008. | |
300 | ▼a 336 p. ; ▼c 21 cm.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8.24 2008z6 | 등록번호 1114667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줄거리
Unit __ 1 that절
01 문장구성요소와 수식어 16
02 that절의 구성과 기능 20
03 that절의 이해 원리 24
04 무한정 길어질 수 있는 that절 28
05 that이 생략된 that절 30
Practice 32
Explanation 36
Unit __ 2 접속사절
01 접속사절의 구성과 기능 40
02 접속사절의 위치 47
03 접속사절의 이해원리 48
04 무한정 길어질 수 있는 접속사절 50
05 that절과 접속사절 52
06 접속사절에서 주어와 be동사 생략 54
Practice 56
Explanation 60
Unit __ 3 관계대명사절
01 관계대명사절의 구성과 기능 66
02 관계대명사 whom 70
03 관계대명사절 이해 원리 71
04 관계대명사 that 74
05 관계대명사가 생략된 관계대명사절 77
06 소유격 관계대명사절 80
07 전치사와 관계대명사 82
08 선행사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what절 84
09 계속적용법의 관계대명사절 87
Practice 89
Explanation 93
Unit __ 4 관계부사절
01 관계부사절의 구성과 기능 100
02 관계부사절의 이해원리 103
03 관계부사가 생략된 관계부사절 105
04 관계부사 that 107
05 관계부사절의 선행사 생략 109
06 관계대명사절과 관계부사절 111
07 관계부사의 계속적 용법 113
Practice 115
Explanation 118
Unit __ 5 의문사절
01 의문사절의 구성과 기능 124
02 의문사절의 이해 원리 130
03 whether(if) 의문사절 133
04 의문사구 139
05 관계사절과 의문사절 140
06 의문사 위치 전환 143
Practice 144
Explanation 147
Unit __ 6 전치사구
01 전치사구의 구성과 기능 152
02 전치사와 부사 156
03 자주 사용되는 전치사 157
04 두 개 이상의 단어로 된 전치사 161
05 전치사가 취하는 명사의 수식 163
06 전치사가 취하는 명사구와 명사절 166
07 전치사구의 이해 원리 167
08 목적보어를 취하는 전치사 with 169
Practice 171
Explanation 175
Unit __ 7 부정사구
01 부정사구의 구성과 기능 182
02 부정사의 이해 원리 189
03 부정사구의 의미상 주어 196
04 원형부정사구 199
Practice 202
Explanation 206
Unit __ 8 동사원형+ing구
01 ‘동사원형+ing구’의 구성과 기능 214
02 ‘동사원형+ing구’ 이해 원리 221
03 ‘동사원형+ing구’의 의미상 주어 227
04 being 이 생략된 현재분사구 230
Practice 232
Explanation 234
Unit __ 9 과거분사구
01 과거분사구의 구성과 기능 242
02 과거분사구의 이해 원리 247
03 동사의 과거형과 과거분사 251
04 과거분사구의 의미상 주어 254
05 현재분사구와 과거분사구 256
Practice 259
Explanation 262
Unit __ 10 특수구문
01 도치 268
02 생략 272
03 나열 275
04 It is ~ that 강조 278
05 특수 부사절 280
06 동격 282
07 that부사절 284
08 유도부사 there 287
09 상관구문 289
Practice 293
Explanation 297
Unit __ 11 문장구성요소 및 수식어
01 문장구성요소 304
Practice 319
Explanation 322
02 수식어 327
Practice 330
Explanation 333
정보제공 :

책소개
The Korea Herald 주최 대한민국 외국어교육산업 대상을 2년 연속 수상한 조남욱영어교육원 대표가 교육현장에서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완성시킨 책. 문장 구조에 대한 설명과 함께 아무리 긴 영어 문장도 앞으로 가면서 단 한 번에 정확하게 이해하게 되는 영어의 원리를 소개하고 있다.
The Korea Herald 주최 대한민국 외국어교육산업 대상을 2년 연속 수상한 조남욱영어교육원 대표가 교육현장에서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완성시킨 이 책은 문장 구조에 대한 설명과 함께 아무리 긴 영어 문장도 앞으로 가면서 단 한 번에 정확하게 이해하게 되어 있는 영어의 원리를 소개하고 있다.
