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1]----------
목차
1. 고전적 전통과 이상국가 / 백승현 = 1
Ⅰ. 서론 = 1
Ⅱ. 플라톤 = 4
Ⅲ.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차이 = 20
Ⅳ. 아리스토텔레스 = 25
2. 근대정치와 개체성 / 김용민 = 41
Ⅰ. 서론 = 41
Ⅱ. 개체성의 세 가지 성격: 독립성, 자율성, 주체성 = 45
Ⅲ. 근대적 개인주의: 탄생, 구성 개념 및 종류 = 54
Ⅳ. 결어: 개체성의 개념이 현대정치사상에 주는 함의 = 66
3. 동양의 덕치와 법치 / 장현근 = 72
Ⅰ. 문제제기 및 중국정치사상 연구동향 = 72
Ⅱ. 유가사상과 덕치 = 81
Ⅲ. 법가사상과 법치 = 93
Ⅳ. 외유내법(外儒內法)의 중국 정치전통 = 101
Ⅴ. 맺음말 = 104
4. 한국의 유학과 실학 / 최연식 = 110
Ⅰ. 서론 = 110
Ⅱ.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의 영역 = 116
Ⅲ.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의 쟁점 = 125
Ⅳ. 결론: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향하여 = 135
5. 탈근대와 타자성: 정치적 전환 / 홍원표 = 141
Ⅰ. 들어가기: 근대성에 대한 도전 = 141
Ⅱ. 탈근대적 행위자ㆍ정치행위ㆍ정치공동체 = 144
Ⅲ. 이론적 논쟁과 지형의 분화 = 156
Ⅳ. 다른 사조와의 관계: 긴장, 갈등, 조화 = 162
Ⅴ. 마무리하기 = 167
6. 공화주의 / 곽준혁 = 171
Ⅰ. 서론: 문제제기 = 171
Ⅱ. 공화주의의 일반적 특성 = 174
Ⅲ. 공화주의의 유형 = 188
Ⅳ. 결론: 연구과제 = 199
7. 자유주의 / 장동진 = 206
Ⅰ. 서언 = 206
Ⅱ. 자유주의의 기원과 중심가치 및 주장 = 208
Ⅲ. 현대 자유주의의 쟁점과 지형 = 214
Ⅳ. 결어 = 254
8. 헌정주의(=입헌주의) / 김비환 = 261
Ⅰ. 현대 헌정주의 담론의 배경 = 261
Ⅱ. 정부에 대한 제한: 헌정주의와 법의 지배 = 266
Ⅲ. 헌정주의와 헌법 = 271
Ⅳ. 헌정주의와 권력분립 = 280
Ⅴ. 헌정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헌법해석 = 284
Ⅵ. 맺음말 = 295
9. 보수주의 / 강정인 = 299
Ⅰ. 글 머리에: 보수주의의 개념과 그 모호성 = 299
Ⅱ. 에드먼드 버크와 보수주의 정치철학 = 307
Ⅲ. 현대의 보수주의 = 315
Ⅳ. 글을 마치며 = 322
10. 맑스주의 / 조현수 = 329
Ⅰ. 머리말 = 329
Ⅱ. 사회주의에 관한 논의들 = 330
Ⅲ. 맑스주의의 핵심 내용들 = 341
Ⅳ. 기존의 연구경향 및 새로운 연구경향 = 362
Ⅴ. 맺음말 = 363
11. 공동체주의 / 유홍림 = 368
Ⅰ. 머리말 = 368
Ⅱ. 공동체주의의 철학적 논의 = 371
Ⅲ. 공동체주의의 정치적 제안 = 383
Ⅳ. 자유주의-공동체주의 논쟁 = 391
Ⅴ. 맺음말 = 394
12. 페미니즘: 민주주의의 완성을 위하여 / 박의경 = 401
