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8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433527 | |
005 | 20100806074441 | |
007 | ta | |
008 | 080219s2007 ggk b 000c kor | |
020 | ▼a 9788953479951 ▼g 93840 | |
035 | ▼a (KERIS)BIB000011193375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418.02 ▼2 22 |
090 | ▼a 418.02 ▼b 2007a4 | |
100 | 1 | ▼a 박노철 |
245 | 1 0 | ▼a 비유언어 번역방법 : ▼b 수사적 표현을 중심으로 / ▼d 박노철 지음.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 ▼b KSi , ▼c 2007. | |
300 | ▼a 148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145]-148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8.02 2007a4 | Accession No. 1114656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8.02 2007a4 | Accession No. 1114656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형식일치 번역보다는 내용일치 번역이 성경 번역에서 더 중요하다는 점을 밝히려한 책. 내용일치 번역의 선구자인 Eugene A, Nida와 그의 제자인 John Beekman & John Callow 그리고 Mildre L, Larson과 Katharine, Barnwell의 주장을 충실히 따라 원문의 의미에 우선권을 두어 번역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형식일치 번역보다는 내용일치 번역이 성경 번역에서 더 중요하다는 점을 밝혀 보고자 한다. 우선 이 책은 내용일치 번역의 선구자인 Eugene A, Nida와 그의 제자인 John Beekman & John Callow 그리고 Mildre L, Larson과 Katharine, Barnwell의 주장에 충실하며 이 책을 통해 더욱더 내용일치 번역이 형식일치 번역보다 중요하고 앞으로 성경을 번역할 때 형식일치보다는 내용일치가 중요하기 때문에 원문의 의미에 우선권을 두어 번역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 9 1.1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0 1.2 연구의 대상 = 13 1.3 연구의 구성 = 15 제2장 번역이론과 성경 번역 = 17 2.1 번역 행위의 정의 = 18 2.2 Nida, Beekman & Callow 그리고 Larson의 번역이론 = 22 2.3 성경 번역의 역사 = 30 2.3.1 칠십인역(The Septuagint) = 32 2.3.2 불가타역(The Vulgate)과 위클리프역(Wycliffe's English translation) = 34 2.3.3 흠정역(킹제임스 성장: KJV, 1611)과 그 외의 영역본들 = 37 2.4 수사학과 해석학 그리고 텍스트 언어학 = 40 2.4.1 수사학과 수사적 표현 = 41 2.4.2. 현대언어학과 해석학 = 44 2.4.3. 텍스트언어학과 텍스트성 = 46 제3장 수사 의문문(Rhetorical Question)의 영ㆍ한 번역비교 = 49 3.1 수사 의문문의 정의 = 50 3.2 성경의 일반 의문문과 수사 의문문의 구별 = 52 3.2.1 일반 의문문의 특징에 대한 세부적 기준과 성경 번역 비교 = 54 3.2.2 수사 의문문의 특징에 관한 세부 기준 = 61 3.2.3 병렬 구절에 나타난 일반 의문문과 수사 의문문의 모호성 문제 = 69 3.3 일반 의문문과 수사 의문문의 기능 = 74 3.3.1 수사 의문문의 기능과 목적 = 77 3.3.3.1 확신의 평서문 번역 = 78 3.3.3.2 불확신의 평서문 번역 = 83 3.3.3.3 평가나 의무의 평서문 번역 = 86 3.3.3.4 새로운 주제 또는 동일한 주제 부각 및 도입의 평서문 번역 = 92 3.4 수사 의문문의 의미 함축 기능 = 94 3.4.1 수사 의문문이 일반 의문문으로 잘못 해석되는 경우 = 96 3.4.2 수사 의문문의 의미가 잘못 이해되는 경우 = 98 제4장 수사적 표현의 비유언어(Figuratives Language)의 의미 번역 = 103 4.1 성경의 은유가 오해를 야기하는 경우 = 104 4.1.1 해당 표현에 나오는 이미지를 버리고 번역하는 경우 = 109 4.1.2 화제(topic)가 암시적인 경우 = 111 4.1.3 유사점이 암시적인 경우 = 114 4.1.4 비유되는 항목과 비슷한 대체물이 수용언어에 없는 경우 = 118 4.1.5 은유적 의미가 수용언어에서 통하지 않는 경우 = 120 4.2 은유와 직유(Metaphor and Simile)번역 방법 = 124 4.3 완곡어법(Euphemism)번역 = 131 제5장 결론 = 139 참고문헌= 145