영어문장이 문장 5형식을 벗어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무한정 길어지는 이유는 이처럼 주어, 목적어, 보어가 ‘절’ 또는 ‘구’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긴 영어문장을 앞으로 가면서 바로 읽고 듣기 위해서는 ‘절’ 또는 ‘구’로 만들어진 주어, 목적어 또는 보어가 어디부터 시작되는지 그 ‘시작’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that절은 that으로 시작된다.
that절은 명사절로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될 수 있으므로, that은 주어, 목적어 또는 보어의 시작을 의미한다.
앞서 만들어본 예문들을 다시 나열해 보자.
[ 1 ] It is true that he is kind.
[ 2 ] I know that he is kind.
[ 3 ] She tells me that he is kind.
[ 4 ] Her opinion is that he is kind.
[ 1 ] It is true [ that - - - - - ].
위 문장에서 that은 주어의 시작을 알린다. 문장이 it으로 시작되면 대명사(‘그것’)일 수도 있지만 가주어일 가능성에 항상 대비해야 한다. 가주어는 앞서도 말한 것처럼 긴 진짜 주어를 뒤로 빼기 위해서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가주어는 긴 진짜 주어가 뒤에 나올 것을 미리 기대할 수 있게 해 준다. 그와 같이, 가주어를 보고 진주어를 기대하고 있어야 that을 주어의 시작으로 바로 볼 수 있다.
[ 2 ] I know [ that - - - - - ].
위 문장에서 that은 목적어의 시작을 알린다. 목적어를 취하는 타동사( know ) 다음에 위치했기 때문이다.
[ 3 ] He tells me [ that - - - - - ].
위 문장에서 that은 직접목적어의 시작이다. that절을 직접목적어로 취할 수 있는 동사인 tell을 통해서 간접목적어 me 다음에 이어지는 that을 직접목적어의 시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at절을 직접목적어로 취할 수 있는 동사는 지극히 제한되어 있다 : tell, show, inform, warn, remind, promise, convince, assure 등 )
[ 4 ] Her opinion is [ that - - - - - ].
이 문장에서 that은 (주격)보어의 시작을 알린다. 2형식 동사인 be동사(is)에 이어 나오기 때문이다. 즉 주어( Her opinion )에 대한 설명이 that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that은 이처럼 주어, 목적어 또는 보어의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중요한 또 하나의 사실을 알린다. 그것은 that이 이어서 ‘문장’을 취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It is true that + 문장
I know that + 문장
She tells me that + 문장
Her opinion is that + 문장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장을 보자.
I know that the boy wants the book.
타동사( know )에 이어 나오는 that은 목적어의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이어서 문장이 나올 것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따라서, that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명사 the boy는 그 문장의 주어로 인식되면서 가야 한다.
I know [ that the boy - - - - - ].
어떤 문장에서든 that을 이처럼 주어, 목적어 또는 보어의 시작으로 정확하게 인식하면서 ‘문장’이 이어 나올 것을 기대할 수 있는 능력은 영어정복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영어는 혼자 공부해야 한다.
많은 시간, 책상에 앉아서 모르는 단어를 찾아 외우고, 많은 영어 책이나 잡지를 읽고, 많은 영어 테이프와 TV 영어 프로그램을 듣고, 쉬운 수준부터 어려운 수준까지 수없이 많은 영작을 해 보면서 ‘고독한’ 공부를 해야 한다.
그런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 먼저 배워야 할 것들이 있다.
우선, 영어 문장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것은 물론 영어의 문법에 해당한다. 영어의 문법적 지식 없이 막연한 영어 공부를 하는 것은 매우 많은 시간을 낭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문제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배우고 있는 영어 문법이 지극히 단편적이고 비실용적이어서 오랜 시간을 들여서 공부하고 나서도 실제로 영어 문장을 만들어내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영어는 네 가지 문장구성요소(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와 두 종류의 수식어(명사수식어, 명사외수식어)로 구성된 지극히 단순한 구조를 가진 언어이다. 이 책은 영어 문장 구조, 즉 영어 문법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며, 실제로 문장을 만들어 내는데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두 번째로, 길고 복잡한 문장도 앞으로 가면서 정확하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영어와 우리말은 어순(語順)이 다르다. 특히 영어는 어순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우리말을 거쳐서 영어를 이해하려고 하면 영어 읽기는 물론 듣기도 영원히 정복할 수 없게 된다. 영어는 영어를 이해하는 방식대로, 어순에 따라 순서대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은 문장 구조에 대한 설명과 함께 아무리 긴 영어 문장도 앞으로 가면서 단 한 번에 정확하게 이해하게 되어 있는 영어의 원리를 소개할 것이다.