Ⅰ. 들어가기: 페미니즘과 정치사상 = 401
Ⅱ. 페미니즘의 개념: 현실 바로 보기 = 403
Ⅲ. 페미니즘의 역사와 이론 = 410
Ⅳ. 21세기 페미니즘의 쟁점과 문제점 = 423
Ⅴ. 나오기: 미래를 위한 전진 = 430
[volume. vol.2]----------
목차
1. 행태주의와 경험과학 연구: 전제, 영역과 설계 / 김웅진 = 1
Ⅰ. 행태주의와 정치행태 = 1
Ⅱ. 과학체계로서의 행태주의 = 6
Ⅲ. 행태주의의 학문적, 실천적 함의 = 27
2. 구조주의: 정치적 해석과 전망 / 김종법 = 32
Ⅰ. 구조주의에 대한 새로운 정치적 해석의 필요성 = 32
Ⅱ. 구조와 구조주의의 개념 분석 = 37
Ⅲ. 기존연구동향과 이론적 쟁점들 = 43
Ⅳ. 새로운 정치적 구조주의 시도와 새로운 지평 = 57
3. 합리적 선택이론: 과학관, 인간관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 문우진 = 66
Ⅰ. 서론 = 66
Ⅱ. 합리적 선택이론과 과학적 설명 = 71
Ⅲ. 합리적 선택이론의 인간관 = 86
Ⅳ. 합리적 선택이론의 합리성 가정 = 91
Ⅴ. 합리적 선택이론과 방법론 = 98
Ⅵ. 합리적 선택이론과 경험연구 = 106
Ⅶ. 결론 = 112
4. 신제도주의 정치학의 이해 / 김기석 = 120
Ⅰ. 들어가는 말 = 120
Ⅱ. 왜 제도인가? 신제도주의 등장의 배경 = 122
Ⅲ. 신제도주의 정치학의 두 분파와 연구테마 = 125
Ⅳ. 신제도주의 정치학의 최근 동향 = 139
Ⅴ. 나오는 말 = 148
5. 비판이론 / 서규환 = 156
Ⅰ. 계몽의 변증법 = 156
Ⅱ. 마르쿠제 = 162
Ⅲ. 오페 = 169
Ⅳ. 하버마스 = 179
Ⅴ. 결론: 비판이론의 쟁점과 과제 = 190
6. 심리학적 정치학의 연구 대상 및 방법 / 류재성 = 204
Ⅰ. 서론 = 204
Ⅱ. 심리학적 정치학의 연구방법: 실험연구 = 208
Ⅲ. 심리학적 정치학의 연구대상 = 212
Ⅳ. 결론 = 234
7. 정치학에서 페미니즘 접근 방법 / 황영주 = 243
Ⅰ. 서론 = 243
Ⅱ. 정치학에서 페미니즘 접근방법의 배경 = 245
Ⅲ. 정치학에서 페미니즘 접근방법의 실제 = 250
Ⅳ. 정치학에서 페미니즘 접근방법의 특징 = 267
Ⅴ. 결론 = 271
8. 정치학 분야의 계량분석 연구: 2000년 이후 『한국정치학회보』와 『국제정치논총』을 중심으로 / 조성대 = 282
Ⅰ. 머리말 = 282
Ⅱ. 정치학 분야에서 계량적 접근의 의의 = 284
Ⅲ. 한국 정치학계의 계량분석 연구의 추이 = 289
Ⅳ. 여론조사 데이터와 계량분석 연구 = 295
Ⅴ. 사례 데이터와 한국 정치학계의 계량분석 = 300
Ⅴ. 맺음말 = 309
9. 정치학 방법론의 새로운 흐름: 존재론으로의 반전(反轉) / 안재흥 = 315
Ⅰ. 서론 = 315
Ⅱ. KKV의 도전 = 319
Ⅲ. 정석적 방법론의 반박 = 325
Ⅳ. 비교방법: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의 공존? = 342
Ⅴ. 맺는 말 = 354
10. 비교방법: 정치학의 희망과 한계 / 임성호 = 364
Ⅰ. 서론 = 364
Ⅱ. 비교방법의 기초: 의미, 목적, 필요성 = 367
Ⅲ. 비교방법의 유형: 사례 수, 관점, 분석단위 = 378
