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언어 유형론 : 언어의 통일성과 다양성

언어 유형론 : 언어의 통일성과 다양성 (11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Whaley, Lindsay J. 김기혁 , 1955- , 역
서명 / 저자사항
언어 유형론 : 언어의 통일성과 다양성 / Lindsay J. Whaley 저 ; 김기혁 역.
발행사항
서울 :   소통 ,   2008   (2010)  
형태사항
xxix, 429 p. ; 23 cm.
원표제
Introduction to typology : the unity and diversity of language.
ISBN
9788996056423 9788993454307
서지주기
참고문헌(p. [391]-411) 및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Typology (Linguistics) Universals (Linguistics)
000 00890camccc200289 k 4500
001 000045433972
005 20100806074951
007 ta
008 080310s2008 ulk b 001c kor
020 ▼a 9788996056423
020 ▼a 9788993454307
035 ▼a (KERIS)BIB000011227708
040 ▼a 21103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410 ▼2 22
090 ▼a 410 ▼b 2008
100 1 ▼a Whaley, Lindsay J. ▼0 AUTH(211009)127169
245 1 0 ▼a 언어 유형론 : ▼b 언어의 통일성과 다양성 / ▼d Lindsay J. Whaley 저 ; ▼e 김기혁 역.
246 1 9 ▼a Introduction to typology : the unity and diversity of language.
260 ▼a 서울 : ▼b 소통 , ▼c 2008 ▼g (2010)
300 ▼a xxix, 429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91]-411) 및 색인수록.
650 0 ▼a Typology (Linguistics)
650 0 ▼a Universals (Linguistics)
700 1 ▼a 김기혁 , ▼d 1955- , ▼e▼0 AUTH(211009)94022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8 등록번호 11146629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10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8 등록번호 1115856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8 등록번호 1115856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10 2008 등록번호 1410699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410 2008 등록번호 1512588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8 등록번호 11146629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10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8 등록번호 1115856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8 등록번호 1115856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10 2008 등록번호 1410699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410 2008 등록번호 1512588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학자들은 언어 사이에 차이보다 동질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동질성의 예를 찾는 것과 왜 그것이 존재한느가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대 언어학, 특히 언어 유형론의 주요한 연구 목표의 하나가 된다. 언어 유형론은 법-언어적인 패턴과 그 패턴들 상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유형론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물은 원칙적으로 어떤 문법 이론과도 공존할 수 있다. 유형론은 범-언어적 비교를 이용하고 언어와 언어의 양상을 분류하며 언어의 형식적 특찰을 검토한다. 그러나 형식적 특질을 강조한 것이 의미적 고려를 배제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기혁(지은이)

1987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8년부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국어문법론과 형태통어론 연구, 언어유형론 연구 등에 힘써왔다. KBS 창사 특집 다큐멘터리 <사라진 언어 잊혀진 세계>(2011년 방영)의 자문을 맡았고, 당시 함께 자문을 담당했던 니컬러스 에번스를 만나면서 이 책의 번역을 맡게 되었으나, 관련 연구와 번역을 수행하던 중 2011년 4월 지병으로 별세했다. 저서로 『국어 문법 연구』『한국어 연구의 이론과 방법』『언어의 생성과 응용』, 역서로 『언어유형론』(공역), 『어순 유형론과 개사이론』(공역) 외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ⅴ
서문 = ⅷ
세계 언어 개관 = xvi
약어 = xxi
Ⅰ장 언어 유형론의 기초
 01 유형론과 보편성 = 3
  1.0. '유형론'의 정의 = 8
  2.0. 요약 = 19
  3.0. 핵심 어휘 = 21
 02 언어 유형론의 역사 = 23
  1.0. 초기 유형론 학자 = 24
  2.0. 유형론에서의 혁명 = 28
  3.0. 요약 = 36
  4.0. 핵심 어휘 = 37