영어에 왕도(王道)는 없어도 정도(正道)는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Unit _ 1 that 절 01 문장구성요소와 수식어 = 16 02 that절의 구성과 기능 = 20 03 that절의 이해 원리 = 24 04 무한정 길어질 수 있는 that절 = 28 05 that이 생략된 that절 = 30 Practice = 32 Explanation = 36 Unit _ 2 접속사절 01 접속사절의 구성과 기능 = 40 02 접속사절의 위치 = 47 03 접속사절의 이해원리 = 48 05 that절과 접속사절 = 52 06 that절과 접속사절 = 52 06 접속사절에서 주어와 be동사 생략 = 54 Practice = 56 Explanation = 60 Unit _ 3 관계대명사절 01 관계대명사절의 구성과 기능 = 66 02 관계대명사 whom = 70 03 관계대명사절 이해 원리 = 71 04 관계대명사 that = 74 05 관계대명사가 생략된 관계대명사절 = 77 06 소유격 관계대명사절 = 80 07 전치사와 관계대명사 = 82 08 선행사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what절 = 84 09 계속적용법의 관계대명사절 = 87 Practice = 89 Explanation = 93 Unit _ 4 관계부사절 01 관계부사절의 구성과 기능 = 100 02 관계부사절의 이해원리 = 103 03 관계부사가 생략된 관계부사절 = 105 04 관계부사 that = 107 05 관계부사절의 선행사 생략 = 109 06 관계대명사절의 선행사 생략 = 109 07 관계부사의 계속적 용법 = 113 Practice = 115 Explanation = 118 Unit _ 5 의문사절 01 의문사절의 구성과 기능 = 124 02 의문사절의 이해 원리 = 130 03 whether(if)의문사절 = 133 04 의문사구 = 139 05 관계사절과 의문사절 = 140 06 의문사 위치 전환 = 143 Practice = 144 Explanation = 147 Unit _ 6 전치사구 01 전치사구의 구성과 기능 = 152 02 전치사와 부사 = 156 03 자주 사용되는 전치사 = 157 04 두 개 이상의 단어로 된 전치사 = 161 05 전치사가 취하는 명사의 수식 = 163 06 전치사가 취하는 명사구와 명사절 = 166 07 전치사구의 이해원리 = 167 08 목적보어를 취하는 전취사 with = 169 Practice = 171 Explanation = 175 Unit _ 7 부정사구 01 부정사구의 구성과 기능 = 182 02 부정사의 이해 원리 = 89 03 부정사구의 의미상 주어 = 196 04 원형부정사구 = 199 Practice = 202 Explanation = 206 Unit _ 8 동사원형 + ing구 01 ‘동사원형 + ing구’의 구성과 기능 = 214 02 ‘동사원형 + ing구’ 이해 원리 = 221 03 ‘동사원형 + ing구’의 의미상 주어 = 227 04 being이 생략된 현재 분사구 = 230 Practice = 232 Explanation= 234 Unit _ 9 과거분사구 01 과거분사구의 구성과 기능 = 242 02 과거분사구의 이해 원리 = 247 03 동사의 과거형과 과거분사 = 251 04 과거분사구의 의미상 주어 = 254 05 현재분사구와 과거분사구 = 256 Practice = 259 Explanation = 262 Unit _ 10 특수구문 01 도치 = 268 02 생략 = 272 03 나열 = 275 04 It is ~ that 강조 = 278 05 특수 부사절 = 280 06 동격 = 282 07 that부사절 = 284 08 유도부사 there = 287 09 상관구문 = 289 Practice = 293 Explanation = 297 Unit _ 11 문장구성요소 및 수식어 01 문장구성요소 = 304 Practice = 319 Explanation = 322 02 수식어 = 327 Practice = 330 Explanation =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