Ⅳ. 비교방법의 전략: 개념 정립, 명제 설정, 사례 선택 = 387
Ⅴ. 비교방법의 한계와 새 지평 = 395
[volume. vol.3]----------
목차
1. 헌법적 권력구조 / 진영재 = 1
Ⅰ. 연구 영역과 정의 = 1
Ⅱ. 권력구조 논의에서 원형과 이상형 = 5
Ⅲ. 연구 경향영역들 = 9
Ⅳ. 결론과 추가 논의 = 34
2. 여론 / 이현우 = 42
Ⅰ. 여론과 민주주의 = 42
Ⅱ. 여론이란 무엇인가? = 45
Ⅲ. 여론에 관한 논쟁들 = 48
Ⅳ. 여론형성 모델 = 53
Ⅴ. 여론과 정치영향력 = 56
Ⅵ. 여론조사 방법 = 60
Ⅶ. 공론조사 = 64
Ⅷ. 여론연구의 흐름 = 66
3. 정치참여 / 김영태 = 72
Ⅰ. 글을 시작하며 = 72
Ⅱ. 정치참여의 개념규정과 유형 = 74
Ⅲ. 정치참여에 관한 이론적 접근 및 연구동향 = 79
Ⅳ. 글을 마치며 = 92
4. 선거: 선거제도와 투표행태 / 김욱 = 100
Ⅰ. 서론 = 100
Ⅱ. 선거제도 = 101
Ⅲ. 투표행태 = 114
Ⅳ. 결론 = 121
5. 비교정치: 정당정치 / 곽진영 = 128
Ⅰ. 문제의 제기 = 128
Ⅱ. 정당의 개념 = 130
Ⅲ. 정당 연구의 주요 이론 = 134
Ⅳ. 정당체계의 주요 이론 = 144
Ⅴ. 향후 관심 주제 = 155
6. 이익집단 / 정연정 = 166
Ⅰ. 문제제기 및 주요 개념에 대한 정의 = 166
Ⅱ. 기존 연구동향: 이익집단 관련 쟁점 = 174
Ⅲ. 향후 연구과제 = 185
Ⅳ. 결론 = 189
7. 매스미디어 / 하상복 = 196
Ⅰ. 정치의 미디어화: 현대적 의미 = 196
Ⅱ. 정치권력과 매스미디어 = 199
Ⅲ. 정치 참여와 매스미디어 = 209
Ⅳ. 정치적 행위자로서 매스미디어 = 216
Ⅴ. 매스미디어의 정치학적 연구의 필요성 = 223
8. 의회 / 손병권 = 230
Ⅰ. 서론 = 230
Ⅱ. 의회의 제도화 = 234
Ⅲ. 의원의 목적 = 245
Ⅳ. 상임위원회의 권한 및 상임위원회와 본회의와의 관계 = 248
Ⅴ. 의회선거와 지역구 = 253
9. 사법부 / 차동욱 = 265
Ⅰ. 서론 = 265
Ⅱ. 주요개념 설명 = 268
Ⅲ. 기존의 연구동향 개관 = 280
Ⅳ. 새로운 연구경향 및 연구영역 = 291
Ⅴ. 결론 = 297
10. 공공정책결정/집행 / 김혁 = 304
Ⅰ. 공공정책의 개념적 기초 = 304
Ⅱ. 기존연구동향 = 311
Ⅲ. 연구의 지평 = 323
Ⅳ. 결론 = 334
11. 관료제 / 이연호 = 338
Ⅰ. 관료제의 정의와 문제 = 338
Ⅱ. 관료제의 특성과 역사적 전개 = 340
Ⅲ. 관료제에 관한 이론 = 343
12. 지방정부와 지방발전 / 강경태 = 371
Ⅰ. 서론 = 371
Ⅱ. 정치학자들의 지방정치 연구의 의의 = 372
Ⅲ. 지방정치의 연구테마 = 374
Ⅳ. 지방정치의 발전을 위해 = 405
[volume. vol.4]----------
목차
1. 정치문화 / 어수영 = 1
Ⅰ. 정치문화 개념 = 1
Ⅱ. 정치정향의 의미 = 3
Ⅲ. 정치문화 차원과 유형 = 6
Ⅳ. 정치문화의 생성과 변화 = 16
Ⅴ. 정치문화와 정치안정 = 25
Ⅵ. 정치문화 이론의 활용 = 35
Ⅶ. 정치문화연구에 대한 제안 = 54
2. 개발도상국의 연구: 근대화와 정치발전 / 임석준 = 64
Ⅰ. 서론 = 64