 03 방법과 설명의 문제 = 39
  1.0. 보편성의 유형 = 40
   1.1. 절대적 보편성 대 비절대적 보편성 = 40
   1.2. 함축적 보편성 = 42
  2.0. 보편성 결정에서의 문제 - 데이터 베이스 = 48
  3.0. 보편성의 설명 = 58
  4.0. 외재적 설명의 유형 = 62
   4.1. 담화 = 63
   4.2. 처리 = 64
   4.3. 경제성 = 65
   4.4. 지각-인지 = 67
   4.5. 도상성 = 68
  5.0. 요약 = 69
  6.0. 핵심 어휘 = 70
 04 기본 범주 = 71
  1.0. 어휘류 = 74
   1.1. 어휘류의 정의 = 80
  2.0. 의미 역할 = 86
  3.0. 문법적 관계 = 90
   3.1. 보편성으로서 문법적 관계 = 92
  4.0. 요약 = 99
  5.0. 핵심 어휘 = 100
Ⅱ장 어순 유형론
 05 성분 순서의 보편성 = 103
  1.0. 절 성분의 순서 = 103
  2.0. 성분 순서의 상호 관계 = 112
  3.0. 분지 방향 이론 = 119
  4.0. 요약 = 123
  5.0. 핵심 어휘 = 124
 06 기본 성분 순서의 결정 = 125
  1.0. 성분 순서의 변이 = 125
  2.0. 기본 순서의 결정 = 130
   2.1. 빈도 = 131
   2.2. 유표성 = 133
   2.3. 화용적으로 중립적인 문맥 = 137
  3.0. 남은 문제 = 137
  4.0. 요약 = 139
  5.0. 핵심 어휘 = 140
Ⅲ장 형태론적 유형론
 07 형태소 = 143
  1.0. 의존 형태소 대 자립 형태소 = 145
  2.0. 접두사와 접미사 = 148
   2.1. 다른 유형의 접사 = 152
  3.0. 파생 형태론 대 굴절 형태론 = 156
  4.0. 접사의 순서 = 161
  5.0. 요약 = 163
  6.0. 핵심 어휘 = 164
 08 형태론적 유형론 = 165
  1.0. 형태론적 유형으로서의 언어 = 166
   1.1. 통합의 지표 = 167
   1.2. 융합의 지표 = 173
   1.3. 두 지표 사이의 관계 = 176
   1.4. 형태론적 유형의 역사적 변화 = 177
  2.0. 성분 사이의 형태론적 연결의 유형 = 181
   2.1. 지배 대 일치 = 182
   2.2. 주요어 대 의존어의 표지 = 183
   2.3. 보편성에 대한 함축 = 188
   2.4. 주요어 표시와 성분 순서 = 191
  3.0. 요약 = 191
  4.0. 핵심 어휘 = 193
Ⅳ장 명사어의 관계적 의미적 특질의 코드화
 09 격과 일치의 체계 = 197
  1.0. 문법적 관계의 표시 = 197
   1.1. 격과 일치의 계층 = 199
   1.2. S, A와 P = 201
   1.3. 분열 격과 일치 체계 = 209
  2.0. 격과 일치 체계의 복잡성 = 214
   2.1. 동사의 일치 = 215
   2.2. 격 체계 = 218
  3.0. 요약 = 220
  4.0. 핵심 어휘 = 221
 10 유정성, 한정성, 성 = 223
  1.0. 유정성의 계층 = 225
   1.1. 형태론과 통사론에서 유정성의 반영 = 228
   1.2. 보편성으로서 유정성 계층 = 234
  2.0. 한정성과 성 = 235
  3.0. 요약 = 238
  4.0. 핵심 어휘 = 238
 11 결합가 = 239
  1.0. 결합가 바꿈 장치 = 242
   1.1. 결합가 줄이기 장치 = 242
   1.2. 결합가 자리바꾸기 장치 = 248
   1.3. 결합가 늘리기 장치 = 250
  2.0. 사동 = 253
   2.1.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 = 254
   2.2. 사동자에 의해 유지되는 통제 정도의 표시 = 259
   2.3. 허용 대 사동 = 261
  3.0. 요약 = 262
  4.0. 핵심 어휘 = 263
Ⅴ장 동사 범주
 12 시제와 시상 = 267
  1.0. 시제 = 270
   1.1. 시제를 위한 전략 = 271
   1.2. 절대 시제 대 상대 시제 = 276
  2.0. 시상 = 277
   2.1. 시상(Aspect) 대 동작상(Aktionsart) = 283
   2.2. 시상에서 비동사적 효과 = 286
  3.0. 요약 = 287
  4.0. 핵심 어휘 = 288
 13 서법과 부정 = 289
  1.0. 서법의 전통적 범주 = 290
   1.1. 의무 양태 대 인식 양태 = 295
   1.2. 명확성 = 296
   1.3. 실재 대 비실재 = 297
  2.0. 부정 = 299
   2.1. 표준적 부정 전략 = 302
   2.2. 이차적 수정 = 304
   2.3. 영역과 성분 부정 = 305
  3.0. 요약 = 306
  4.0. 핵심 어휘 = 307
 14 화행의 형태 통사론 = 309
  1.0. 평서문화 = 311
  2.0. 명령문화 = 311
  3.0. 의문문화 = 315
   3.1. 극성 의문문 = 315
   3.2. 내용 의문문 = 319
  4.0. 요약 = 323
  5.0. 핵심 어휘 = 324
Ⅵ장 복문
 15 종속 접속 = 327
  1.0. 종속절의 주요 유형 = 327
   1.1. 종속절의 특징 = 329
  2.0. 부사절 = 331
   2.1. 시간 = 332
   2.2. 위치 = 333
   2.3. 원인 = 334
   2.4. 조건 = 335
   2.5. 양보 = 337
   2.6. 불특정 관계 = 337
  3.0. 보문절 = 338
   3.1. 복합성 연속 = 340
  4.0. 관계절 = 344
   4.1. 제한적 관계절 대 비제한적 관계절 = 345
   4.2. 관계절의 유형론적 다양성 = 346
   4.3. 추가 고찰 = 351
  5.0. 요약 = 353
  6.0. 핵심 어휘 = 354
 16 대등 접속과 상호 종속 접속 = 355
  1.0. 대등 접속 = 357
   1.1. 등위 접속의 형태 = 358
   1.2. 대등 접속에서 성분의 범위 = 362
   1.3. 절 축약 = 363
  2.0. 상호 종속 접속 = 365
   2.1. 연속 동사 = 365
   2.2. 교체 지시 = 368
  3.0. 요약 = 372
  4.0. 핵심 어휘 = 373
용어 해설 = 375
참고 문헌 = 391
찾아보기 = 413
 용어색인 = 413
 언어색인 = 419
 인명색인 = 42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