Ⅱ. 근대화 이론 = 67
Ⅲ. 정치발전 = 84
Ⅳ. 정치발전 이론의 쇠퇴와 비판 = 96
Ⅴ. 결론 = 106
3. 국가와 시장의 관계 / 류석진 ; 한영빈 = 112
Ⅰ. 서론: 시장에 대한 국가의 역할 = 112
Ⅱ. 국가와 시장 분리의 문제점 = 115
Ⅲ. 국가와 시장에 대한 역사적 고찰 = 119
Ⅳ. 결론: 국가와 시장의 재결합 = 138
4.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 주성수 = 143
Ⅰ. 국가와 시장 다음의 '제3섹터' = 143
Ⅱ. 시민사회에 관한 이론적 논의 = 150
Ⅲ. 시민사회와 민주주의의 발전 = 157
5.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공고화 / 임경훈 = 169
Ⅰ. 민주주의의 개념 정의 = 170
Ⅱ. 민주화 = 173
Ⅲ. 민주주의의 공고화 = 179
Ⅳ. 보편적 이론화의 문제 = 190
6. 정치변동 / 고상두 = 202
Ⅰ. 서론 = 202
Ⅱ. 정치체제의 변동과 혁명 = 204
Ⅲ.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정치제도의 개혁 = 208
Ⅳ. 쿠데타와 권력엘리트의 교체 = 216
Ⅴ. 결론 = 221
7. 계급과 사회갈등 / 정병기 = 226
Ⅰ. 여는 말 = 226
Ⅱ. 맑스와 베버의 계급론 = 228
Ⅲ. 풀란차스와 다렌도르프의 계급 이론 = 237
Ⅳ. 라이트와 골드소프의 계급론 = 242
Ⅴ. 맺는 말 = 252
8. 민족과 민족주의 / 구춘권 = 258
Ⅰ. 서론 = 258
Ⅱ. 민족 개념의 두 가지 기원과 민족의 구성 = 259
Ⅲ. 민족주의의 다양한 모습 = 269
Ⅳ. 냉전체제 종식 이후의 민족주의 = 277
Ⅴ. 결론 = 283
9. 동아시아 발전의 정치경제 / 임혜란 = 288
Ⅰ. 서론 = 288
Ⅱ. 이론적 개념과 쟁점들: 동아시아 경제발전에 대한 다양한 시각 = 292
Ⅲ. 새로운 연구영역 및 과제 = 305
10. 세계화 시대 자본주의 다양성 / 권형기 = 316
Ⅰ. 서론 = 316
Ⅱ. 비교 정치경제 이론들과 최근의 동향 개관 = 317
Ⅲ. 다양한 모델들 = 323
Ⅳ. 자본주의 다양성의 원인에 대한 설명 = 333
Ⅴ. 결론 = 339
[volume. vol.5]----------
목차
1. 현실주의 / 전재성 = 1
Ⅰ. 서론 = 1
Ⅱ. 현실주의의 가정과 핵심 명제 = 5
Ⅲ. 현실주의의 선구적 전통 = 11
Ⅳ. 현실주의가 다루는 주요 개념과 대상 = 16
Ⅴ. 현실주의의 새로운 연구 경향과 연구 영역 = 22
2. 자유주의 / 남궁 곤 = 32
Ⅰ. 서론: 국제정치에서 자유주의 = 32
Ⅱ. 자유주의의 가정과 핵심 명제 = 37
Ⅲ. 자유주의의 선구적 전통 = 43
Ⅳ. 자유주의가 다루는 주요 개념과 대상 = 49
Ⅴ. 자유주의의 새로운 연구 경향과 연구 영역 = 59
3. 지정학 / 김명섭 = 72
Ⅰ. 서론 = 72
Ⅱ. 지정학이란 무엇인가? = 73
Ⅲ. 지정학의 주요 흐름 = 83
Ⅳ. 지정학의 새로운 흐름 = 98
4. 구성주의: 국제관계의 사회적 구성과 전환 / 신욱희 = 107
Ⅰ. 서론 = 107
Ⅱ. 내용과 사례 = 110
Ⅲ. 평가와 전망 = 130
5. 국제협력 / 김영호 = 141
Ⅰ. 서론 = 141
Ⅱ. 국제협력의 형태 = 145
Ⅲ. 국제협력의 조건 = 158
Ⅳ. 결론 = 166
6. 안보 / 최아진 = 174
Ⅰ. 서론: 국제체제의 무정부성과 안보 = 174
Ⅱ. 주요 개념 = 177
Ⅲ.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요소들에 대한 주요 연구 경향 = 189
Ⅳ. 결론: 안보 연구에 대한 평가와 방향 = 195
7. 외교 / 김성한 = 204
Ⅰ. 외교의 의미와 목적 = 204
Ⅱ. 주요 개념에 대한 정의 = 207
Ⅲ. 기존연구동향 = 214
Ⅳ. 새로운 연구의 지평 = 225
8. 핵확산 / 전성훈 = 236
Ⅰ. 서론 = 236
Ⅱ. 주요 개념 = 239
Ⅲ. 기존 연구의 동향과 쟁점 = 246
Ⅳ. 새로운 연구의 지평 = 255
Ⅴ. 결론 = 261
9. 남북한관계와 통일에 대한 국제정치학적 접근 / 김용호 = 266
Ⅰ. 서론 = 266
Ⅱ. 본론 = 268
Ⅲ. 결론 = 295
10. 국제법 / 박흥순 = 299
Ⅰ. 서론 = 299
Ⅱ. 주요개념 = 300
Ⅲ. 기존연구 및 쟁점 = 310
Ⅳ. 연구지평의 주요과제 = 319
Ⅴ. 결론: 국제법과 국제관계 = 328
[volume. vol.6]----------
목차
1. 세계무역질서 / 유현석 = 1
Ⅰ. 세계무역질서의 간략한 개관 = 2
Ⅱ. 세계무역질서와 관련된 주요 개념들 = 7
Ⅲ. 세계무역질서에 대한 주요 연구 아젠다 = 16
Ⅳ. 결론 = 27
2. 세계금융통화질서 / 이왕휘 = 32
Ⅰ. 머리말 = 32
Ⅱ. 연구 동향 = 34
Ⅲ. 세계금융통화질서의 구조와 변화 = 35
Ⅳ. 주요 이론들 = 42
Ⅴ. 주요 정책문제: 금융통화위기 극복 방안들 = 47
Ⅵ. 맺음말 = 57
3. 초국적기업과 해외직접투자 / 배영자 = 67
Ⅰ. 서론 = 67
Ⅱ. 주요 개념, 이론, 연구의제들 = 68
Ⅲ. 결론 = 86
4. 공적개발원조 / 이승주 = 91
Ⅰ. 서론: 원조의 국제정치 = 91
Ⅱ. 원조에 관한 연구 동향과 주요 쟁점 = 96
Ⅲ. 최근 연구 동향 = 111
Ⅳ. 결론 = 114
5. 동아시아 지역통합 / 최영종 = 120
Ⅰ. 서론 = 120
Ⅱ. 지역통합 이론과 동아시아 = 122
Ⅲ. 주요 이슈 = 138
Ⅳ. 결론 = 148
6. 유럽통합 / 최진우 = 154
Ⅰ. 서론 = 154
Ⅱ. 유럽통합의 배경과 발전과정 = 156
Ⅲ. 유럽통합의 이론 = 166
Ⅳ. 유럽통합의 실천적 과제 = 180
Ⅴ. 결론 = 188
7.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 / 오경택 = 195
Ⅰ. 지구환경문제 = 195
Ⅱ. 시민사회의 각성과 스톡홀름회의 = 200
Ⅲ. 지속가능발전과 리우회의 = 207
Ⅳ. 리우회의 이후 = 213
Ⅴ. 평가 및 결론 = 218
8. 세계 인권 레짐 / 이상환 = 227
Ⅰ. 서론: 세계 인권 논의에 대하여 = 227
Ⅱ. 세계 인권 상황에 대한 이해 = 229
Ⅲ. 세계 인권 관련 주요 쟁점 및 이론적 관점 = 236
Ⅳ. 세계 인권 레짐 관련 주요 쟁점 = 239
Ⅴ. 세계 인권 레짐 관련 주요 연구 의제 및 동향 = 248
Ⅵ. 결론: 세계 인권 레짐의 발전을 위하여 = 251
9. 인간안보의 이론과 실제 / 이신화 = 261
Ⅰ. 서론 = 261
Ⅱ. 인간안보의 이론적 고찰 = 263
Ⅲ. 인간안보의 주요 이슈 = 270
Ⅳ. 복합적 위기상황으로서 인간안보와 국제적 대응 = 281
Ⅴ. 결론 = 289
10. 문명의 세계정치 / 이철호 = 297
Ⅰ. 머리말 = 297
Ⅱ. 문명의 세계정치론의 지적 배경 = 298
Ⅲ. 문명패러다임과 세계화 = 303
Ⅳ. 문명과 동아시아 시공간 = 312
Ⅴ. 맺음말 = 318
11. 정보화와 세계정치 / 김상배 = 329
Ⅰ. 머리말 = 329
Ⅱ. 정보화와 세계정치의 이론 = 331
Ⅲ. 정보화와 세계정치의 쟁점 = 342
Ⅳ. 맺음말 = 359
12. 지구 거버넌스 / 조동준 = 365
Ⅰ. 서론 = 365
Ⅱ. 본론 = 367
[volume. vol.7]----------
목차
1. 해방과 국가형성 / 박찬표 = 1
Ⅰ. 서론 = 1
Ⅱ. 주요 연구 분야와 연구 성과 = 3
Ⅲ. 연구의 흐름과 쟁점 = 13
Ⅳ. 새로운 관점과 연구 분야 = 20
2. 한국정치문화 / 박종민 = 34
Ⅰ. 서론 = 34
Ⅱ. 근대화론의 시각 = 36
Ⅲ. 시민문화론의 시각 = 40
Ⅳ. 정치체제론의 시각 = 45
Ⅴ. 권위관계론의 시각 = 50
Ⅵ. 신근대화론의 시각 = 52
Ⅶ. 사회자본론의 시각 = 55
Ⅷ. 결론: 한국정치문화연구의 한계와 과제 = 58
3. 한국에서의 대통령학: '미완'의 학문 영역 / 이강로 = 63
Ⅰ. 서론 = 63
Ⅱ. 미국에서의 대통령학 = 64
Ⅲ. 한국에서 대통령학의 지위 = 67
Ⅳ. 한국에서 대통령학의 학문적 위상 = 74
Ⅴ. 결론 = 99
4. 대한민국 국회: 연구동향과 쟁점 / 최준영 = 106
Ⅰ. 서론 = 106
Ⅱ. 거시적 연구 = 111
Ⅲ. 미시적 연구 = 123
Ⅳ. 결론: 국회연구의 지평 = 133
5. 한국의 정당정치 / 김용호 = 141
Ⅰ. 한국 정당정치의 주요 개념 = 142
Ⅱ.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 148
Ⅲ. 향후 연구 과제: 한국정당 연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 165
6. 경제성장과 국가 / 김인영 = 176
Ⅰ. 서론 = 176
Ⅱ. 본론 - 연구 경향과 문헌 = 177
Ⅲ. 1997년 경제 위기 이후 국가 = 195
Ⅳ. 새로운 연구주제 = 198
7. 분단과 6.25 전쟁 / 이완범 = 210
Ⅰ. 서론 = 210
Ⅱ. 분단과 전쟁: 분단 기원과 분단 귀결로서의 전쟁, 그리고 전쟁 귀결로서의 분단 고정화 = 215
Ⅲ. 새로운 연구경향 및 연구영역: 사람과 전쟁 = 247
Ⅳ. 결론: 21세기 6.25전쟁연구의 방향설정과 미래전망: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전쟁연구 = 253
8. 한국의 정치변동과 민주화 / 김영명 = 260
Ⅰ. 서론 = 260
Ⅱ. 정치체제와 정치 변동 = 260
Ⅲ. 한국의 정치 변동 연구 현황 = 264
Ⅳ. 앞으로의 과제 = 279
9. 한국 선거 연구의 동향과 특성 / 강원택 = 288
Ⅰ. 서론 = 288
Ⅱ. 한국 선거연구의 동향 분석 = 290
Ⅲ. 결론 =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